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looking for information, articles, knowledge about the topic nail salons open on sunday near me 으름 덩굴 효능 on Google, you do not find the information you need! Here are the best content compiled and compiled by the toplist.cazzette.com team, along with other related topics such as: 으름 덩굴 효능 으름덩굴 복용법, 으름덩굴 채취시기, 으름나무효능, 으름열매효능, 으름덩굴 먹는 법, 으름열매 먹는법, 으름나무가격, 으름열매 가격
콩팥이나 세뇨관, 방광에 생긴 결석에도 으름덩굴이나 으름열매를 달여서 먹으면 좋다. 소염이뇨 작용이 강해 비뇨기계 염증을 치료하는 주요한 약재로서 다른 약재와 배합하여 비뇨기계 각 부분의 결석과 방광, 요로결석에 대한 효과가 크다.
Table of Contents
[건강칼럼]신비한약초이야기:⑫목통(으름덩굴) – 日刊 NTN(일간NTN)
- Article author: www.intn.co.kr
- Reviews from users: 23091
Ratings
- Top rated: 3.9
- Lowest rated: 1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건강칼럼]신비한약초이야기:⑫목통(으름덩굴) – 日刊 NTN(일간NTN) Updating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건강칼럼]신비한약초이야기:⑫목통(으름덩굴) – 日刊 NTN(일간NTN) Updating 으름나무의 학명은 Akebia quinata (Thunb.) Decne이며 지방에 따라 목통, 연복자, 임하부인, 통초, 어름나물 년출, 어름, 어름나무로도 불리며 한약명으로는 ‘목통’(木通)이다. 그 중에 제일 예쁜 이름을 고르라면 아마도 임하부인’일 것이다. 열매대로 맛있는 먹거리고 꽃은 꽃대로 예쁘기만 한게 아니라 향기도 훌륭하여 예전의 아낙들은 향낭
- Table of Contents:
![[건강칼럼]신비한약초이야기:⑫목통(으름덩굴) - 日刊 NTN(일간NTN)](http://www.intn.co.kr/news/thumbnail/201407/308251_28473_2131_v150.jpg)
으름덩굴 먹는법 효능 : 네이버 블로그
- Article author: m.blog.naver.com
- Reviews from users: 20648
Ratings
- Top rated: 4.5
- Lowest rated: 1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으름덩굴 먹는법 효능 : 네이버 블로그 으름덩굴은 풍을 디스리고, 사람의 기를 원할하게 하며, 피와 맥을 활성화시켜 주며, 간과 신장을 튼튼하게 하고, 통증을 없애주고, 소변을 잘 나오게 …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으름덩굴 먹는법 효능 : 네이버 블로그 으름덩굴은 풍을 디스리고, 사람의 기를 원할하게 하며, 피와 맥을 활성화시켜 주며, 간과 신장을 튼튼하게 하고, 통증을 없애주고, 소변을 잘 나오게 …
- Table of Contents:
카테고리 이동
TV조경과구들장
이 블로그
팔공산고사리농장
카테고리 글
카테고리
이 블로그
팔공산고사리농장
카테고리 글

한국 바나나 으름 덩굴 효능 혈당을 내려 당뇨병 효과, 이뇨 작용 으름 덩굴 부작용! :: 생활속의 약초 이야기
- Article author: ykw5520.tistory.com
- Reviews from users: 1805
Ratings
- Top rated: 3.3
- Lowest rated: 1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한국 바나나 으름 덩굴 효능 혈당을 내려 당뇨병 효과, 이뇨 작용 으름 덩굴 부작용! :: 생활속의 약초 이야기 으름덩굴은 기혈과 혈맥을 잘 통하게 하기 때문에 마비 동통에 쓰고, 열매는 혈당을 내려주기 때문에 당뇨병에 쓰며, 줄기와 뿌리는 이뇨에 쓴다. 한방 …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한국 바나나 으름 덩굴 효능 혈당을 내려 당뇨병 효과, 이뇨 작용 으름 덩굴 부작용! :: 생활속의 약초 이야기 으름덩굴은 기혈과 혈맥을 잘 통하게 하기 때문에 마비 동통에 쓰고, 열매는 혈당을 내려주기 때문에 당뇨병에 쓰며, 줄기와 뿌리는 이뇨에 쓴다. 한방 … ◎ 으름덩굴 알아보기! ◎ 한약명- 목통(木通) 다른 이름- 통초, 통 초자, 통 초근, 목통실 개화시기- 5월(암자색) 채취시기- 봄(잎), 9~10월(열매) 분포지- 중남부 이남 숲 속, 산비탈, 산기슭 으름덩굴의 줄기..생활에서 쉽게 볼 수 있는 약초로
몸을 건강하게 …^^* - Table of Contents:
TAG
관련글 관련글 더보기
인기포스트
티스토리툴바

비뇨기 계통에 효과적인 명약 ‘으름덩굴’ < 제주향토자원이야기V < 기획·분석 < 기획·특집 < 기사본문 - 제주도민일보
- Article author: www.jejudomin.co.kr
- Reviews from users: 20558
Ratings
- Top rated: 3.2
- Lowest rated: 1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비뇨기 계통에 효과적인 명약 ‘으름덩굴’ < 제주향토자원이야기V < 기획·분석 < 기획·특집 < 기사본문 - 제주도민일보 [스토리]으름, 으름나무의 학명은 Akebia quinata(Thunb.) Decne이다.중부, 남부, 제주도 지역의 산지에서 길이 5m 정도까지 자라는 으름덩굴과의 ...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비뇨기 계통에 효과적인 명약 ‘으름덩굴’ < 제주향토자원이야기V < 기획·분석 < 기획·특집 < 기사본문 - 제주도민일보 [스토리]으름, 으름나무의 학명은 Akebia quinata(Thunb.) Decne이다.중부, 남부, 제주도 지역의 산지에서 길이 5m 정도까지 자라는 으름덩굴과의 ... [스토리]으름, 으름나무의 학명은 Akebia quinata(Thunb.) Decne이다.중부, 남부, 제주도 지역의 산지에서 길이 5m 정도까지 자라는 으름덩굴과의 낙엽성 덩굴나무이다.잎은 늙은 가지에서는 뭉쳐나고 새로운 가지에서는 어긋나기로 달린다. 잎의 모양은 넓은 계란형 또는 타원형의 작은 잎이 5개(간혹 6개)가 달리는 겹잎이다.꽃은 4~5월에 잎겨드랑이에서 꽃대가 나와 자갈색으로 피고 열매는 9~10월에 자줏빛을 띤 갈색의 바나나모양으로 완전히 성숙되면 열매껍질이 벌어지면서 열매의 살과 종자가 드러난다.주로 계곡과 산기슭
- Table of Contents:
상단영역
본문영역
하단영역
전체메뉴

으름나무 열매의 효능 – 무예신문-1등 무예체육뉴스
- Article author: www.mooye.net
- Reviews from users: 13335
Ratings
- Top rated: 3.6
- Lowest rated: 1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으름나무 열매의 효능 – 무예신문-1등 무예체육뉴스 한방에서는 뿌리와 줄기 말린 것을 목통(木通)이라 하여 이뇨와 통경 등의 약재로 사용하고 민간에서도 열매의 껍질을 말린 후 차로 이용하는데 숙취해소 …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으름나무 열매의 효능 – 무예신문-1등 무예체육뉴스 한방에서는 뿌리와 줄기 말린 것을 목통(木通)이라 하여 이뇨와 통경 등의 약재로 사용하고 민간에서도 열매의 껍질을 말린 후 차로 이용하는데 숙취해소 … 으름나무으름, 으름나무의 학명은 Akebia quinata(Thunb.) Decne이다. 중부, 남부, 제주도 지역의 산지에서 길이 5m 정도까지 자라는 으름덩굴과의 낙엽성 덩굴나무이다.
- Table of Contents:

♣으름의 효능과 복용방법(민간요법)♣
- Article author: sansam333.tistory.com
- Reviews from users: 5326
Ratings
- Top rated: 3.4
- Lowest rated: 1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으름의 효능과 복용방법(민간요법)♣ 으름덩굴은 콩팥사구체의 여과기능을 좋게 하고 콩팥세뇨관에서 재흡수를 억제하기 때문에 별다른 부작용없이 소변을 잘 나가게 한다. 콩팥이나 세뇨관, …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으름의 효능과 복용방법(민간요법)♣ 으름덩굴은 콩팥사구체의 여과기능을 좋게 하고 콩팥세뇨관에서 재흡수를 억제하기 때문에 별다른 부작용없이 소변을 잘 나가게 한다. 콩팥이나 세뇨관, … ♣으름의 효능과 복용방법♣ 으름열매를 씹어 먹으면 울화증이 풀리며, 임산부의 붓기, 젖분비 부족에 약용한다. 으름 한자명은 목통(木通)·통초(通草)·임하부인(林下婦人)이며, 그 열매를 연복자(燕覆子)..
- Table of Contents:
♣으름의 효능과 복용방법(민간요법)♣
♣으름의 효능과 복용방법♣
티스토리툴바

으름덩굴 효능, 특징, 먹는방법 :: 뉴스와쳐
- Article author: newswatcher.tistory.com
- Reviews from users: 47600
Ratings
- Top rated: 4.2
- Lowest rated: 1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으름덩굴 효능, 특징, 먹는방법 :: 뉴스와쳐 동물 시험에 의하면 뚜렷한 이뇨와 강심 효능이 있으며 약리 실험에서는 이뇨와 강심은 물론이고 혈압을 높이고 부스럼과 염증을 없애며 위액 분비를 억제하는 작용이 …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으름덩굴 효능, 특징, 먹는방법 :: 뉴스와쳐 동물 시험에 의하면 뚜렷한 이뇨와 강심 효능이 있으며 약리 실험에서는 이뇨와 강심은 물론이고 혈압을 높이고 부스럼과 염증을 없애며 위액 분비를 억제하는 작용이 … 으름덩굴 효능 으름덩굴은 봄과 가을에 줄기를 잘라 잎 가지를 잘라내고 겉껍질을 벗긴 뒤 토막을 내서 햇볕에 말려서 약재로 사용합니다. 익은 열매도 약용을 합니다. 익은 열매의 껍질이 터져서 벌어진 모양이..이슈, 건강, 생활정보 등을 다루는 1인 미디어 블로그입니다.
- Table of Contents:
⪠ì¼ë¦ë©êµ´ 무ìì¸ê°?
- Article author: jdm0777.com
- Reviews from users: 38035
Ratings
- Top rated: 5.0
- Lowest rated: 1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ì¼ë¦ë©êµ´ 무ìì¸ê°? [으름덩굴의 잎, 암꽃, 수꽃, 덜익은 푸른 열매, 익은 열매, 종자, … 으름덩굴의 효능에 대해서 안덕균의《CD-ROM 한국의 약초》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ì¼ë¦ë©êµ´ 무ìì¸ê°? [으름덩굴의 잎, 암꽃, 수꽃, 덜익은 푸른 열매, 익은 열매, 종자, … 으름덩굴의 효능에 대해서 안덕균의《CD-ROM 한국의 약초》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 Table of Contents:

으름덩굴의 효능과 활용
- Article author: blog.daum.net
- Reviews from users: 13909
Ratings
- Top rated: 4.7
- Lowest rated: 1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으름덩굴의 효능과 활용 으름덩굴의 효능과 활용 … 생명력이 강한 으름덩굴잎이 한겨울에도 푸르게 매달려 있다. … 신장염, 방광염, 요도염 등의 치료에 효과가 있다. 2) 해열작용 …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으름덩굴의 효능과 활용 으름덩굴의 효능과 활용 … 생명력이 강한 으름덩굴잎이 한겨울에도 푸르게 매달려 있다. … 신장염, 방광염, 요도염 등의 치료에 효과가 있다. 2) 해열작용 … 1. 겨울의 으름덩굴 생명력이 강한 으름덩굴잎이 한겨울에도 푸르게 매달려 있다. 예전엔 칡덩굴과 함께 나뭇짐 등을 묶는 새끼 역할도 했던 으름덩굴줄기 2. 으..자연 속 야생식물 전반에 관한 정보를 담고 있습니다.
- Table of Contents:
See more articles in the same category here: https://toplist.cazzette.com/blog/.
석환순 백약촌 연구원장
으름나무의 학명은 Akebia quinata (Thunb.) Decne이며 지방에 따라 목통, 연복자, 임하부인, 통초, 어름나물 년출, 어름, 어름나무로도 불리며 한약명으로는 ‘목통’(木通)이다. 그 중에 제일 예쁜 이름을 고르라면 아마도 임하부인’일 것이다. 열매대로 맛있는 먹거리고 꽃은 꽃대로 예쁘기만 한게 아니라 향기도 훌륭하여 예전의 아낙들은 향낭에 넣어 몸에 지니고 다니기도 하였다 한다.
으름은 훌륭한 약성과 더불어 좋은 먹거리, 아름다운 꽃과 향을 가지고 있고 으름 열매가 쩍 벌어진 모습에서 林下婦人 별명을 얻게 됐다고 한다. 그 밖에도 ‘월하부인’, ‘월하미인’이라고도 불린다. 으름덩굴 씨앗은 머리를 맑게 하여 앞일을 미리 알 수 있는 능력이 생긴다고 하여 ‘예지자’라는 이름도 붙어 있다. 한반도 황해도 이남에서 제주도 지역까지 산지에서 길이 5m 정도까지 자란다.
주로 계곡과 산기슭 부분의 물이 많고 비옥한 토양에서 다른 나무를 감아 오르며 자란다. 종자로 번식하는데 가을에 종자를 채취하여 저장하였다가 이른 봄에 파종한다.
으름은 머루, 다래와 함께 산에서 얻는 세 가지 중요한 과일로 가을 산의 바나나라고 한다. 길쭉한 열매가 2~4개씩 붙어서 아래로 매달리기 때문에 조선바나나 또는 예지자,연복자(燕覆子) 라고도 하고 다래와 머루와 같이 중요한 산과일이면서 어느 나무나 잘 감아 오른는 우리나라의 대표하는 자생수종이다.
봄에 나오는 어린잎은 나물로 하며 가을에 영그는 열매의 과육은 식용으로 한다. 맛은 달콤하고 독특한 향미가 있어 과실수로 재배도 가능하다.
<효능>
유효성분인 Akeboside 11종이 함유된 외에도 betulin, myoniositol, 자당, kalium이 함유되어 있고 줄기에는 stigmasterol, β-sitosterol, β-sitosterl -β-d-glucoside가 함유돼 있다.약효(藥效)는 사화(瀉火),혈맥통리(血脈通利)의 효능이 있고 한방에서는 뿌리와 줄기 말린 것을 목통(木通)이라 하여 이뇨와 통경 등의 약재로 사용하고 민간에서도 열매의 껍질을 말린 후 차로 이용하는데 숙취 해소에 좋다고 한다. 이외에 줄기는 질기고 강하여 바구니와 같은 생활용구의 재료가 되고 삶은 물은 천연염료로 사용한다.
어름나무는 암세포에 대하여 90% 이상의 억제 효과가 있으며, 씨앗의 기름에 들어 있는 올레인, 리놀레인, 팔미틴 등의 성분이 혈압을 낮추고 염증을 없애며, 갖가지 균을 죽이는 작용을 한다. 어름나무 씨앗기름을 오래 복용하면 몸이 가벼워지고, 어떤 병에도 걸리지 않으며, 초인적인 정신력이 생긴다고 한다.
어름나무 줄기 말린 것은 치열, 이뇨, 진통, 통경, 배농, 창저, 인후, 금창, 진해, 해열, 소담, 보정, 구충, 유종 등에 약용하고, 뿌리는 거풍, 이뇨, 활혈, 류마티스에 의한 관절염, 소변곤란, 위장 장애, 헤르니아, 경폐, 타박상 치료 등에 광범위하게 이용된다.
특히 이질균과 폐결핵균에 잘 듣는 것으로 전해오는 약재이다. ‘동의보감’에 의하면 온몸의 12경락을 잘 통하게 한다고 하여 ‘통초’라고도 하며, 맺힌 것을 풀어주는 성분이 있다고도 한다.
한방에서는 줄기를 통초(通草)라고 하고 열매는 목통(木通)이라 한다. 겨울철 낙엽이 진 뒤에 채취한 통초는 소염성 이뇨제, 요도염, 소변통에 쓴다. 또 진통, 진경, 인후통에 귀중한 약재로 쓰인다.
동의보감(東醫寶鑑)》에서 “으름(木通)은 정월과 2월에 줄기를 잘라 껍질을 벗기고 말려서 쓰는데 12경락을 서로 통하게 한다. 그래서 통초(通草)라 한다.”고 적고 있다. 이시진(李時珍)의 《본초강목(本草綱目)》에는 “목통은 맺힌 것을 풀어서 편안하게 하고 이수(利水)작용을 한다.”고 했다.
으름 줄기의 주성분은 헤데라게닌(Hedragenin)과 올레아놀 산(Oleanolie acid)이다. 그리고 약간의 칼리움이 포함돼 있다. 열매 껍질에는 아케비아사포닌과 회분, 탄닌이 들어 있다. 씨는 올레인, 리놀린, 팔미린으로 구성된 20% 정도의 지방질이다.
으름은 줄기에 가는 구멍이 있어 양쪽 끝이 다 통한다.그래서 목통(木通) 이라고 한다.또한 덩굴이 뒤틀리며 뻗는 모양새가 늙은이 같아서 일명 정옹 이라고도 하며 만년등 이라고도 한다. 한방에서는 12경맥을 통하게 한다 하여 통초 라고도 하며기와 혈의 순환장애 개선과 번열을 멎게 하고 구규(인체 아홉개의 구멍)를 잘 통하게 하고 관격(급체)을 푼다 한다.
또한 이뇨 작용이 강해 각기나 신장염등의 부종을 풀고 모유 분비를 촉진 하고 소장의 열과 심장의 열을 떨어 뜨리며 억균및 항 종양 작용을 한다.
목통(으름)은 임신중인 태아를 유산시킬 수도 있으며 또 너무 많은 양을 복용할 경우 생리를 그치게 해서 임신을 할수 없게 만들기도 한다. 1회에 60g 이상을 복용할 경우에는 신기능 부전을 일으킬수도 있다.
잎과 열매의 모양이 특이해서 조경상의 가치가 인정돼 식재되고 있다.자웅동주(雌雄同株)이나 결실을 돕기 위해서는 인공수분을 할 필요가 있다.
어름과 비슷한 것으로 멀꿀이 있는데 으름덩굴보다는 열매의 길이가 더 짧고 빨갛게 익으며 맛이 좋다. 열매가 익어도 터지지 않으며 잎은 상록성이어서 사시사철 푸르며 잎 모양이 으름덩굴을 닮았으나 더 두껍고 크다. 멀꿀은 옛날부터 무병장수할 수 있게 하는 선과라 하여 과일 중에서 으뜸으로 꼽았으나 다른 과일에 밀려서 재배하는 사람이 없다. 멀꿀은 전라도 경상도, 제주도 같은 남쪽 지방에서만 자란다.
<복용법>
으름덩굴에는 아케빈이라는 성분이 있는데 이뇨,통풍,진통,수종,신경통,관절염, 월경불순,오줌이 나오지 않을때, 젖 분비가 부족할때 말린 약재를 1회 2~6g물로 달여 마시든지 가루로 빻아서 먹는다
옛부터 전해 내려오는 으름덩굴의 약리작용으로 항암작용(위,폐 식도,간암)을 들 수 있다. 으름덩굴, 차전자(질경이)를 각각 0.027g 반묘(딱정벌레목 가뢰를 말린것)0.015g 활석가루0.03g을 섞은 알약을 하루1~2알씩 먹고, 방광암으로 피오줌을 눌 때에는 어름덩굴, 우슬(쇠무릅), 생지황,천문동, 맥문동, 오미자 황백, 감초를 각각3g씩 달여 복용하면 효험이 있다고 한다.
강심작용,낮은 혈압을 높일때, 염증을 없앨 때,위액 분비를 억제할 때, 여러가지 이유로 붓거나 임증,열이나고 가슴이 답답할때,부스럼치료에도 사용해 왔다
콩팥이나 세뇨관, 방광에 생긴 결석에도 으름덩굴이나 으름열매를 달여서 먹으면 좋다. 소염이뇨 작용이 강해 비뇨기계 염증을 치료하는 주요한 약재로서 다른 약재와 배합하여 비뇨기계 각 부분의 결석과 방광, 요로결석에 대한 효과가 크다.
심장을 맑게 하고, 화기를 내려서 소변으로 배출시키므로 소변이 붉고 잘 안나오는 증상, 소변이 뿌옇거나 몸이 붓는 증상, 월경이 잘 안나오는 증상, 유즙분비가 잘 안 되는 증상을 다스린다. 각기에 보조약으로 써도 효과가 좋고 이비인후과 및 안과의 급성염증에 쓴다. 이 밖에도 목통은 어혈을 통하게 하는 효능이 있고 산후 젖이 적거나 전혀 나오지 않을 때도 넣어 쓴다.
처음 먹어보는 많은 사람들이 흰 열매 안에 많은 수의 씨 때문에 과육만 먹기는 불편하다. 사실 씨는 그냥 먹어도 상관없다(물론 씹어서 깨면 쓴 맛이 나기 때문에 그냥 통째로 삼켜야 한다). 그 많은 씨를 전부 다 뱉는게 보통 번거로운 일이 아닌데다 씨가 몸에 해로운 것도 아니고 크기가 작기 때문에 삼키는데 크게 불편한 점도 없다. 물론 개량종 중에는 씨없는 것도 있다.
복용상 주의해야 할 사항은 다음과 같다. 중국에서 쓰는 생약명과 우리나라에서 쓰는 생약명이 서로 다르다는 사실이다. 목통만 해도 중국에서는 쥐방울덩굴과의 등칡을 말하는데 비해 한국에서는 으름덩굴을 쓴다. 따라서 문헌에 나오는 처방만을 믿고 함부로 약을 쓰면 치료가 아니라 독약이 될 수도 있다. 몸이 虛하여 땀을 많이 흘리거나, 설사나 비위가 약한 사람은 금하는 것이 좋다고 전해진다. 냉해서 몸이 차가운 사람, 야뇨증이 있거나 소변을 자주 보는 사람, 몸정이나 유정이 있고 정액이 저절로 흐르는 사람은 피한다. <석환순 백약촌 연구원장•충북 음성군 생극면 생리 오신로>
한국 바나나 으름 덩굴 효능 혈당을 내려 당뇨병 효과, 이뇨 작용 으름 덩굴 부작용!
반응형
◎ 으름덩굴 알아보기! ◎
한약명- 목통(木通)
다른 이름- 통초, 통 초자, 통 초근, 목통실
개화시기- 5월(암자색)
채취시기- 봄(잎), 9~10월(열매)
분포지- 중남부 이남 숲 속, 산비탈, 산기슭
으름덩굴의 줄기는 야성미가 넘치고 스스로 다른 물체를 휘감고 나무를 타기 때문에 “임하 부인(林下夫人)”, 꽃은 여인의 모습처럼 아름답다 하여 “숲 속의 여인”이라는 애칭을 가지고 있다.
열매는 바나나처럼 생겨서 남성을 상징하고, 열매가 스스로 벌어지면 여성의 음부와 모양이 비슷해 성적 상징물로 여기는 속신이 있다.
전기가 없던 시절에는 열매의 검은 씨앗으로 기름을 짜서 등잔불을 켜는 데 썼고, 껍질을 벗겨서 바구니를 만드는 재료로 썼다.
◎ 으름덩굴 식용법 및 으름덩굴 효능 알아보기! ◎
으름은 식용, 약용, 관상용으로 가치가 높다.
열매가 익으면 과육으로 먹을 수 있고, 검은 씨앗으로 기름을 짜서 먹었다.
으름덩굴의 꽃, 잎, 줄기, 열매, 뿌리, 종자는 모두 약재로 쓴다.
약초로 쓸 때는 꽃은 5월, 잎은 수시로, 열매, 줄기, 종자는 가을에 채취하여 그늘에 말려서 쓴다.
뿌리와 가지, 열매는 햇볕에 말려 가루를 낸 후 물에 타서 먹거나, 차관이나 주전자에 뿌리와 줄기 10g에 약간의 감초를 넣고 끓여 차로 먹는다.
열매는 익기 전에 딴 것이나 검은 씨앗으로 술을 담가 밀봉하여 3개월 후에 먹는다.
검은 씨앗만 모아서 가루 내어 찰쌀과 섞어 환으로도 먹는다.
(동의보감)에는 “으름을 목통이라 하고, 산중에 나는 덩굴에서 큰 가지가 생기며 마디마디 2~3개의 가지가 생기고 끝에 다섯 개의 잎이 달리며, 결실기에 작은 목과(木瓜)가 달리고, 열매 속 검은 씨와 흰색의 핵은 연복자(燕覆子)로 먹으면 단맛이 난다”라고 기록돼 있다.
으름덩굴은 기혈과 혈맥을 잘 통하게 하기 때문에 마비 동통에 쓰고, 열매는 혈당을 내려주기 때문에 당뇨병에 쓰며, 줄기와 뿌리는 이뇨에 쓴다.
한방에서는 으름의 열매를 목통이라 부르며, 이뇨제나 진통제로 쓴다.
소염, 소변불리, 신장염, 부종, 수종, 구갈증, 요도염, 관절염, 신경통에 다른 약재와 처방한다.
민간에서는 어린순은 나물로 무쳐 먹었고, 덩굴은 삶아서 눈병에 쓰고, 산모의 유즙 분비가 잘 안 될 때 잎을 달여서 먹었다.
◎ 으름덩굴 부작용 알아보기! ◎
임산부, 설사를 자주 하는 사람, 입과 혀가 잘 마르는 사람, 몽정을 잘하는 사람은 먹지 않는 게 좋다.
약초의 경우에는 절대 과용하지 마시고 적은 양으로 시작해서 조금씩 양을 늘려 가면서 복용하여 천천히 몸을 치료하는 방법을 권해 드립니다.
반응형
비뇨기 계통에 효과적인 명약 ‘으름덩굴’
생물주권 시대를 맞아 각국에서 생물자원 확보를 위해 씨앗 하나까지 그 가치가 재조명되고 있다. 우리가 발을 딛고 사는 화산섬 제주는 난대림과 온대림, 한대림까지 공존, 자생하는 생물자원만 해도 9787종에 이를 만큼 그야말로 보고다. 방대한 생물자원은 식생활은 물론 뷰티, 의약품까지 체계적 연구 및 활용이 이뤄진 것도 있지만, 아직 그 발걸음은 걸음마 단계에 그치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제주도민일보가 제주도, 그리고 제주테크노파크와 손을 잡고 향토자원의 가치를 재조명하기 위해 추진하는 ‘제주 생물자원의 산업화를 위한 스토리텔링 구축사업’도 어느덧 5년차를 맞고 있다. 지난 4년간 제품화가 이뤄지는 등 소기의 성과도 있었다. 하지만 향토자원의 체계적인 활용을 위해 아직 갈 길이 멀다. 좀 더 다양한 제주지역 생물자원의 가치를 재조명하고, 나아가 청정제주 미래성장동력의 ‘디딤돌’이 되기를 기대한다. <편집자주>
[스토리]으름, 으름나무의 학명은 Akebia quinata(Thunb.) Decne이다.
중부, 남부, 제주도 지역의 산지에서 길이 5m 정도까지 자라는 으름덩굴과의 낙엽성 덩굴나무이다.
잎은 늙은 가지에서는 뭉쳐나고 새로운 가지에서는 어긋나기로 달린다. 잎의 모양은 넓은 계란형 또는 타원형의 작은 잎이 5개(간혹 6개)가 달리는 겹잎이다.
꽃은 4~5월에 잎겨드랑이에서 꽃대가 나와 자갈색으로 피고 열매는 9~10월에 자줏빛을 띤 갈색의 바나나모양으로 완전히 성숙되면 열매껍질이 벌어지면서 열매의 살과 종자가 드러난다.
주로 계곡과 산기슭 부분의 물이 많고 비옥한 토양에서 다른 나무를 감아 오르며 자란다. 종자로 번식하는데 가을에 종자를 채취해 저장했다가 이른 봄에 파종한다.
으름은 머루, 다래와 함께 산에서 얻는 세 가지 중요한 과일이다. 가을 산의 바나나라고 한다. 길쭉한 열매가 2~4개씩 붙어서 아래로 매달리기 때문이다.
산지의 다른 나무를 타고 오르는 낙엽성 덩굴식물로 이 땅을 대표하는 자생수종이다. 지난 1984년 스페인 바르셀로나 올림픽 때는 세계 각국의 나무를 그 곳 올림픽공원에 심었다. 그 때 보낸 한국을 대표하는 5종의 자생수종 가운데 하나가 바로 으름이다.
으름나무는 지방에 따라 불리는 이름도 많다. 목통, 연복자, 임하부인, 통초, 어름나물넌출, 어름, 어름나무로도 불린다.
그 중에 제일 예쁜 이름을 고르라면 아마도 ‘임하부인‘일 것이다. 으름 열매가 쩍 벌어진 모습에서 그런 별명을 얻게 됐다고 한다. 그 밖에도 ‘월하부인’, ‘월하미인’이라고도 불린다.
으름나무는 보습 성분이 우수해 잔주름 예방에 그만인 것으로 알려져, 최근에는 화장품으로 개발돼 시판되고 있다.
봄에 나오는 어린잎은 나물로 하며 가을에 영그는 열매의 과육은 식용으로 한다. 열매의 형태가 바나나 모양이어서 ‘코리아바나나’라는 별칭이 있으며 맛은 달콤하고 독특한 향미가 있어 과실수로 재배도 가능하다.
한방에서는 뿌리와 줄기 말린 것을 목통(木通)이라 해 이뇨와 통경 등의 약재로 사용하고 민간에서도 열매의 껍질을 말린 후 차로 이용하는데 숙취해소에 좋다고 한다. 이외에 줄기는 질기고 강해 바구니와 같은 생활용구의 재료가 되고 삶은 물은 천연염료로 사용한다.
으름덩굴 씨앗은 머리를 맑게 해 앞일을 미리 알 수 있는 능력이 생긴다고 하여 ‘예지자’라는 이름도 붙었다.
예지자는 암세포에 대해 90% 이상의 억제 효과가 있으며, 씨앗의 기름에 들어 있는 올레인, 리놀레인, 팔미틴 등의 성분이 혈압을 낮추고 염증을 없애며, 갖가지 균을 죽이는 작용을 한다. 예지자를 오래 복용하면 몸이 가벼워지고, 어떤 병에도 걸리지 않으며, 초인적인 정신력이 생긴다.
말린 것은 치열, 이뇨, 진통, 통경, 배농, 창저, 인후, 금창, 진해, 해열, 소담, 보정, 구충, 유종 등에 약용하고, 뿌리는 거풍, 이뇨, 활혈, 류마티스에 의한 관절염, 소변곤란, 위장 장애, 헤르니아, 경폐, 타박상 치료 등에 광범위하게 이용된다.
허준(許浚)의 《동의보감(東醫寶鑑)》에서 “으름(木通)은 정월과 2월에 줄기를 잘라 껍질을 벗기고 말려서 쓰는데 12경락을 서로 통하게 한다. 그래서 통초(通草)라 한다.”고 적고 있다.
단, 허해 땀을 많이 흘리거나, 설사나 비위가 약한 사람은 금하는 것이 좋다.
이시진(李時珍)의 《본초강목(本草綱目)》에는 “목통은 맺힌 것을 풀어서 편안하게 하고 이수(利水)작용을 한다.”고 했다.
으름 줄기의 주성분은 헤데라게닌(Hedragenin)과 올레아놀 산(Oleanolie acid)이다. 그리고 약간의 칼륨이 포함돼 있다.
열매 껍질에는 아케비아사포닌과 회분, 탄닌이 들어 있다. 씨는 올레인, 리놀린, 팔미린으로 구성된 20% 정도의 지방질이다.
한 가지 알아둬야 할 것은 중국에서 쓰는 생약명과 우리나라에서 쓰는 생약명이 서로 다르다는 사실이다.
목통만 해도 중국에서는 쥐방울덩굴과의 등칡을 말하는데 비해 한국에서는 으름덩굴을 쓴다. 따라서 문헌에 나오는 처방만을 믿고 함부로 약을 쓰면 위험하다.
<출처: 백과사전, 야생식용식물도감, 인터넷>
[소재정보]으름덩굴(Akebia quinata (Houtt.) Decne.)
영명 : Akebia, Five Leaf Akebia, Five-leaf chocolate vine
이명 : 목통, 유름, 졸갱이줄, 존계이, 종겡이, 유럼, 졸겡잇줄, 졸
일본명 : アケビ
으름은 으름덩굴과의 낙엽활엽의 덩굴성 식물이다.
줄기는 길이 10~20m로 숲속 또는 숲의 가장자리에서 자란다. 잎은 새 가지에서는 어긋나고 오래된 가지에서 모여나기하며 손모양겹잎이다. 소엽은 5(간혹 6)개이며 넓은 달걀모양 또는 타원형이고 잎끝은 오목하며 원저 또는 넓은 예저이고 양면에 털이 없으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은 암수한그루로 4월 말 ~ 5월 중순에 잎과 더불어 짧은 가지의 잎 사이에서 나오는 짧은 총상꽃차례에 달리며 수꽃은 작고 많이 달리며 6개의 수술과 암꽃의 흔적이 있다.
암꽃은 크고 적게 달리며 지름이 2.5~3㎝로서 보랏빛의 갈색이 난다. 꽃잎은 없으며 3개의 꽃받침 잎이 있다.
장과는 길이 6~10㎝로서 긴 타원형이며 10월에 갈색으로 익고 복봉선(腹縫線)으로 터지며 종자가 분산된다. 과피가 두껍고 과육은 먹을 수 있다.
덩굴의 길이가 20m에 달하고 가지에 털이 없으며 갈색이다. 뿌리는 길고 비대해 있으며, 천근성이다. 가지에 털이 없으며 갈색이다.
번식방법은 실생, 삽목(꺾꽂이), 취목(휘묻이) 등 여러가지 방법으로 번식시킬 수 있다.
실생 번식은 10월에 익은 열매를 따서 과육을 물에 잘 씻으면 까만씨가 많이 나온다. 이것을 직파하든가 모래와 섞어 가매장 하였다가 봄에 파종한다. 2~4년 후면 정식할 수 있을 정도로 자란다.
삽목은 이른 봄 싹트기 전에 지난해 자란 가지를 3~4마디(10~15㎝)씩 잘라 반 정도 묻히게 꽂으며 장마 때도 할 수 있다. 활착률이 좋다.
취목은 쉽게 번식되며 길게 뻗은 줄기의 마디 밑에 상처를 낸 후 휘어서 땅에 묻어 두면 그 곳에서 뿌리가 나므로 그 끝을 잘라 독립된 개체를 얻을 수 있다.
으름덩굴은 황해도 이남의 우리나라 전역에서 흔하게 자라며, 중국과 일본에 분포 한다.
으름덩굴과 식물은 으름덩굴, 멀꿀, 여덟잎으름 등 3종이며, 으름덩굴은 멀꿀(Stauntonia hexaphylla (Thunb.) Decne.)에 비해 상록성이 아니며, 열매는 길이 10cm의 긴 타원형이고 완전히 익으면 벌어지므로 구분된다.
잎이 6~9갈래로 갈라지는 것을 여덟잎으름(Akebia quinata (Thunb.) Decne. for. polyphylla (Nakai) Hiyama)이라고 한다.
<인용>
전원문화사, 재미있는 꽃이야기(2000)
국립산림품종관리센터, 우리 산에 자라는 약용식물(2013)
국립수목원, 한반도 민속식물- 전라남도 식물을 중심으로(2007)
국립수목원,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http://www.nature.go.kr/)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https://species.nibr.go.kr)
제주특별자치도, 세계유산본부 한라수목원(http://sumokwon.jeju.go.kr)
[연구현황]<국내논문>
Antioxidative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Akebia quinata Extracts in an In Vitro Model of Acute Alcohol-Induced Hepatotoxicity
Sang Hoon Lee, Young Sun Song, Yoon Hwa Jeong, and Kwang Suk Ko
J Med Food 20(9), 1–11 (2017)
으름열매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피부미용 효과
김민희 (건국대학교 일반대학원 생물공학과), 최태부 (건국대학교 일반대학원 생물공학과)
Journal of oil & applied science 32(3), 439 – 450 (2015)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Compounds from Akebia quinata b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Nguyen Thi Yen, Nguyen Van Thu, Bing Tian Zhao, Jae Hyun Lee, Jeong Ah Kim, Jong Keun Son, Jae Sui Choi, Eun Rhan Woo, Mi Hee Woo, and Byung Sun Min
Bull. Korean Chem. Soc. 35(7), 1956 –1964 (2014)
급성 알코올 간독성을 유발한 생쥐에 있어서 으름 열매 추출물의 간 기능 보호효과
이상훈 (이화여자대학교 건강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송영선 (이화여자대학교 건강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이서연 (이화여자대학교 건강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김소영 (이화여자대학교 건강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고광석 (이화여자대학교 건강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46(5), 622 – 629 (2014)
Anti-obesity Effects of Extracts from Young Akebia quinata D. Leaves
전용섭(전남대학교 식품영양과학부), 유양희(전남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전우진(전남대학교 식품영양과학부)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43(2), 200-206 (2014)
으름유래 사포닌의 HepG2 간암세포에 대한 세포독성 및 세포자살유도 효과
강혜숙 (인제대학교 식품생명과학부), 강재선 (경성대학교 약학과), 정우식 (인제대학교 식품생명과학부)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17(3), 311 – 319 (2010)
으름덩굴 열매 추출물이 구강 내 미생물의 항균활성과 부유세포사멸에 미치는 영향
이기돈 (전북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예방치학교실 및 구강생체과학연구소), 권영란 (전북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예방치학교실 및 구강생체과학연구소), 이영수 (을지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치위생과), 전재규 (전북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예방치학교실 및 구강생체과학연구소), 한성규 (전북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구강생리학교실 및 구강생체과학연구소), 장기완 (전북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예방치학교실 및 구강생체과학연구소)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dental health 32(4), 485 – 494 (2008)
으름 덩굴의 항균 성분 분리 및 함량분석
황현익 (대구대학교 생물공학과) , 이인순 (파이토케이칼(주)), 김지은 (대구대학교 생물공학과), 문혜연 (대구대학교 생물공학과)
한국생물공학회 2002년도 생물공학의 동향 253 – 256 (2002)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Compounds from Akebia quinata b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SCI SCIE Full Text XML
Yen, Nguyen Thi (College of Pharmacy,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Thu, Nguyen Van (College of Pharmacy,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Zhao, Bing Tian (College of Pharmacy,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Lee, Jae Hyun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ongguk University), Kim, Jeong Ah (College of Pharmacy, Research Institute of Pharmaceutical Science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Son, Jong Keun (College of Pharmacy, Yeungnam University), Choi, Jae Sui (Faculty of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Pukyung National University), Woo, Eun Rhan (College of Pharmacy, Chosun University), Woo, Mi Hee (College of Pharmacy,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Min, Byung Sun (College of Pharmacy,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35(7), 1956 – 1964 (2014)
LG생활건강에서 으름덩굴의 추출물이 함유된 “숨37° 시크릿 라인” 제품. 사진제공=LG생활건강.
<해외논문>
Antioxidative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Akebia quinata Extracts in an In Vitro Model of Acute Alcohol-Induced Hepatotoxicity
Sang Hoon Lee, Young Sun Song, Yoonhwa Jeong, and Kwang Suk Ko
J Med Food. 20(9), 912-922 (2017)
Ameliorating Effect of Akebia quinata Fruit Extracts on Skin Aging Induced by Advanced Glycation End Products
Seoungwoo Shin, Dahee Son, Minkyung Kim, Seungjun Lee, Kyung-Baeg Roh,Dehun Ryu, Jongsung Lee, Eunsun Jung, and Deokhoon Park
Nutrients 7, 9337–9352 (2015)
Antinociceptive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the Saponin and Sapogenins Obtained from the Stem of Akebia quinata
Jongwon Choi, Hyun-Ju Jung, Kyung-Tae Lee, and Hee-Juhn Park
J Med Food 8(1), 78–85 (2005)
Comparative 28-day repeated oral toxicity of Longdan Xieganwan, Akebia trifoliate (Thunb.) koidz., Akebia quinata (Thunb.) Decne. and Caulis aristolochiae manshuriensis in mice
Xue, X., Xiao, Y., Gong, L., Guan, S., Liu, Y., Lu, H., Qi, X., Zhang, Y., Li, Y., Wu, X., Ren, J.
Journal of ethnopharmacology 119(1), 87 – 93 (2008)
Constituents of Essential Oil from the Dried Fruits and Stems of Akebia quinata (THUNB.) DECNE.
Jyunichi Kawata, Munekazu Kameda, Mitsuo Miyazawa
Journal of oleo science 56(2), 59 – 63 (2007)
Two New Triterpenoid Saponins from Akebia quinata (Thunb.) Decne
Liu, G. Y. , Ma, S. C. , Zheng, J. , Zhang, J. , Lin, R. C.
Journal of integrative plant biology 49(2), 196 – 201 (2007)
A New Triterpene from Akebia Quinata Stem
Liu, Guiyan, Ma, Shuangcheng, Zheng, Jian, Yu, Zhenxi, Lin, Ruichao
Chemical journal of Chinese universities 27(11), 2120 – 2122 (2006)
Akebia quinata extract exerts anti-obesity and hypolipidemic effects in high-fat diet-fed mice and 3T3-L1 adipocytes
Yoon-Young Sung, Dong-Seon Kim, Ho Kyoung Kim
Journal of Ethnopharmacology 168, 17-24 (2015)
으름덩굴 추출물을 함유하고 있는 하킴코스메틱의 ‘알프48 이바이스 엘럼’. 사진제공=하킴코스메틱.
[지적재산권]<한국특허>
으름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한국(KO) | 등록 | 출원인 : 주식회사두웰바이오; | 출원번호 : 10-2017-0082352 (2017-06-29) | 공개번호 : 10-2019-0002775 (2019-01-09) | 등록번호 : 10-2036826-0000 (2019-10-15)
으름덩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구강세균 독성에 의한 염증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는 조성물
한국(KO) | 등록 | 출원인 : 재단법인 진안홍삼연구소; | 출원번호 : 10-2015-0093211 (2015-06-30) | 공개번호 : 10-2017-0003057 (2017-01-09) | 등록번호 : 10-1731569-0000 (2017-04-24)
으름 추출물의 제조 방법 및 이 추출물을 이용한 기능성 식품
한국(KO) | 등록 | 출원인 : 김송배; | 출원번호 : 10-2016-0044924 (2016-04-12) | 등록번호 : 10-1671961-0000 (2016-10-27)
으름덩굴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증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한국(KO) | 등록 | 출원인 :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한국인스팜(주); | 출원번호 : 10-2011-0048433 (2011-05-23) | 공개번호 : 10-2012-0130477 (2012-12-03) | 등록번호 : 10-1303306-0000 (2013-08-28)
으름덩굴 종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암 조성물 및 그의제조방법
한국(KO) | 등록 | 출원인 : 김숭진; | 출원번호 : 10-2004-0013330 (2004-02-27) | 공개번호 : 10-2005-0087498 (2005-08-31) | 등록번호 : 10-0573375-0000 (2006-04-17)
으름덩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최종당화산물(AGEs) 생성 억제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한국(KO) | 공개 | 출원인 :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 출원번호 : 10-2013-0030741 (2013-03-22) | 공개번호 : 10-2014-0115742 (2014-10-01)
으름열매에서 올레아놀릭산을 분리정제하는 방법 및 분리정제된 올레아놀릭산을 포함하는 항산화, 항염증 및 항암 조성물
한국(KO) | 공개 | 출원인 :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 출원번호 : 10-2013-0091838 (2013-08-02) | 공개번호 : 10-2015-0015874 (2015-02-11)
으름덩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한국(KO) | 공개 | 출원인 :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 출원번호 : 10-2012-0139605 (2012-12-04) | 공개번호 : 10-2014-0071716 (2014-06-12)
으름 발효 초음료를 포함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한국(KO) | 공개 | 출원인 :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 출원번호 : 10-2016-0021888 (2016-02-24) | 공개번호 : 10-2017-0099596 (2017-09-01)
<일본특허>
PROMOTER FOR HAIR RESTORATION AND HAIR GROWTH
일본(JA) | 공개 | 출원인 : POLA CHEM IND INC | 출원번호 : JP-0192073 (1987-07-31) | 특허번호 : JP-0038010 (1989-02-08)
<항산화>
Antioxidant Activity of Extracts from Akebia quinata Decne
Rim AR, Kim SJ, Jeon KI, Park EJ, Park HR, Lee SC.
J Food Sci Nutr 11, 84-87 (2006)
<항염>
Akebia saponin D attenuates amyloid beta-induced cognitive deficits and inflammatory response in rates: Involvement of Akt/NF-kB pathway
Xing Yu, Lin-na Wang, Qian-ming Du, Lin Ma, Lin Chen, Ran You, Ling Liu, Jing-Jing Ling, Zhong-lin Yang, Hui Ji
Behavioural Brain Research 235, 200-209 (2012)
<항암>
Oleanolic acid and ursolic acid induce apoptosis in four human liver cancer cells
Sheng-Lei Yan, Chun-yin Huang, Shwu-tzy Wu, Mei-chin Yin
Toxicology in vitro 24, 842-848 (2010)
<소염, 진통, 이뇨>
Akebia: A Potential New Fruit Crop in China
Li Li, Xiahong, Yao, Caihong, Zhong, Xuzhong, Chen
HortScience 45(1), 4-10 (2010)
<통각억제>
Antinociceptive and sapogenins obtained from the stem of Akebia quinata
Choi J, Jung HJ, Lee KT, Park HJ
J Med Food 8, 78-85 (2005)
<항우울>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he Major Chemical Constituents in Fructus Akebiae b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Coupled with Electrospray IonizationQuadrupole-Time-of-Flight Mass Spectrometry
Yun Ling, Qing Zhang, Dan-Dan Zhu, Fei Chen, Xiu-Hua Kong, Liang Liao
J. Chromatogr. Sci. 54(2), 148-157 (2015).
So you have finished reading the 으름 덩굴 효능 topic article, if you find this article useful, please share it. Thank you very much. See more: 으름덩굴 복용법, 으름덩굴 채취시기, 으름나무효능, 으름열매효능, 으름덩굴 먹는 법, 으름열매 먹는법, 으름나무가격, 으름열매 가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