You are looking for information, articles, knowledge about the topic nail salons open on sunday near me 데 스틴 파워 on Google, you do not find the information you need! Here are the best content compiled and compiled by the toplist.cazzette.com team, along with other related topics such as: 데 스틴 파워 데스틴파워 매각, 플라스포, 데스틴파워 매출, 국내 PCS 업체, ESS PCS 업체, ESS 제작 업체, 한전 FR, 연료전지 ESM
Table of Contents
destin
- Article author: www.destin.co.kr
- Reviews from users: 25674
Ratings
- Top rated: 4.6
- Lowest rated: 1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destin 데스틴파워, destin power.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destin 데스틴파워, destin power. 데스틴파워, destin power
- Table of Contents:
Industrial UPS
EV Quick Charger
Multi Function PCS
Hybrid Inverter
ESS PCS
ESS PCS
Solar Inverter
Solar Inverter
ALL IN ONE
ALL IN ONE
Monitoring Software
데 스틴 파워
- Article author: www.saramin.co.kr
- Reviews from users: 35607
Ratings
- Top rated: 3.7
- Lowest rated: 1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데 스틴 파워 업력 11년차 2012년 8월 1일 설립 · 중소기업 기업형태 · 64명 사원수 · 265억 2,334만원 매출액.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데 스틴 파워 업력 11년차 2012년 8월 1일 설립 · 중소기업 기업형태 · 64명 사원수 · 265억 2,334만원 매출액.
- Table of Contents:

잡코리아 – JOBKOREA
- Article author: www.jobkorea.co.kr
- Reviews from users: 18312
Ratings
- Top rated: 3.0
- Lowest rated: 1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잡코리아 – JOBKOREA 데스틴파워의 최신 소식 및 기업문화, 근무환경, 재무정보, 고용현황, 직원수 등의 기업정보를 확인해보세요.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잡코리아 – JOBKOREA 데스틴파워의 최신 소식 및 기업문화, 근무환경, 재무정보, 고용현황, 직원수 등의 기업정보를 확인해보세요.
- Table of Contents:

오성진 데스틴파워 대표
- Article author: www.kharn.kr
- Reviews from users: 29802
Ratings
- Top rated: 3.5
- Lowest rated: 1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오성진 데스틴파워 대표 데스틴파워(Destin Power)는 지난 2012년 8월 ESS용 PCS(전력변환시스템) 연구개발기업으로 설립됐으며 2016년말 기준 국내 ESS용 PCS를 150MW 공급 …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오성진 데스틴파워 대표 데스틴파워(Destin Power)는 지난 2012년 8월 ESS용 PCS(전력변환시스템) 연구개발기업으로 설립됐으며 2016년말 기준 국내 ESS용 PCS를 150MW 공급 … 냉난방공조, 신재생에너지, 보일러, 히트펌프, 태양열, 에어컨, 신냉매, 녹색건축, 기계설비냉난방공조, 신재생에너지 전문저널, 보일러, 히트펌프, 태양열, 에어컨, 신냉매
- Table of Contents:
오성진 데스틴파워 대표
많이 본 뉴스

‘PCS 전문기업’ 데스틴파워, 연료전지 넘어 미래 에너지산업 이끈다 – 인더스트리뉴스
- Article author: www.industrynews.co.kr
- Reviews from users: 43875
Ratings
- Top rated: 3.4
- Lowest rated: 1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PCS 전문기업’ 데스틴파워, 연료전지 넘어 미래 에너지산업 이끈다 – 인더스트리뉴스 데스틴파워는 성능시험 및 인증시험을 완료한 1.25MW 제품을 올 하반기 100MW 규모 공급한다는 계획이다. 또한, 향후 1.5MW, 2MW, 3MW 등 제품도 출시하며 …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PCS 전문기업’ 데스틴파워, 연료전지 넘어 미래 에너지산업 이끈다 – 인더스트리뉴스 데스틴파워는 성능시험 및 인증시험을 완료한 1.25MW 제품을 올 하반기 100MW 규모 공급한다는 계획이다. 또한, 향후 1.5MW, 2MW, 3MW 등 제품도 출시하며 … [인더스트리뉴스 정한교 기자] 독보적인 기술력과 차별화된 제품을 바탕으로 국내외 ESS 시장에서 빠르게 점유율을 높여왔던 데스틴파워(Destinpower)가 사업영역 다변화로 기업 경쟁력을 높여가고 있다.이미 ESS 시장에서 활약을 통해 전력변환기(PCS) 전문기업으로써 브랜드 경쟁력을 증명한 데스틴파워다. 국내 PCS 시장점유율 1위, 2017년 글로벌 PCS 시장점유율 2위를 기록할 정도로 기술력을 인정받아왔다.데스틴파워 오성진 대표는 “당사는 중용량부터 초대용량까지 다양한 제품 라인업을 보유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ESS뿐만 아니데스틴파워,그린뉴딜,PCS,전력변환기,수소연료전지,두산퓨얼셀,수소발전의무화제도,HPS,태양광인버터,ESS
- Table of Contents:

데스틴파워(주) : 신재생에너지가이드
- Article author: newenergyinfo.kr
- Reviews from users: 35287
Ratings
- Top rated: 3.2
- Lowest rated: 1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데스틴파워(주) : 신재생에너지가이드 국내 NO.1 ESS용 PCS 전문 기업, 세계 전력변환 시장으로 도약 데스틴파워는 고객을 위한 차별화된 제품으로 전력변환 분야 시장을 선도 하는 기업 …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데스틴파워(주) : 신재생에너지가이드 국내 NO.1 ESS용 PCS 전문 기업, 세계 전력변환 시장으로 도약 데스틴파워는 고객을 위한 차별화된 제품으로 전력변환 분야 시장을 선도 하는 기업 … 대 표 오 성 진주 소 (본사) 전라남도 나주시 혁신산단 3길 41 (ESM사업센터, R&D센터)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광교중앙로 170, 효성해링턴타워 1416호전 화 061-331-5910팩 스 061-335-5910홈페이지 www.destin.co.kr<회사 소개>국내 NO.1 ESS용 PCS 전문 기업, 세계 전력변환 시장으로 도약 데스틴파워는 고객을 위한 차별화된 제품으로 전력변환 분야 시장을 선도 하는 기업이며 국내 주파수 조정용 ESS구축사업에 총 92MW의 PCS를 공급하였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설립 3여년 만에 국내 1위 PCS 기업으로 성장할 만큼 독보적인 기술력을 인정받았습니다. 데스틴파워는 ESS용 PCS 제품‘SAVEEN’과 국내 업계 최초 Turn-key 방식의 ESS‘ALL in ONE’을 비롯하여 시장의 요구를 반영한 제품을 꾸준히 선보임으로써 세계 2위의 ESS용 PCS 공급실적(’17년 기준, IHS Markit 조사) 및 833.3MW의 국내 공급 실적(’20년 12월 누적기준)을 달성하였습니다. 캐나다, UAE 등의 국가에서 여러 프로젝트를 수행하며 성공적인 해외 진출을 위한 기반을 다지고 있습니다. 앞으로 데스틴파워는 자사만의 월등한 기술, PEBB(Power Electronic Building Block)을 기반으로 세계 최고 제품과 솔루션을 개발하고 국내를 넘어 세계적인 전력변환 전문기업으로 도약할 것입니다.<데스틴파워 제품의 특징><주요 제품 소개>
- Table of Contents:

데스틴파워(ESS PCS) – 기업정보 – THE VC
- Article author: thevc.kr
- Reviews from users: 11837
Ratings
- Top rated: 3.1
- Lowest rated: 1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데스틴파워(ESS PCS) – 기업정보 – THE VC 데스틴파워(DestinPower / 중소기업 / 대표: 오성진)의 투자 유치 1건(최근 단계 Series B), 특허 9건, 최신 뉴스 88건, 고용, 재무 현황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세요.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데스틴파워(ESS PCS) – 기업정보 – THE VC 데스틴파워(DestinPower / 중소기업 / 대표: 오성진)의 투자 유치 1건(최근 단계 Series B), 특허 9건, 최신 뉴스 88건, 고용, 재무 현황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세요. 데스틴파워(DestinPower / 중소기업 / 대표: 오성진)의 투자 유치 1건(최근 단계 Series B), 특허 9건, 최신 뉴스 88건, 고용, 재무 현황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세요.
- Table of Contents:
투자 유치
자세히 보기
제품서비스
자세히 보기
ESS PCS
사업 목적
총 9개
특허
총 9개
로그인 필요
로그인 필요
로그인 필요
로그인 필요
재무 정보
등기 임원
총 9명
주요 구성원
총 1명
유사 회사
12개사
사람들이 함께 본 회사
4개사
뉴스
총 88개
목포대 ‘신재생에너지 기업 연계를 위한 산학네트워크’ 개최
잇단 ESS 화재에…정부 적합성 인증 의무화 등 안전기준 강화
‘해남·음성·영천·홍성 ESS 화재사고’ 원인은 ‘배터리 결함’ 결론
규제의 덫에 빠진 에너지 스타트업…유니콘기업 언감생심
전남도 ‘미래전남 혁신리더’ 발굴해 시상
전남도 ‘미래전남 혁신리더’ 발굴해 시상
[더벨][친환경시대 강소기업]알에스오토메이션 ‘에너지·로봇모션’ 두 날개 [혁신]에너지밸리 6년 ‘성과’질적 성장 과제전남도 ‘전력기자재 디지털 전환’ 기반구축 탄력
전남도-에너지 기관 전력기자재 디지털 전환 맞손
전남도-에너지 기관 전력기자재 디지털 전환 맞손
두산퓨얼셀 국내 생산 발전용 수소 연료전지 첫 수출길 올라
기업 정보
기본 정보
연혁
연락처
자본금
로그인 필요
직원수
0명
법인 주소
뉴스
총 88개
목포대 ‘신재생에너지 기업 연계를 위한 산학네트워크’ 개최
잇단 ESS 화재에…정부 적합성 인증 의무화 등 안전기준 강화
‘해남·음성·영천·홍성 ESS 화재사고’ 원인은 ‘배터리 결함’ 결론
규제의 덫에 빠진 에너지 스타트업…유니콘기업 언감생심
전남도 ‘미래전남 혁신리더’ 발굴해 시상
전남도 ‘미래전남 혁신리더’ 발굴해 시상
[더벨][친환경시대 강소기업]알에스오토메이션 ‘에너지·로봇모션’ 두 날개 [혁신]에너지밸리 6년 ‘성과’질적 성장 과제전남도 ‘전력기자재 디지털 전환’ 기반구축 탄력
전남도-에너지 기관 전력기자재 디지털 전환 맞손
전남도-에너지 기관 전력기자재 디지털 전환 맞손
두산퓨얼셀 국내 생산 발전용 수소 연료전지 첫 수출길 올라

See more articles in the same category here: Top 412 tips update new.
오성진 데스틴파워 대표
데스틴파워(Destin Power)는 지난 2012년 8월 ESS용 PCS(전력변환시스템) 연구개발기업으로 설립됐으며 2016년말 기준 국내 ESS용 PCS를 150MW 공급함으로써 명실상부한 국내 1위 PCS기업으로 성장했다.
설립 3년만에 PCS업계 1위를 차지할 수 있었던 것은 ESS의 성장성을 예견해 ESS용 PCS 전문기업을 지향해 연구개발을 수행했기 때문이다. 세계 최초로 Hybrid SiC(IGBT용 소자)를 채용해 세계 최고의 Power Density (W/Liter) 및 변환효율(98%)을 갖는 PCS를 개발해 시장에 공급하고 있다.
특히 한국전력이 추진하고 있는 주파수 조정용 ESS 설치사업(총 376MW 설치) 중 총 92MW의 PCS를 공급해 기술력을 인정받았으며 올해부터 PCS 외에 All-In-One ESS를 업계 최초로 출시하며 고객이 바라는 턴키 제품을 공급하면서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대용량 PCS 리딩기업으로서 시장을 선도하고 있는 오성진 데스틴파워 대표를 만나봤다.
■ ESS시장에 대해 평가한다면
국내 ESS시장은 한국전력 주도의 주파수 조정용 ESS사업을 통해 2013년부터 본격적으로 성장하기 시작했다. 제주 Smart Grid사업, 보급·융복합사업 등 정부의 선제적인 ESS 관련 사업과 공공기관 설치 의무화, 신재생에너지 연계 REC 인센티브, ESS 충전 우대 요금제 등 제도 지원으로 올해부터 본격적인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2016년 300MW/300MWh 규모의 국내시장이 올해는 800MW/1GWh 시장으로 급성장하고 있으며 미국, 독일, 일본, 호주 등 선진국 중심에서 아시아태평양지역 국가에서도 공급요청이 들어오는 등 확대 성장 중이다.
영국 Bloomberg사는 전세계 ESS시장을 올해 3.5GWh에서 2024년 16.2GWh 로 4.6배 이상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ESS는 계통안정화, 신재생 연계, 산업용 및 마이크로 그리드 등에서 핵심 제품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으며 매년 20~30달러 이상의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태양광 연계용은 인도나 아프리카와 같이 송배전 선로를 구축할 수 없는 지역에서 Green/Clean Energy원으로 널리 보급이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미 일본의 신규 가정용 주택의 경우 Built-in 태양광 및 저장장치가 보급되고 있으며 미국에서는 ESS가 리스모델로 고객에겐 초기 투자비 없이 공급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상업용 및 태양광 연계용 ESS 관련 금융상품이 출시되고 있다.
■ 우리나라 정책을 평가한다면
우리나라의 경우 산업부 주관 ESS정책은 매우 시의적절했으며 국내기업의 글로벌시장에서 경쟁력 확보를 위해 많은 도움이 됐다. 실제 ESS용 Lithium Ion Battery는 국내 삼성 및 LG가 내수 및 세계시장을 양분하고 있으며 향후 전기차 보급 확대에 따라 국내 Battery기업의 경쟁력은 더욱 강해질 것이다.
PCS 및 EMS(모니터링·제어S/W)기술도 국내 실증사업 확대를 통해 우리 회사를 포함한 많은 중소기업이 관련 기술 확보 및 경쟁력을 제고했으며 이를 통해 글로벌시장으로 진출하는 사례도 증가하고 있다. 실제로 우리 회사의 경우 한국전력과 공동으로 UAE 및 캐나다에 실증 Pilot을 진행하고 있다.
또한 최근 신재생 연계 REC 인센티브는 향후 탈원전 및 신재생에너지보급 확대에 혁혁한 기여를 할 것으로 보이며 한국전력의 심야 ESS 충전요금제도는 일반 민간기업의 전기요금 절감과 Peak 발전 Capa 확보를 위한 추가 신규 발전소 건설비용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올해 초 ‘올인원 ESS’ 출시했는데
올인원 제품은 말 그대로 기존 고객이 PCS, Battery, 제어 EMS 등 개별로 구매하던 ESS를 일괄 공급 및 설치할 수 있는 제품이다. 이는 고객의 설치에 따른 Leadtime 단축, 문제발생 시 One-stop 해결이 가능함을 의미한다. 기존 설치현장에서 기술적인 문제가 발생하면 공급업체들간 책임 전가 등으로 가동일이 지연되는 일이 많았다. 그러나 이제는 우리 회사 책임하에 ESS를 보다 빠르고 쉽게 설치할 수 있다.
이는 결국 ‘고객이 원하는 제품이 무엇인가?’라는 내부 연구개발진과 경영진의 깊은 고민과 성찰을 통해 탄생한 제품이다.
■ 신재생산업에서 ESS의 역할은
예전에 미국 SunEdison(미국 1위 태양광 개발업체)의 회장은 ‘태양광은 태어날 때부터 장애(Disabled)를 갖고 태어났으며 반드시 ESS가 필요하다’라는 표현을 한 적이 있다. 즉 풍력이나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의 가장 큰 단점은 출력이 불안정해 계통을 불안정하게 하고 예측이 불가능해 계획송전이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그러나 ESS가 연계됨으로써 남는 전기 또는 송배전 계통 용량문제로 버려지던 전기를 저장할 수 있게 됐으며 저장된 전기는 필요한 시간대에 방전을 통해 계획송전이 가능하게 됐다.
특히 아프리카와 같은 빈곤국은 무선통신이 바로 도입된 것과 같이 태양광+ESS를 중심으로 마이크로 그리드 형태로 전기가 공급될 것이다. 이제 ESS 는 신재생에너지와 땔래야 땔 수없는 관계로 이해하면 된다.
■ 해외시장 진출에 적극적인데
현재까지 한국전력의 도움으로 두바이 수전력청(DEWA) 및 캐나다 PowerStream에 Pilot Project를 진행하고 있으며 하반기에 후속 Project를 기대하고 있다. 또한 올해 수주한 Guam 프로젝트를 통해 미국시장도 본격 진입할 계획이다. 또한 All-In-One ESS는 내년 상반기 미국 출시를 위해 UL인증을 준비 중이다.
최근 태국,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등지에서도 제품 공급 요구가 있어 내년에는 4~8개국에 설치하는 Track Record를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 타사대비 차별화된 기술력은
세계 최초로 Hybrid SiC를 채용한 IGBT를 사용함으로써 열손실을 30% 이상 감축했다. 이를 통해 세계 최고의 출력밀도(Power Density)를 갖는 PCS를 공급할 수 있었다. 이는 타사의 경우 40ft 수출용 컨테이너에 4MW의 PCS밖에 설치하지 못하나 우리 회사의 경우 최대 10MW까지 설치할 수 있다. 이는 설치면적 최소화를 통해 고객의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가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Guam Project부터 도입 예정인 ‘대용량 옥외용 PCS’ 기술은 별도 PCS용 컨테이너가 필요하지 않아 고객의 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All-In-One ESS는 고객의 ESS 설치 및 운영에 있어 최고효율, 최소비용을 가능하게 하는 턴키 솔루션이다.
■ ESS식 냉난방설비도 보급되는데
EHP용 ESS는 심야전력을 이용해 배터리에 저장하고 저장된 전기를 통해 EHP를 가동하는 것이다. 기술적으로 크게 난이도가 높은 기술은 아닌 것으로 보고 있다. 고객의 경제성 편익 측면에서 EHP용 ESS보다는 현재의 한국전력 심야전력 ESS 충전요금 할인제를 이용해 건물과 공장 전체의 Peak 및 전기요금을 낮출 수 있는 건물 및 공장용 ESS가 더 효과적일 것으로 보고 있다.
■ 올해 매출 목표 및 중장기 기업 비전은
올해 매출목표는 지난해 매출대비 3~4배 늘어난 300~400억원을 전망하고 있다. 내년에는 해외 시장 본격 진출과 함께 올해보다 2배 이상 성장할 것으로 보고 있다.
기업 비전은 ‘세상에 빛과 소금이 되는 것’이다. 즉 전력변환제품 및 ESS가 절대적으로 필요한 제품이 되는 것처럼 우리 회사도 세상에 꼭 필요한, 없어서는 안되는, 누구에게나 빛과 소금으로 인정받는 기업이 되는 것이다.
■ 마지막으로 하고 싶은 말은
신재생연계 ESS, 심야 ESS 충전요금 할인제 등으로 국내 ESS시장이 본격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중국의 예를 들면 이미 셀·모듈, 인버터 등 태양광시장은 중국업체들이 내수시장을 기반으로 제품 기술경쟁력 및 가격경쟁력을 제고해 전세계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비록 내수시장 규모가 중국에 비할 바는 아니나 선제적인 친환경정책과 지속적인 ESS보급 확대를 위한 중장기적 정책이 필요하다. 또한 정부와 정부기관이 주도적으로 해외시장 개척을 위한 선도적인 역할을 해주길 바란다.
‘PCS 전문기업’ 데스틴파워, 연료전지 넘어 미래 에너지산업 이끈다
PCS 테스트베드 디지털 트윈화, 신재생에너지 분야 고품질 제품 공급
[인더스트리뉴스 정한교 기자] 독보적인 기술력과 차별화된 제품을 바탕으로 국내외 ESS 시장에서 빠르게 점유율을 높여왔던 데스틴파워(Destinpower)가 사업영역 다변화로 기업 경쟁력을 높여가고 있다.이미 ESS 시장에서 활약을 통해 전력변환기(PCS) 전문기업으로써 브랜드 경쟁력을 증명한 데스틴파워다. 국내 PCS 시장점유율 1위, 2017년 글로벌 PCS 시장점유율 2위를 기록할 정도로 기술력을 인정받아왔다.
데스틴파워 오성진 대표 [사진=인더스트리뉴스]
데스틴파워 오성진 대표는 “당사는 중용량부터 초대용량까지 다양한 제품 라인업을 보유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ESS뿐만 아니라 수소연료전지 시장에서도 브랜드 경쟁력을 입증하고 있다”며, “다양한 신재생에너지 분야에서 활약하는 전력변환기 전문기업”이라고 데스틴파워를 소개했다.
연이은 화재사고 이후 국내 ESS 산업은 침체기를 겪고 있다. 국내 ESS 산업을 이끌어온 ‘퍼스트 무버(First Mover)’였던 데스틴파워도 이러한 위기를 피해가지는 못했다. 올인원 ESS와 ESS용 PCS를 무기로 시장을 선도해왔던 데스틴파워였지만, 신규 계약이 거의 없다시피 한 국내 ESS 시장은 어느 기업에게나 위기로 다가왔다. 데스틴파워가 이를 극복할 수 있었던 것은 회사의 근간이라고 할 수 있는 PCS였다.
오 대표는 “PCS 전문기업인 당사가 다양한 신재생에너지 분야에서 활약할 수 있는 방안을 고심해왔고, 한창 ESS가 활성화되던 시기부터 수소연료전지에 대한 연구개발을 진행해왔다”며, “이후 국내 굴지의 기업 두산퓨얼셀과 손잡고 국내 수소연료전지 시장에서 빠르게 영향력을 넓혀왔다”고 최근 데스틴파워가 주력하는 분야에 대해 설명했다.
연료전지, 국내 1위가 곧 세계 1위
지난해 정부가 ‘수소발전 의무화 제도(HPS)’ 도입을 결정하면서 수소경제로의 전환이 가속화되고 있다. 연료전지는 수소경제 전환을 결정지을 핵심 소재로 평가받으며, 급속도로 시장 규모를 키워가는 산업이다. 특히, 재생에너지와는 기술도 다르고, 수익 구조도 다르기 때문에 무엇보다 기술선점이 가장 중요하다.
오 대표는 “연료전지 산업은 고도의 기술력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진입장벽이 매우 높다. 현재 미국, 일본, 독일을 비롯해 우리나라까지가 연료전지 기술을 확보한 국가”라며, “전세계적으로 기술력을 확보한 나라도 몇 없고, 그 중에서도 우리나라가 확보한 기술력이 세계 최고 수준”이라고 밝혔다.
두산퓨얼셀은 세계 연료전지 1위 국가인 우리나라 연료전지 시장을 선도하는 기업이다. 가장 잘 구축된 밸류체인을 통해 국내 시장에 연료전지 보급을 이끌고 있다. 데스틴파워는 약 5년 전부터 이러한 두산퓨얼셀과 연료전지 공동 개발에 나섰고, 우수한 성능 및 품질뿐만 아니라 외산 제품 대비 가격경쟁력까지 갖춘 500kW급 연료전지 제품을 시장에 공급하고 있다.
오 대표는 “PCS는 연료전지의 핵심 소재로, 연료전지에 사용되는 전체 전기시스템과 PCS와의 협업이 중요하다”며, “당사가 연료전지 시장에서 자리 잡을 수 있었던 원동력 역시 PCS 국내 1위, 세계 3위권인 데스틴파워의 기술력이 바탕이 됐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오 대표의 설명에 따르면, PCS가 진화함에 따라 새로운 기술들을 요구했고, 이러한 기술이 적용되면서 가격경쟁력을 갖춘 제품을 공급할 수 있는지가 연료전지 시장경쟁력을 확보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PCS 특화기업인 데스틴파워는 시장의 이러한 요구에 걸맞은 제품을 선보인 것이다.
오 대표는 “2021년 매출 약 350억원을 예상하고 있다”며, “연료전지 시장의 확대는 거스를 수 없는 흐름이다. 당사는 가격경쟁력을 갖춘 고품질 제품을 통해 꾸준히 시장영향력을 확대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2022년 500억원, 2023년 700억원, 2024년 900억원의 매출 규모를 목표로 하고 있다”고 연료전지 시장에서의 활약을 다짐했다.
데스틴파워가 디지털 트윈으로 구현한 PCS 테스트베드 [사진=데스틴파워]
100% 국내 제조, 디지털 트윈으로 내구성 높여
더욱이 데스틴파워의 제품은 100% 국내에서 제조된 제품이다 보니 시장에서의 선호도도 높았다. PCS 기술도 전기화되는 상황에서 국가 경제의 근간을 이루는 기술 중 하나이기 때문에 경쟁력을 갖춘 기업이 매우 중요한 상황이기 때문이다.
데스틴파워가 공급 중인 제품의 특성을 살펴보면, 다양한 용량을 생산·공급 중인 무정전전력공급장치(UPS)는 기존 제품에 비해 전력손실을 감소시킨다. 이로 인해 효율성이 높고, 설치 공간 절약과 운영 및 유지보수의 용이성 등으로 시장에서의 선호도가 높다.
또한, 손쉬운 용량 증대와 편리한 유지보수가 가능하며, 예기치 못한 시스템 오류를 최소화하는 알고리즘이 적용됐다. 시스템은 20년의 수명을 기반으로 디자인돼 장기간 사용이 가능한 고내구성 제품이다.
오 대표는 “리튬이온배터리는 현재까지 수송 분야에 적용되는 가장 활성화된 제품”이라며, “그린뉴딜을 통해 해당 분야의 시장 규모가 점차 커지고 있고, 대형 선박, 철도차량, 화물트럭 등 적용 분야가 점차 늘어났을 때는 배터리만으로 분명한 한계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오 대표는 “연료전지로는 고출력은 불가능하지만 꾸준하게 안정적으로 전력을 공급한다는 장점이 있고, 배터리는 출력에서는 강점을 보이지만 꾸준하지 못하다”며, “향후 시장은 두 제품이 혼합되는 방향으로 발전하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전력변환장치 전문기업인 데스틴파워가 ESS 시장에서 연료전지 시장으로의 성공적인 전환을 이뤄낸 데에는 PCS 기술력만 작용한 것은 아니다. 생산 현장 전반에 적용한 디지털 트윈(Digital Twin)이 톡톡히 제 역할을 수행했기 때문에 가능했다. 가상공간에서의 모의실험을 통해 발생 가능한 문제를 사전에 파악했고, 이를 통해 제품 품질과 내구성을 비약적으로 향상시킨 것이다.
오 대표는 “제조현장에 선도적으로 디지털 트윈 기술을 도입했고, 만족할만한 결과로 이어졌다”며, “향후 협력업체에도 디지털 트윈 기술을 확대 적용할 계획이다. 단일 데이터를 통해 생산부터 납기까지 시간을 단축시키고, 사소한 오류까지 잡아내는 혁신적인 시스템을 구축할 것”이라고 디지털 트윈 도입을 통해 생산성 혁신을 이뤄낼 것임을 강조했다.
오 대표가 데스틴파워 생산현장을 둘러보며, 디지털 트윈으로 품질을 높인 연료전지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인더스트리뉴스]
미래형 에너지 산업 선도기업 도약 ‘목표’
전력변환장치 기술에 기반을 둔 데스틴파워는 연료전지발전 인버터(ESM), 재생에너지 전력변환장치뿐만 아니라 무정전전력공급장치(UPS), 태양광 인버터, 전기차급속충전기(QUEV) 제품 등을 생산·공급하고 있다. 최근에는 신성이엔지와의 협업을 통해 DC 1500V의 1250kW 센트럴인버터를 개발했다.
오 대표는 “최근 국내 태양광 시장에 대규모 프로젝트가 점차 증가함에 따라 대용량 인버터를 요구하고 있다”며, “이러한 시장 상황에 발맞춰 국산 제품으로는 국내 시장에서 가장 가격경쟁력을 갖춘 센트럴인버터를 선보이게 됐다. 이를 통해 본격적으로 태양광 인버터 시장에서도 영향력을 넓힐 계획”이라고 소개했다.
데스틴파워는 성능시험 및 인증시험을 완료한 1.25MW 제품을 올 하반기 100MW 규모 공급한다는 계획이다. 또한, 향후 1.5MW, 2MW, 3MW 등 제품도 출시하며, 다양한 인버터 제품군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PCS는 에너지 분야에서 필수 소재다. 때문에 국내 신재생에너지 시장이 점차 규모를 키워감에 따라 데스틴파워의 활약상도 점차 증가할 전망이다. 오 대표는 그린뉴딜이 국가 경제의 주요 축 중 하나로 자리 잡은 상황에서 데스틴파워가 중요한 역할 수행할 수 있도록 노력을 기울이겠다는 계획이다.
여러 신재생에너지 산업에서 사용가능한 제품 개발 및 공급을 목표로, 최근에는 전기차 충전기 시장에도 진출했다. 전기차급속충전기(QUEV) 50kW 개발을 완료, 조만간 제품 공급에 들어갈 예정이다. 전기차 충전기의 지속적인 용량 확대도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오 대표는 “자체 개발을 통해 국내 최대 용량인 4.5MW 테스트베드와 관련 시뮬레이터를 제작해 공급하고 있다”며, “시장 수요에 대응해 현재 데스틴파워는 PCS 테스트베드 및 관련 시뮬레이터 등을 공급 중”이라고 밝혔다.
이어 오 대표는 “데스틴파워는 꾸준한 기술개발과 더불어 미래형 에너지 산업을 선도하고자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며, “그린뉴딜과 비대면이라는 최근의 키워드에 적극 대처하고자 PCS 테스트베드의 디지털 트윈화 도입 등 에너지 분야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선도하기 위해 끊임없는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고 향후 포부를 밝혔다.
저작권자 © 인더스트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So you have finished reading the 데 스틴 파워 topic article, if you find this article useful, please share it. Thank you very much. See more: 데스틴파워 매각, 플라스포, 데스틴파워 매출, 국내 PCS 업체, ESS PCS 업체, ESS 제작 업체, 한전 FR, 연료전지 ES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