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28 건축 외장재 종류 The 129 Detailed Answer

You are looking for information, articles, knowledge about the topic nail salons open on sunday near me 건축 외장재 종류 on Google, you do not find the information you need! Here are the best content compiled and compiled by the https://toplist.cazzette.com team, along with other related topics such as: 건축 외장재 종류 외장재 패널, 건물 외벽재료, 외장재 추천, 건축 외장재 가격 비교, 외벽 마감재 종류, 건축자재 종류, 외부마감재 종류, 석재 외장재 종류

외벽재에 들어가는 외장재는 과연 어떤 종류가 있을까요?
  1. 징크 오리지널 징크의 경우 부식성이 없고 100년 이상의 수명을 자랑하는 장점이 있습니다. …
  2. 세라믹 사이딩 …
  3. 시멘트 사이딩 …
  4. 스타코플렉스 …
  5. ALC패널 …
  6. 파벽돌 …
  7. 점토벽돌 …
  8. 현무암

자재 전문가가 선택한 최고의 외장재, 최악의 외장재는?
자재 전문가가 선택한 최고의 외장재, 최악의 외장재는?


건물외벽엔 어떤 외장재가 들어갈까? : (주)이아건축

  • Article author: www.iiaa.co.kr
  • Reviews from users: 45208 ⭐ Ratings
  • Top rated: 3.2 ⭐
  • Lowest rated: 1 ⭐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건물외벽엔 어떤 외장재가 들어갈까? : (주)이아건축 Updating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건물외벽엔 어떤 외장재가 들어갈까? : (주)이아건축 Updating 안녕하세요 이아 건축입니다. ^^오늘은 외장재의 종류에 대해 알려드리려고 해요.외벽재에 들어가는 외장재는 과연 어떤 종류가 있을까요?1. 징크오리지널 징크의 경우 부식성이 없고 100년 이상의 수명을 자랑하는 장점이 있습니다. 가공성이 높으며 재활용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친환경적 제품으로 각광받고 있습니다. 다른 외장재와와 조화를 잘 이루며 심플하고 모던한 느낌을 내는데 가장 최적화 된 마감재이기 때문에 모던 주택을 선호하는 젊은 층에게 주목받고 있습니다.하지만 오리지널 징크의 경우 너무 고가이기 때문에 대부분 리얼징크(아연도금강판)를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2. 세라믹 사이딩케뮤라는 명칭으로 사용되는 외벽 마감재인 세라믹 사이딩은 표면이 세라믹으로 코팅되어져 있습니다. 그래서 열화가 거의 없고 자외선에 의한 변색이 없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정교하고 깨끗한 코팅 공법을 적용해 자연스러운 패턴과 질감을 구현하고 있기 때문에, 최근 국내에서 가장 많이 주목받고 있는 외벽 마감재입니다.품질이 높은 외장재 중 하나인 세라믹 사이딩은 일본에서 수입을 하기 때문에 고가 외장재에 속합니다. 일본의 경우 한참 유행했던 스타코플렉스에서 세라믹 사이딩으로 트랜드가 이동하고 있습니다. 그렇기에 한국도 세라믹 사이딩이 보편화된 외장재로 정착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얼마나 가성비가 좋게 제공할 수 있느냐가 관건이 될 것 같습니다.3. 시멘트 사이딩시멘트 사이딩은 심플하고 가성비가 높은 마감재입니다. 미국에서는 시멘트 사이딩으로 대부분 외벽 마감을 하며, 관리가 쉽기때문에큰 어려움 없이 시공 및 유지관리를 할 수 있습니다. 모래, 물, 시멘트, 섬유소의 혼합물로 목재의 질감을 표면에 그대로 나타내며 휘는 등의 변형이 없다는 큰 장점을 가집니다. 사계절 날씨 변화가 많은 우리나라에 적합한 내구성으로 충격과 저항력에 강하고, 특히  화재에 강합니다. 또한 오염에도 강하고 다채로운 질감과 색상이 있기때문에 여러가지 연출이 가능하다는 장점도 가집니다. 하지만 한국에서는 올드하고 저렴한 마감재라는 인식으로 최근에는 사용량이 줄어들고 있습니다.4. 스타코플렉스스타코와는 다른 마감재인 스타코 플랙스는 통기성과 향균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내화성, 차음성, 단열, 오염 방지 등의 성능이 뛰어나고 탄성력 및 신축성까지 뛰어나 시공 후 벽 갈라짐과 같은 하자가 거의 발생하지 않습니다.5. ALC패널ALC 보드는 단열설, 내화성, 내진성이 탁월하지만 주택에는 고가의 비용으로 거의 쓰이지 않는 외장재입니다.습기나 곰팡이에 약하다는 소문이 있지만, 이러한 소문은 생산공정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여 퍼진 잘못된 사실입니다.ALC는 고온 고압의 증기양생을 거치므로 생산 직후에는 습기를 포함하고 있으나 출하시점부터 계속해서 습기가 마르기때문에 시공만 제대로 한다면 습기로 인한 하자는 발생되지 않습니다.6. 파벽돌파벽돌은 낡은 벽돌과 비슷한 질감의 인조석의 한 종류입니다. 자연스럽고 고풍스러운 멋이 있으며 가볍고 시공 또한 편리하기때문에 건축주들의 높은 지지를 받고 있습니다. 다양한 디자인이 있고 벽돌이 가지는 거친 질감을 고스란히 가지고 있기때문에 외장재 뿐만아니라 인테리어 포인트로 내장재에서도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7. 점토벽돌화재에 안전하고 어떠한 기후에도 잘 견디는 점토벽돌은 내구성이 뛰어나며 시공 후 유지비용이 들지 않아 가성비가 높은 자재입니다. 두께감과 단단함이 시각적으로 보았을때 신뢰감을 주기 때문에 나이대가 있는 어르신들에게 인기있는 외장재입니다.8. 현무암마그마가 용출되며 만들어진 현무암은 미네랄이 풍부하고 원적외선을 방출하여 인체에 유익한 마감재입니다. 향균, 방충 효과의 흡착 탈취력이 강하고, 자연석 특유의 아름다운 장식미를 뽐낼 수 있습니다.9. 우드 사이딩나무가 주는 편안함, 안락함, 따뜻한 이미지를 가지고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목재 특성상, 유지관리 한계가 있기 때문에 요즘에는 잘 사용하지않는 외장재 입니다. 요즘 우드 사이딩은 내장 마감재로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10. 적삼목내 외장재로 많이 사용하고 있는 적삼목은 최고의 치수 안정성을 자랑합니다.내구성이 강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적삼목 역시 목재라는 재질때문에 유지 관리를 꾸준히 해야하는 단점이 있습니다. 적삼목으로 외벽 전체를 마감하기에는 무리가 있지만 포인트로 주기엔 좋은 외장재입니다.11. CRC보드빌라나 상가 건물에 주로 사용되고 있는 CRC 보드는 내구성, 내화성, 차음성이 우수한 친환경적 내 외장재입니다. 넓은 면적도 저렴하고 쉽게 시공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흔한 자재이기 때문에 개성있는 건물을 원하는 건축주분들을 비교적 덜 찾는 자재라고 할 수 있습니다.-이외에도 많은 외장재가 있는데요.예비 건축주님께 꼭 맞는 외장재가 무엇인지 확인하고멋진 외벽과 어울리는 전원주택 건축을 바랍니다. ^^주택 설계 브랜드 이아건축, 좋은 설계가 좋은 집을 만듭니다. <건축상담 1522-0264>
  • Table of Contents:
건물외벽엔 어떤 외장재가 들어갈까? : (주)이아건축
건물외벽엔 어떤 외장재가 들어갈까? : (주)이아건축

Read More

건축물 외장재 종류 및 특징

  • Article author: bleb.tistory.com
  • Reviews from users: 24161 ⭐ Ratings
  • Top rated: 3.4 ⭐
  • Lowest rated: 1 ⭐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건축물 외장재 종류 및 특징 Updating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건축물 외장재 종류 및 특징 Updating 외벽 마감재 건축물 외장재는 외관은 물론 내부 단열과도 관련이 있어 신중한 자재 선택을 해야합니다. 외장재 종류로는 목재, 벽돌, 대리석, 스타코, 징크 등 너무나 다양한 건축외장재들이 많습니다. 또 외장재..
  • Table of Contents:

태그

‘건설 관련건축’ Related Articles

공지사항

최근 포스트

태그

검색

전체 방문자

티스토리툴바

건축물 외장재 종류 및 특징
건축물 외장재 종류 및 특징

Read More

5. 내 머릿속의…/5.3 외장재 종류 알고 가자

  • Article author: brunch.co.kr
  • Reviews from users: 16824 ⭐ Ratings
  • Top rated: 4.5 ⭐
  • Lowest rated: 1 ⭐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5. 내 머릿속의…/5.3 외장재 종류 알고 가자 꿈꾸던 전원주택을 짓다 · 2. 세라믹 사이딩. : 세라믹 사이딩 또는 케뮤(Kmew)라는 명칭으로 사용되는 외벽 마감재이다. · 3. 시멘트 사이딩. : 심플 …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5. 내 머릿속의…/5.3 외장재 종류 알고 가자 꿈꾸던 전원주택을 짓다 · 2. 세라믹 사이딩. : 세라믹 사이딩 또는 케뮤(Kmew)라는 명칭으로 사용되는 외벽 마감재이다. · 3. 시멘트 사이딩. : 심플 … 5.3 외장재 종류 알고 가자 | 순서대로 읽다 보면 완성되는 나의 집 꿈꾸던 전원주택을 짓다 글쓴이 : 이동혁 5. 내 머릿속의 집짓기(설계 편) 5.3 외장재 종류 알고 가자 우리가 입는 옷마다 가지는 특징들이 있다. 분위기 있는 곳에서 데이트를 할 때 입는 옷도 있을 것이며, 결혼식 때 입는 정장도 있을 것이다. 또한 추석에 할머니 집에 입고 가는 한복도 있을 것이다. 이렇게 옷에
  • Table of Contents:
5. 내 머릿속의.../5.3 외장재 종류 알고 가자
5. 내 머릿속의…/5.3 외장재 종류 알고 가자

Read More

주택 외벽마감재의 종류 : (주)오카메이코리아 | 오카메이매거진

  • Article author: okamei.co.kr
  • Reviews from users: 14588 ⭐ Ratings
  • Top rated: 4.9 ⭐
  • Lowest rated: 1 ⭐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주택 외벽마감재의 종류 : (주)오카메이코리아 | 오카메이매거진 크게 주택에서 쓰이는 외장재의 종류는 ‘금속재’, ‘석재’, ‘목재’, ‘도장재’ 등 4가지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자재들의 종류와 성격을 세분화 하여 …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주택 외벽마감재의 종류 : (주)오카메이코리아 | 오카메이매거진 크게 주택에서 쓰이는 외장재의 종류는 ‘금속재’, ‘석재’, ‘목재’, ‘도장재’ 등 4가지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자재들의 종류와 성격을 세분화 하여 … 건물의 첫인상을 완성 짓는 외벽 마감재는 그 선택에 따라 집의 가치를 결정하는 데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그리고 올바른 자재의 선택은 건축물의 구조재나 내부공간을 자연재해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함께하므로 더욱 신중하고 면밀한 선택이 필요합니다.그렇다면 내 집에 잘 어울리면서도 좋은가격과 내구성을 가진 외장재는 무엇이 있을까요? 이번에는 주택 외장재로 쓰이는 마감재들의 종류와 시공자들이 추천하는 자재들을 함께 소개하고자 합니다. 크게 주택에서 쓰이는 외장재의 종류는 ‘금속재’, ‘석재’, ‘목재’, ‘도장재’ 등 4가지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자재들의 종류와 성격을 세분화 하여 각 쓰이는 건축자재들을 하나씩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1. 금속주택 디자인에 차가운 세련미를 위해서 주로 쓰이는 재료입니다. 건축물에 사용되는 금속패널의 종류는 다양하지만 주거용 건축물에는 가격과 시공성의 영향으로 쓰이는 금속 외장재가 많진 않습니다. 흔히 아연으로 만들어진 징크(zinc)라는 금속재가 주로 쓰이는데, 우리나라에선 아연으로 만든 제품이 아니더라도 비슷한 모양으로 만든 금속제품들을 징크로 통칭하기도 합니다. 앞서 이야기 한 것처럼 금속재는 주택에서 세련되고 모던한 인테리어 효과를 줄 수 있어 최근에 각광받는 외벽 마감재로 석재나 조적류 마감재들과 잘 조합하면 현대적이면서 내추럴한 건물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 재료는 오리지널 징크, 알루미늄징크, 리얼징크 등 징크류 뿐만 아니라 코르텐 강판 등도 다소 사용되기도 합니다.– 오리지널 징크99.995%이상의 아연에 소량의 티타늄과 구리, 알루미늄이 합금되어 만들어진 제품으로 티타늄 아연판이라고도 합니다. 오리지널 징크는 전량 수입되는 제품이라 다른 징크제품보다 가격이 비싸지만 높은 내구성을 지닌 제품입니다. 오리지널 징크의 대표적인 제품으로는 스페인산 EL징크, 폴란드산 ZM징크, 프랑스산 VM징크가 있습니다. – 알루미늄 징크알루미늄에 도장 또는 코팅 제작한 패널로 오리지널 징크에 비해 30~40% 정도 저렴한 제품입니다. 알루미늄은 공기 중에서 산화알루미늄피막을 형성해 패널 자체의 부식을 막아 부식에 대한 저항성이 좋고, 소재가 가벼워 시공성과 건물 하중부담이 적습니다. 그러나 외부 충격에 약한 편이라 시공 시 주의해야 하며 건축주도외부 형태에 이상이 없는지 자재관리에 주의하셔야 합니다. – 리얼징크리얼징크는 칼라강판이라고도 하며 철재패널에 도장 또는 코팅을 입혀 만든 제품입니다. 앞에서 언급했던 알루미늄징크나 리얼징크는 아연판이 아니라 징크라고는 할 수 없습니다. 단지 마케팅 차원에서 모양이 비슷해 리얼징크라고 지칭할 뿐, 징크의 특성과는 전혀 다른 별개의 금속마감재 입니다. 철로 만든 패널이라 부식저항성이 높지 않고, 자재의 수명 또한 다른 징크 제품에 비해 50~90%정도 짧습니다. – 코르텐 강판현대식 건축물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코르텐 강판은 시간이 흐를수록 그 깊이를 더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크롬과 구리 합금으로 이루어진 코르텐 강판은 대기 부식에 대한 저항성이 강한 것이 장점이며, 주변의 풍경과 함께 어우러지는 코르텐 강판은 시간이 지날수록 자연스러운 주택의 외관을 실현하게 됩니다. 2. 석재석재는 목재와 함께 오랜 시간 건축자재로서 가장 많이 사용된 자재라 볼 수 있습니다. 이 두 재료는 자연에서 온 재료를 그대로 가공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주변 환경과의 어울림이 매우 뛰어난 건축 자재입니다. 가장 많이 활용하는 석재로는 화강석, 인조대리석, 치장벽돌 등이 있습니다.– 화강석외장석재로 되어 있는 대부분은 화강석이라 볼 수 있습니다. 화강석은 열과 압력을 받은 성질의 돌로서 내구성에 그 성능이 우수합니다. 화강석은 포천석, 문경석, 거창석 등 산지의 지역명을 가진 제품들이 대부분입니다. 포천석은 주로 건물 외벽에 사용되며, 고흥석은 기둥이나, 외부 포인트로, 문경석은 주로 건물 내부계단에 사용됩니다. 석재마감재의 장점은 컬러를 가지고 있으며 내구성이 뛰어나고 내화재료로서 화재가 강합니다. 단점으로는 가격이 비싸고 하중이 많이 나가 시공성이 용이하지 않습니다. – 인조대리석인조대리석은 대리석을 잘게 부수어 시멘트, 질감, 물을 혼합하여 굳혀 만든 인조석입니다. 고가의 대리석을 대신하여 건축물의 외장재로 사용하기 위해 만들어진 마감재입니다.인조대리석은 천연대리석보다 강도는 약하지만 색상과 모양 디자인패턴을 가공할 수 있고, 특히 주방 싱크용으로 많이 사용됩니다. 장점으로는 색상의 선택이 자유롭고 패턴이 다양하며, 공장생산 제품이라 품질도 균일합니다. 단점으로는 시공 시 샌딩작업으로 인해 먼지가 많이 일어나고 시간이 지나면 광택이 떨어지며 흠집이 생길 우려도 있습니다. – 치장벽돌치장벽돌은 벽돌 고유의 풍미가 유행을 타지 않고 오래 될수록 정취가 느껴집니다. 또한 시공 후 특별한 관리가 필요 없이 오염에 강하며 다른 마감재들과 잘 어울립니다. 단점으로는 시공 시 발생하는 수용성 염분으로 인해 벽돌 표면이 하얗게 일어나는 백화현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줄눈 시공 시 밀실하지 않으면 균열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세라믹 사이딩최근 주택 외장재 시장에서 가장 핫 이슈는 단연 일본 세라믹사이딩입니다. 국내에 처음 소개된 후 8년이 지난 지금에야 대중화된 이 제품은 어찌 보면 ‘대기만성형’ 자재라고도 볼 수 있습니다. 가장 먼저 한국시장에 선을 보인 케이뮤(KMEW)부터 그 뒤를 이어 소개된 니치하(Nichiha), 작년 하반기 경쟁에 뛰어든 도레이(Toray)까지 현재 한국 시장은 세라믹사이딩 3社의 각축장이 되고 있습니다. 일본에서는 요업계사이딩으로 일컫어지는 세라믹사이딩은 주원료인 시멘트와 섬유질 원료를 성형하여 양생/경화시킨 판재이며, 150°C 이상의 고열에서 건조시켜 조성 및 물성이 강화된 고급 외장재입니다. 세라믹사이딩의 품질은 일본 품질인증인 JIS A 5422에 준하여 관리되고 있으며 현재 일본 주택외장재 시장의 70%가량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세라믹사이딩은 아래 3가지의 기본적인 특징을 갖고 있습니다.① 구조적으로 안정성과 내진성 가지고 있습니다.1995년 1월에 발생한 한신 대지진/ 2014년 10월 발생한 니가타 대지진의 피해조사에서 세라믹사이딩은 박리나 탈락이 타 자재 대비 현저히 적어 지진에 강하다는 것이 입증된 외장재입니다.② 내화성능이 뛰어납니다.일본 국토교통대신 내화구조 인증을 취득하였습니다. 30분~1시간 준내화구조를 취득하였습니다.③ 탁월한 의장성과 주택 내구성을 지녔습니다.다양한 패턴의 개발로 디자인 선택의 폭이 넓고 고급스러운 주택 외관을 연출할 수 있습니다. 또한 주택 구조에 침투한 습기를 배출시키는 통기구조 공법을 표준 시공법으로 채택하여 주택의 내구성을 향상 시키는데 도움을 주고 있습니다.자외선은 외부코팅을 손상시키는 가장 큰 원인입니다. 세라믹사이딩 외벽재나 지붕재는 자외선 흡수제를 배합한 무기계 도막인 특수 코팅이 되어 있어 자외선으로 인한 탈색이나 변색으로부터 구조물을 지키고 착색층을 보호하여 도장의 열화를 방지합니다.3. 목재목재는 전원주택에서 많이 사용되는 외벽 마감재중 하나입니다. 자연재료를 활용하는 만큼 주택에 온화한 느낌과 유럽식 분위기를 자아내기에 매우 효과적이기 때문입니다. 또한 목재는 주택의 구조재로도 사용할 수 있어 중목구조 주택에 대한 수요도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물론 화재에 취약한 점을 고려해, 내화성능을 가진 구조재와 내화등급인증을 받은 마감재를 사용해야 합니다. 주택에서 외장 마감재로 사용되는 주요 목재는 ‘삼나무’, ‘적삼목’, ‘방부목’, ‘낙엽송’, ‘편백나무’, ‘탄화스기’, ‘고밀도 목재패널’ 등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삼나무해충과 박테리아, 각종 균을 퇴치해주는 피톤치드가 편백나무 다음으로 많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재질이 부드럽고 특유의 향이 좋아 인기 있는 목재종류 중 하나입니다. 가공이 쉬워 가구로 제작되는 경우가 많지만 다른 목재에 비해 내구성이 약한편이기 때문에 지속적인 압박을 받는 침대 같은 가구는 적절하지 않습니다. 향균 작용이 있어 아토피와 알러지 피부질환 개선효과를 보이며, 무엇보다도 습기에 강하여 외장재로 널리 쓰이고 있습니다. – 적삼목삼나무와 원산지의 차이가 있는 적삼목은 말 그대로 붉은 빛을 띄는 나무입니다. 북미에서 생산되는 것이 대표적이며 삼나무를 소개했던 것처럼 병충해와 향균성이 있는 피톤치드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는 외장재입니다. 삼나무와 같이 가구를 제작용으로 많이 쓰이며, 습기에 강하기 때문에 원목싱크대의 상판, 욕실에도 사용됩니다. 갈라짐이나 휨 현상이 적고 가벼운 무게에 비해 내구성이 좋은 외장재 중 하나입니다. 습기를 머금었다가 내뿜기 때문에 자연친화적이며 가습효과도 뛰어납니다. 또한 적삼목은 천연 방부목 중 하나로 방부목으로써의 기능을 할 수 있는 목자재이며, 가벼운 편에 속해 하중부담이 없어 벽체에 사용하기에 적합합니다. 어떻게 관리하느냐에 따라 대략 50년 까지도 사용이 가능하지만 강도가 다소 떨어지는 단점이 있습니다. – 방부목방부재를 이용하여 부패하지 않도록 한 목재를 일컫는 방부목은 목재에 방부제 처리를 한 것을 말합니다. 주로 건물의 데크나 바닥, 계단 등에 이용되며 자재 특유의 자연적 느낌을 유지하면서 방수기능을 보완한 외장재입니다. 보통 자재수명은 25~30년 정도이며, 최소 3년마다 오일스테인을 주기적으로 발라 관리해줘야 합니다.한편 자연적으로 습기에 강한 적삼목과 같이 별도 방부처리하지 않고도 내구성을 갖는 천연방부목 재료도 있습니다. 멀바우(merbau), 이페(ipe), 방킬라이(bankirai) 등이 그것입니다.하드우드에 속하는 멀바우는 내구성이 좋고 단단합니다. 천연방부목이라는 명칭에 걸맞게 습기변화에 강하여 외장재에 주로 쓰이는 품목입니다. 이페는 햇빛과 바람에도 끄떡없는 강한 내구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오래 유지할 경우 100년도 버틴다는 이페는 벽면 데크재로 많이 사용되는 특수목입니다. 병충해에 저항성이 높으며 무취와 무미가 특징입니다. 방킬라이의 경우 가공이 용이하여 가구로도 제작되며 이페, 멀바우와 마찬가지로 내구성이 좋고 병충해에 강합니다. 이렇듯 천연방부목은 목재의 밀도가 높기 때문에 습기 침투가 어렵고 목재 자체의 내구성이 높아 오래도록 유지가 가능하며 병충해에도 강한 공통점을 가지고 있습니다.반대로 방부처리를 해야하는 목재도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대표적으로 레드파인(redfine)과 햄퍼(hem fir)가 있습니다. 레드파인은 소나무과 침엽수로 내구성은 약하지만 목질은 단단하여 흠집과 변형이 적습니다. 무게가 가볍고 기후변화에 강하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햄퍼는 미국과 캐나다가 원산지이며 치수 변화가 적어 안정적입니다. 내구성이 뛰어나며 부드러운 표면을 가진 것이 특징입니다. – 낙엽송낙엽송은 내구성과 내수성이 뛰어나며 병충해에 강한 목자재입니다. 주로 건물의 내외장 마감재로 쓰이며 무늬결이 선명한 편에 속해 고급스럽고 엔틱한 인테리어를 표현하는데 많이 사용됩니다. 50년 이상까지도 사용이 가능할 정도로 자재의 수명이 매우 길어 유럽에서 자주 쓰이고 있으며 인장강도 또한 목재 중 가장 우수해 웬만한 외부충격에도 변형 없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 편백나무일명 히노끼라고도 하는 편백나무는 물과 습기에 매우 강하고 피톤치드가 목재 중 단연 많이 함유되어 있어 향균기능과 아토피에 도움을 주는 목재입니다. 마감재의 수명, 강도, 시공성 모두 우수한 편이기 때문에 건물 외장재로 손색없는 마감재이긴 하지만 높은 비용으로 외벽마감재 보다는 가구나 내장마감재로 많이 쓰이고 있습니다. – 고밀도 목재패널고밀도 목재패널은 톱밥이나 목재칩이 아닌 천연펄프를 겹겹이 쌓아 고온고압으로 압착해 만든 목자재입니다. 탄력과 강성, 밀도가 다른 목재와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높아 건축물 외장재로는 상당히 우수한 자재이지만 시공비가 ㎡당 25만원 정도로 상당히 비싼편입니다.장점으로는 타 목자재에 비해 가볍고 가공이 용이하며 강도가 매우 좋습니다. 열전도율과 열팽창률이 낮아 단열효과도 있으며 수종(목재의 종류)마다 독특한 무늬, 색채, 향을 가지고 있습니다. 단점으로는 충해나 풍화로 내구성이 다소 떨어지며, 흡수율이 커 변형이 쉽고, 크기의 제한이 있습니다. – 탄화목탄화목이란 180°C~212°C 의 고온과 증기압을 이용하여 고열처리한 목재를 말합니다. 목재의 수종과 두께, 초기 수분함량 등을 충분히 고려하여 탄화하는데 약48시간~96시간이 소요됩니다. 목재의 변형에 가장 큰 요인인 목재 세포내의 수산화이온(OH)과 부패의 요인인 당분, 지방을 고열로 태워버리되, 목재 고유의 물리적 성질은 최소 90%이상 유지하여 건축 구조재로 사용하여도 손색없는 물성을 유지하는 것이 탄화목 기술의 가장큰 핵심입니다.탄화목의 등급에 있어서 WTDCA(World Timber Deck & Cladding Association) 룰에 따르면, Class D등급은 최소 25년의 내구성을 보장하며 Class C 등급은 15년을 보장합니다. 목재의 발화온도(섭씨 200도)이상의 온도에서 열처리한 Class D 탄화목은 아직까지 선진 몇 나라만이 보유한 첨단의 목재 기술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4. 도장재도장은 주택 외장 마감재 중 가장 저렴하고 손쉬운 공법으로 우리주변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외장재일 것입니다. 과거에는 외장용 에나멜페인트나 비닐페인트 등 저가형 도장재가 쓰였다면, 근래에 들어서는 드라이비트, 스타코, 스타코 플렉스 등 색상뿐만 아니라 주택의 질감, 단열까지도 조절할 수 있는 자재들이 많이 쓰이고 있습니다.이중에서 최근 가장 선호도가 좋은 스타코와 스타코플렉스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스타코(STUCCO)스타코는 건축의 천장, 벽면, 기둥 등을 덮어 칠한 화장도료로서 소석회(또는 석고)를 주재료로 대리석가루,점토분 등을 섞어 만든 것입니다.고대부터 건축의 마감 재료로 널리 사용되었으며, 부조, 모양붙이기, 채색 등에 의해 장식되었습니다. 그리고 로마시대의 건축, 르네상스건축, 바로크 건축, 이슬람 건축에는 중요한 구성요소가 되었으며, 고대 로마에서는 대리석 가루를 섞은 순백색의 섬세한 재료를 사용하고 표면에 부조를 새겨서 대리석으로 마무리한 것과 비슷한 효과를 내기도 하였습니다.근래에는 외벽을 방수성 재료로 칠하여 마무리하고, 흙 벽돌조 모르타르 칠도 stucco의 일종으로 간주하고 있습니다. 스타코는 뿜기 도료에 의한 외벽 미장 마감재로서 건물의 방화성과 내구성을 높일 뿐만 아니라 시공의 편리성 및 가격대비 품질이 우수하며, 건물의 외관을 아름답게 합니다. – 스타코플렉스 (STUC-O-FLEX)스타코플렉스는 미국에서 개발된 고탄성의 100% 아크릴 폴리머 소재의 내・외장 마감제품으로 천연 고무와 같은 재료로 건물의 움직임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균열을 최대한 억제하며, 신축성, 접착성, 세척성, 통기성 등이 매우 우수함과 동시에 다양한 질감과 색상이 가능합니다. 또한 스타코 플렉스는 미국에서 누수로 인한 손해배상소송에서 보험회사가 추천하는 보수지정 제품입니다.기존 스타코는 외벽 마감재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시공 후 균열에 의한 하자발생이 높았던 것에 반해, 스타코플렉스는 이러한 단점을 없애고 110%의 높은 신축성을 보여 하자문제를 완벽히 해결하였을 뿐만 아니라, 통기성과 향균성을, 내화와 차음효과 그리고 뛰어난 단열성능과 오염방지 성능을 가지고 있는 친환경적인 마감재입니다.스타코플렉스의 장점으로는 아래와 같습니다.① 고탄성의 뛰어난 신축성능으로 건물 수축팽창에 따른 균열을 최대한 방지하며, 수분침투에 의한 건물 본체의 손상을 방지합니다.② 분자수지의 특성에 의해 방수성이 풍부하고 통기성이 뛰어나 외벽 통기성을 유지하면서도 벽내 결로의 원인을 경감시켜 수분에 의한 콘크리트 열화원인이 경감됩니다. 곰팡이나 이끼 등의 발생도 방지합니다.③ 미국 내 화재등급 “A”등급을 획득한 제품으로 화재발생 시 불을 확산시키지 않는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식당, 사무실, 빌딩 등 인테리어 내벽에 적용 시 방음 및 흡음효과를 얻을 수 있어 소음차단에 탁월한 효과가 있습니다.④ 미국에서 받은 열전도 측정평가에서 경이적인 수치로 우수한 단열성능을 평가받았고, 난방비 절약과 러닝 코스트의 경감은 물론 환경 친화적인 상품으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쉽게 동파하거나 오염이 되지 않으며, 표면의 오염 시 광촉매의 오염제거율이 46%에 달하므로 압력세정만으로 깔끔하게 해당 오염제거가 가능합니다.
  • Table of Contents:
주택 외벽마감재의 종류 : (주)오카메이코리아 | 오카메이매거진
주택 외벽마감재의 종류 : (주)오카메이코리아 | 오카메이매거진

Read More

[건축외장재종류] SCG 화이버시멘트 건축자재종류 외장재 특징

  • Article author: bm2-scg.tistory.com
  • Reviews from users: 1535 ⭐ Ratings
  • Top rated: 4.3 ⭐
  • Lowest rated: 1 ⭐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건축외장재종류] SCG 화이버시멘트 건축자재종류 외장재 특징 [건축외장재종류]는 많은데 SCG 화이버시멘트 제품이 좋은 이유. “합리적인 가격과 우수한 내구성 및 불연성으로 차별화 강조” …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건축외장재종류] SCG 화이버시멘트 건축자재종류 외장재 특징 [건축외장재종류]는 많은데 SCG 화이버시멘트 제품이 좋은 이유. “합리적인 가격과 우수한 내구성 및 불연성으로 차별화 강조” … [건축외장재종류]는 많은데 SCG 화이버시멘트 제품이 좋은 이유 “합리적인 가격과 우수한 내구성 및 불연성으로 차별화 강조” 건축자재중에서 외장재로 사용되는 제품들은 다양합니다. 시멘트사이딩, 세라믹사이딩..
  • Table of Contents:

태그

‘[BM2] MEDIA’ Related Articles

Comments

[건축외장재종류] SCG 화이버시멘트 건축자재종류 외장재 특징
[건축외장재종류] SCG 화이버시멘트 건축자재종류 외장재 특징

Read More


See more articles in the same category here: https://toplist.cazzette.com/blog.

건축물 외장재 종류 및 특징

외벽 마감재

건축물 외장재는 외관은 물론 내부 단열과도 관련이 있어 신중한 자재 선택을 해야합니다.

외장재 종류로는 목재, 벽돌, 대리석, 스타코, 징크 등 너무나 다양한 건축외장재들이 많습니다.

또 외장재는 하나의 종류도 하지만 복합적으로 시공하기도 합니다.

01. 노출 콘크리트

주택에서 전체 노출콘크리트를 사용하는 경우는 크게 없습니다. 노출콘크리트는 단열에 취약하며 내단열을 해야 하는 점과 완벽하게 외부열차단을 하기가 쉽지 않고 비용도 많이 들어갑니다. 그래서 전체 건물에서 포인트 형식으로 많이 하고 있습니다.

02. 징크

징크 마감은 지붕에 많이 사용되지만 외벽에도 사용됩니다. 판들의 이음새가 적고 후레슁 부분만 잘 마감한다면 누수를 걱정안해도 됩니다. 외관도 세련되므로 최근에 건물들에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징크 마감재 재질에 따라 단가 차이가 많이 발생하며 오리지날 징크, 알루미륨, 스틸 순으로 저렴해 짐니다.

03. 샌드위치 판넬

금속판과 금속판 사이에 단열재를 접착되어 만들어진 자재입니다. 자재가 가벼워 시공 속도도 빠르고 편리하며 유지보수가 쉬우며, 견고성 등 내구성도 우수하고높은 방수성과 뛰어난 보온성이 큰 장점입니다. 1장의 자재는 폭이 1m이며 길이는 10m 넘게 생산가능하며 가격도 저렴한 편이라실용성과 다양한 디자인까지 존재한 자재입니다.

04. 스타코

스타코 벽체 마감은 단열과 마감을 동시에 만족 할 수 있는 효과가 있습니다. 스타코 마감재를 바르기 위해서는 외단열 즉 단열재를 건물 외부에 붙이고 메쉬를 고정하고 그 위에 스타코로 마감하는 것입니다. 가격도 저렴하나 화재와 오염에 약해 유지보수를 지속적으로 해야 합니다.

05. 사이딩

시멘트 사이딩, 목재사이딩, 비닐사이딩, 세라믹사이딩 종류가 가장 많이 사용되며 비닐 사이딩이 가격이 가장 저렴합니다. 목조주택에는 시멘트 사이딩과 비닐사이딩이 많이 사용됩니다. 목재 사이딩의 경우 외부 마감과 내부 마감에 많이 사용됩니다. 사이딩의 경우 외부 빗물에 의한 누수 차단을 잘해야 하자 발생을 줄일 수 있습니다.

06. 조적(벽돌, 돌, 큐블럭)

돌이나 벽돌을 쌓아서 올리는 것을 조적이라고 합니다.

벽돌 시공은 가장 많이 사용되는 외장재중 하나입니다. 색상과 크기가 다양하며 일반별돌, 적벽돌, 고벽돌 등 여러가지 있습니다. 또 벽돌에 따라 가격이 두배 이상 차이가 나기때문에 적절한 벽돌을 사용해야 하며 고벽돌과 큐블럭등을 사용할때 충분히 시공사와 협의하셔야 합니다.

07. 파벽돌(타일벽돌)

벽돌쌓기 비용이 비싸고 구조적으로 문제가 있어서 파벽돌 자재를 최근에는 많이 사용합니다. 2cm정도 되는 두께의 벽돌이고 접착제를 사용하여 벽면에 붙입니다. 내부 인테리어에도 많이 사용되는 자재입니다. 건물 외부에 사용하고 마감 후에 봐도 일반 벽돌집과 큰 차이가 나지 않는 장점이 있습니다.

08. 적삼목(목재)

적삼목은 물과 변형에 강한 나무로, 방부를 하지 않아도 외장에 사용 할 수 있는 친환경 자재입니다. 중후한 색상과 깊은 향기가 편안함과 따듯함을 느끼게 합니다.목재라는 큰 장점이 있습니다.

5. 내 머릿속의…/5.3 외장재 종류 알고 가자

순서대로 읽다 보면 완성되는 나의 집

꿈꾸던 전원주택을 짓다

글쓴이 : 이동혁

5. 내 머릿속의 집짓기(설계 편)

5.3 외장재 종류 알고 가자

우리가 입는 옷마다 가지는 특징들이 있다. 분위기 있는 곳에서 데이트를 할 때 입는 옷도 있을 것이며, 결혼식 때 입는 정장도 있을 것이다. 또한 추석에 할머니 집에 입고 가는 한복도 있을 것이다. 이렇게 옷에 따라 내 분위기도 달라지고 내가 느끼는 감정도 달라지게 될 것이다.

집도 마찬가지이다. 내 집에 무슨 옷을 입힐지에 따라 집에 분위기가 천차만별로 달라지게 된다.

이번 단락에서는 그러한 외장재에 대해 이야기해 보고자 한다.

내가 이번 이야기에서 정리할 외벽재는 총 11가지이며, 지붕재는 5가지이다. 더 많은 종류가 있겠지만 여러분들은 이번 단락에서 이야기하는 종류만 알고 지나가도 충분히 집에 옷을 입히는데 어려움이 없을 것이다.

■ 외벽재

1. 징크

: 99.9% 최고 순도의 아연에 티타늄, 구리가 합금되어 만들어진 마감재이다. 부식성이 없어 100년 이상의 수명을 자랑한다. 가공성이 높으며 100% 재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친환경적 제품으로 각광받고 있다. 다른 외장재와의 조화도 잘 이루어지며 심플하고 모던한 느낌을 내는 데 최적화된 마감재여서 모던 디자인의 주택

을 선호하는 젊은 층에게 최근 들어 주목받고 있다.

: 다만 여러분들이 보아왔던 징크들은 대부분 리얼징크라고 하는 아연도금강판이다. 오리지널 징크의 경우 너무 고가여서 대부분 징크를 사용했다고 하면 리얼징크를 사용한 것이라 생각하면 된다.

2. 세라믹 사이딩

: 세라믹 사이딩 또는 케뮤(Kmew)라는 명칭으로 사용되는 외벽 마감재이다. 가벼운 모래, 천연펄프, 콘크리트를 혼합하여 독자적인 오토클레이브(autoclave) 제조법에 의해 만들어진다. 표면이 세라믹으로 코팅돼 있어 열화가 거의 없기 때문에 자외선에 의한 변색이 없다. 일본 특유의 정교하고 깨끗한 코팅 공법을 적용해 자연

스러운 패턴과 질감을 구현하고 있어 최근 국내에서 가장 많이 주목받고 있는 외벽 마감재라 할 수 있다.

: 세라믹 사이딩은 품질이 높은 외장재 중 하나이다. 문제는 가격인데 일본에서 전부 수입해 오다 보니 가격대가 상당히 높다. 30평 기준으로 따졌을 때 세라믹 사이딩 외장 시공비만 2000만 원 정도에 육박한다. 일본의 경우 한참 유행이었던 스타코플렉스에서 세라믹 사이딩으로 외장 트렌드가 이동하고 있다. 한국도 점차적으로 세라믹 사이딩이 보편화된 외장재로 정착할 것으로 예상되는데 문제는 금액을 얼마나 가성비 있게 제공할 수 있느냐가 관건이 될 것 같다.

3. 시멘트 사이딩

: 심플하면서도 가성비가 높은 마감재이다. 미국에서는 대부분 시멘트 사이딩으로 외벽 마감을 진행하며 관리가 손쉬워 큰 어려움 없이 시공 및 유지관리를 할 수 있는 자재이다. 모래, 물, 시멘트, 섬유소의 혼합물로 목재의 질감을 표면에 그대로 나타내며 휘는 등의 변형이 없다는 장점을 가진다. 사계절의 일기 변화가 많은 우리

나라 기후에 적합한 높은 내구성으로 충격과 저항력에 강하며, 특히 불연재로써 화재에 강하다. 또한 오염에도 강하고 다채로운 질감과 색상으로 여러 가지 연출이 가능하다는 장점도 가진다. 다만 한국 주택 트렌드에서는 올드한 느낌과 저렴한 마감재라는 인식 때문에 최근 들어서는 사용량이 줄어들고 있다.

: 시멘트 사이딩이 디자인적인 부분만 빼면 가격 대비 높은 품질을 유지하고 있는 외장재임에는 틀림없다. 만약 집을 짓는데 예산이 너무 빠듯하다면 욕심내지 말고 시멘트사이딩으로 외장재를 선택하길 바란다.

4. 스타코플렉스

: 고분자 수지의 특성으로 통기성과 항균성을 지니고 있는 마감재이다. 내화성, 차음성, 단열, 오염 방지 등의 성능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탄성력 및 신축성이 뛰어나 시공 후 벽 갈라짐과 같은 하자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 목조에 스타코플렉스를 쓰는 가장 큰 이유는 신축성일 것이다. 간혹 스타코와 혼동하시는 분들이 계신데 스타코 뒤에 플렉스가 붙은 것을 꼭 사용해야 한다. 플렉스가 붙어야 신축성이 있다는 것이고 그래야 벽에 크랙이 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5. ALC패널

: 규산질 재료인 생석회, 시멘트 등을 주원료로 물과 AI 분말 기포제를 첨가해 다공질화 시킨 것을 양생(180℃) 공정을 거쳐 만든 제품이다. 단열성, 내화성, 내진성이 탁월하나 자체 강도가 약하고 습기에 약하다는 단점이 있어 초창기에는 친환경성 자재로 각광받았으나 최근에는 곰팡이 등의 하자가 많이 발생되어 인기가 많이 줄어든 편이다.

: ALS패널의 경우 아직도 호불호가 많이 갈리는 제품이다. 어느 쪽에서는 너무 완벽한 자재라고 하고 또 어떤 쪽에서는 하자가 많으니 사용하지 말라고 한다. 어찌 되었던 모든 판단은 여러분들에게 있다. 하지만 필자가 조언하는 것은 사람들이 많이 사용하는 것은 그만큼 검증되었다는 것을 뜻하고 많이 사용하지 않는 것은 그만큼 문제가 있다는 것을 사용자들이 알고 있어 기피한다는 것이다.

6. 파벽돌

: 파벽돌은 오래된 벽돌 건축물을 허물 때 생기는 낡은 벽돌을 의미했다. 하지만 지금은 낡은 벽돌과 같은 질감의 인조석의 한 종류로서 석분과 모래, 포틀랜드 시멘트 등 다양한 재료들을 혼합하여 여러 형태와 색상으로 성형 제품화한 것을 뜻한다. 자연스럽고 고풍스러운 멋이 있으며 가볍고 시공 또한 편리하여 건축주들의 높은 지지를 받고 있다. 파벽돌 자체만으로 인테리어 포인트가 되기 때문에 외장 재뿐만 아니라 내장재에서도 많이 사용된다.

: 최근 인테리어 트렌드는 날 것의 느낌을 많이 강조하고 있는데 특히 그 분위기를 내는데 선두에 있는 자재가 파벽돌이다. 수백 가지의 디자인이 있고 벽돌이 가지는 거친 질감을 고스란히 안고 있어 평범한 것이 싫다라면 과감하게 적용해 보는 것도 좋다.

: 가격은 천차만별이다. 평균적으로 원자재 가격만 놓고 본다면 평당 5만 원~10만 원 사이로 보면 대부분 원하는 파벽돌을 선택할 수 있을 것이다.

7. 점토벽돌

: 점토, 백토, 황토, 고령토 등의 불순물을 제거하고 일정한 모양으로 성형 후 열을 가해 강도를 높여 만든 자재이다. 화재에 안전하고 어떠한 기후에도 잘 견딘다. 내구성이 뛰어나고 시공 후 유지비용이 들지 않아 가성비 높은 자재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 아직도 나이 때가 있는 건축주들은 점토벽돌을 많이 선호하신다. 일단 두께감과 단단함이 시각적으로 보았을 때 신뢰감을 주며, 어렸을 적 살았던 집의 추억을 점토벽돌과 매치시키기 때문에 60대 이상층에서는 제 1순위 외장재이다.

: 점토벽돌의 가격은 장당 600~1000원 정도 한다.

8. 현무암

: 지하 100m 이상, 1200℃ 정도에서 마그마가 용출되며 만들어진 석재이다. 각종 미네랄이 풍부하고 원적외선을 방출하여 인체에 유익하다. 항균, 방충 효과의 흡착 탈취력이 강하며, 자연석 특유의 아름다운 장식미를 뽐낼 수 있는 마감재이다.

: 1박스 단위로 판매되며, 1박스당 30장 정도로 구성되어 있다. 원자재 가격은 1박스 당 3만 원 정도에 형성되어 있다. 1박스 정도면 1㎡ 시공할 수 있다.

9. 우드 사이딩

: 과거 목구조 건축물의 외장재로 가장 많이 쓰였다. 하지만 목재라는 재질상의 유지관리적 측면에서 한계가 있어 최근 들어 잘 사용하지 않는다. 집에 나무가 주는 편안함, 안락함, 따뜻한 이미지를 부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 오히려 우드 사이딩은 외장재보다는 내장 마감재로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개인적으로 물이 닿는 외장재로써는 추천하지 않는다.

10. 적삼목

: 수십 년간 내·외장재로 많이 사용돼 왔으며 최고의 치수 안정성을 자랑한다.

내후성과 내구성이 강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목재라는 재질적인 한계성이 있어 유지 관리를 지속적으로 해야 한다는 것이 단점이다.

: 적삼목의 경우 외벽 전체를 마감하기에는 무리가 있으며, 포인트 정도 조금 사용하는 것을 추천한다. 다시 말해 느낌만 가지고 가라는 뜻이며, 현관 앞의 포치 내부 마감에 주로 많이 사용된다.

11. CRC보드

: 천연펄프(Cellulose fiber)와 포틀랜드 시멘트, 규사, 첨가제 등을 물과 혼합해 1만 톤으로 가압한 다음 양생 과정을 거쳐 생산된다. 고강도, 고밀도 제품으로 온도 편차에 따른 길이 변화가 적고 내구성, 내화성, 차음성이 우수한 친환경적 내·외장재이다. 이름은 다소 생소하겠지만 주변의 빌라나 상가 건물에 주로 사용되는 마감자재가 바로 CRC 보드다. 넓은 면적도 저렴한 가격에 쉽게 시공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흔한 자재다 보니 개성 있는 건물을 원하는 분들은 예전보단 비교적 덜 찾는 자재라고 할 수 있다.

: 주변에 지어진 빌라의 50% 이상이 CRC보드로 지어져 있을 것이다. 나쁜 자재는 아니지만 전원주택을 지을 때는 그리 추천하는 자재는 아니다.

■ 지붕재

1. 아스팔트 슁글

: 아스팔트 사이에 강한 유리섬유(Fiberglass)나 종이 매트(PaperMat)를 넣어 만든 것으로서 채색된 돌 입자로 표면을 코팅해 색상을 다양하게 연출한 지붕 마감재이다. 기와에 비해 무게가 1/5밖에 되지 않아 하중으로 인한 구조재의 부담을 줄여주고 시공이 간편하다는 장점을 지닌다.

: 한국에서는 정품이나 제대로 된 시공법으로 공사하지 않아 매우 저렴하고 품질이 안 좋은 자재로 인식하고 있는데 절대로 아니다. 미국 주택의 대부분은 아스팔트로 시공되며, 이미 품질적 검증이 끝난 제품이다. 아스팔트 슁글도 브랜드에 따라 가격차이가 많이 난다. 집을 짓는데 예산이 부족해 걱정이라면 너무 고민하지 말고 아스팔트 슁글을 적용하되 브랜드를 써튼티드사나 오웬스코닝사 같은 정품 브랜드를 선택해 사용하면 하자율을 줄일 수 있다.

2. 오지(점토) 기와

: 모래나 유기물, 알칼리 성분을 제거한 점토 원토를 분쇄기에 갈아 미세한 분말로 만든 뒤 용해하여 만든 지붕 마감재이다. 기와는 암실 속에서 일정 기간 숙성시킨 다음, 숙성된 점토를 다시 혼합하여 ‘성형→마무리→건조→소성→냉각’ 등의 절차를 통해 탄생된다.

: 스페니쉬 풍이나 북유럽식 느낌을 내는 데는 무조건 이 기와를 사용해야 그 느낌이 나며, 이국적인 느낌을 좋아하는 분들께는 최고의 지붕재로 각광받고 있다.

: 다만 비용은 30평 주택 기준 지붕에 기와를 올리면 1200~1300만 원 정도의 추가 공사비가 발생한다.

3. 시멘트 기와

: 시멘트와 경질 세골재를 섞어 만든 ‘모르타르’를 원료로 하는 지붕 마감재이다. 제조 시 표면을 매끈하게 만들기 위해 틀에 채운 다음 시멘트를 뿌린 뒤 양생 한다. 최근에는 시멘트 양이 많은 모르타르를 고압 프레스로 성형하고 물속, 공기 속에서 양생 해 표면에 무늬를 만들어내기도 한다. 오래된 철거 건물의 기와에는 석면이 포함

돼 있는 경우도 있으나 오늘날 사용되는 것은 수동 가압성형 대신 50㎏/㎠ 이상의 수압기 또는 유압기로 가압한 판형 시멘트 기와이므로 안심하고 사용해도 된다.

: 시멘트 기와가 생소할 수도 있는데 오래된 시골집 위에 올라가 있는 것들이 대부분 시멘트 기와이다. 경주에 지어있는 대부분의 단독주택들이 시멘트 기와를 사용하고 있으며, 한옥 느낌이 나는 지붕재라 생각하면 된다.

4. 금속기와

: 갈바륨 강판과 알루미늄, 아연합금, 도금 강판으로 이루어진 지붕 마감재이다. 알루미늄이 갖는 장기 내식성과 내열성, 아연이 지닌 Galvaic Behavior 효과를 결합시켰다. Galvaic Behavior 효과란 흠이 생기거나 구멍이 나서 노출된 부분으로 아연(Zinc) 분자가 스스로 움직여 메워주는 것을 말한다. 금속 기와는 일반 기와의 1/6 정도밖에 되지 않는 가벼운 무게를 자랑하며 운반이 용이하고 온도 변화에 따른 내구성 등이 우수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 금속기와는 아스팔트 슁글과 같은 느낌을 가진다. 가격도 저렴하고 디자인도 다양하게 나와있어 미국 스타일의 전원주택을 원하시는 분들이 많이 적용하는 지붕재이다.

5. 징크

: 징크는 아연(Zn)을 뜻한다. 얇은 판상재의 형태로 지붕과 외벽 등 건축 외장에 쓰인다. 얇고 넓적하게 가공된 Rolled Zinc가 개발된 1811년 이후부터 본격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했다. 특히 1852년 프랑스 도시계획에 따라 파리가 재정비될 때 모든 지붕에 징크를 사용하도록 법을 규정함으로써 대대적으로 보급되기 시작했다.

1960년 티타늄이 합금된 징크가 개발되고 1976년 최초로 생산 공정에서 인공 산화층을 형성해 유통하는 프리 웨더링(Pre-Weathering) 제품이 등장하면서 오늘날의 징크 시장이 형성되었다고 할 수 있다.

: 외벽 마감재에서 설명했듯이 오리지널 징크를 사용하는 곳은 거의 없다. 여러분들이 보는 징크는 대부분 리얼징크로 사용되었으며, 0.5T 이상만 사용하면 기능상 문제는 없어 꼭 오리지널 징크를 고집할 이유는 없다.

추신 : 외장재는 내가 가진 예산안에서 고르는 것이 최고이다. 절대로 무리하지 말자!

(좌측부터) 정다운 건축가, 임성재 건축가, 이동혁 건축가

[집이라는 본질적인 가치에 집중하다.]

Architecture Team : 홈트리오(주)

대표번호 : 1522-4279

위치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운중로 141, 경창 빌딩 602호 홈트리오(주)

홈페이지 : http://hometrio.kr/

설계 사례(홈페이지) : http://hometrio.kr/designcase/

글쓴이 : 이동혁 건축가

이메일 : [email protected]

책 : ‘따뜻한 전원주택을 꿈꾸다’ 저자(http://www.yes24.com/24/goods/40516450?scode=029)

이동혁 건축가 TV : http://tv.naver.com/sunsutu1

상담 및 자문[HOMETRIO 건축가]

이동혁 건축가 : 010-4567-8413

정다운 건축가 : 010-8560-0477

임성재 건축가 : 010-9941-8899

[네이버 TV – 이동혁 건축가 TV]

*글 읽기가 어렵나요? 그럼 이제부터는 영상으로 확인하세요.^^

1. 내 집 짓기의 시작-인트로 : http://tv.naver.com/v/1429784

2. 전원주택 짓기 1차 강연 영상 : http://tv.naver.com/v/1431765

3. 성공의 정석 ‘꾼’ 이동혁 대표 : http://tv.naver.com/v/1434375

4. 전원주택 공법. 무엇으로 지으면 좋을까요? : http://tv.naver.com/v/1436122

5. 전원주택 짓기. 예산 잡는 법! : http://tv.naver.com/v/1446575

6. 전원주택. 왜 품질에 대해 말이 많을까? : http://tv.naver.com/v/1451485

7. 내 집짓기. 언제부터 준비해야 할까요? : http://tv.naver.com/v/1473650

8. 내 땅에 몇 평까지 집을 지을 수 있나요? : http://tv.naver.com/v/1473658

9. 전원주택 지방은 공사비가 더 비싸나요? : http://tv.naver.com/v/1479534

10. 전원주택 AS는 어떻게 진행되고 몇 년까지 보증되나요? : http://tv.naver.com/v/1479537

11. 전원주택 단층과 2층으로 지을 때 비용 차이가 많이 있나요? : http://tv.naver.com/v/1479547

12. 전원주택 성토한 땅에 바로 시공할 수 있나요? : http://tv.naver.com/v/1479558

13. 강화도 이강리 전원주택. 오픈하우스 현장 : http://tv.naver.com/v/1497662

14. 전원주택에 스타코플렉스를 왜 사용하나요? : http://tv.naver.com/v/1599468

15. 전원주택 데크에 대해 알려주세요. : http://tv.naver.com/v/1599480

16. 집짓기 착공 전 준비사항은 어떻게 되나요? : http://tv.naver.com/v/1599505

17. 목조주택에서 가장 많이 나는 하자와 그 빈도는? : http://tv.naver.com/v/1672388

18. 조영구 트렌드 핫이슈. 전원주택 쇼핑몰 : http://tv.naver.com/v/1682435

19. 전원주택 계약 시 속지 않기 위한 방법은? : http://tv.naver.com/v/1684870

20. 전원주택 추가 공사 왜 공사 전에 미리 말하지 않나요? : http://tv.naver.com/v/1688493

21. 강화마루, 강마루, 장판 무엇이 좋나요? : http://tv.naver.com/v/1692136

22. 목조 공법으로도 3층 이상으로 높게 지을 수 있나요? : http://tv.naver.com/v/1698287

23. 목조주택 2층에 시멘트 방통 시공. 목조에 부담을 주지 않나요? : http://tv.naver.com/v/1701955

24. 전원주택 바닥 방통 없이 난방을 할 수 있는 방법이 있나요? : http://tv.naver.com/v/1728947

25. 2억 4천만 원. 경기 광주 전원주택을 소개합니다. : http://tv.naver.com/v/1732431

26. 전원주택. 철근콘크리트가 목조보다 더 튼튼할 텐데도 목조로 집을 짓는 이유가 있나요? : http://tv.naver.com/v/1735979

27. 내 땅에 흙을 마음대로 받아도 되나요? : http://tv.naver.com/v/1739333

28. 지진이 늘어나는데 중목이 아닌 경량 목구조는 약하지 않나요? : http://tv.naver.com/v/1743684

29. 땅이 낮아 성토하고 싶어요. 절차가 어떻게 되나요? : http://tv.naver.com/v/1746299

30. 전원주택. 여름 공사와 겨울 공사 단점은 어떤 게 있을까요? : http://tv.naver.com/v/1759345

31. 전원주택 회사. 정말 안전한 업체인지 확인하고 싶어요. : http://tv.naver.com/v/1766577

32. 목조주택이 몸에 좋다는데 어차피 본드나 벽지도 바르지 않나요? : http://tv.naver.com/v/1817543

33. 전원주택 브랜드 업체들의 이윤이 너무 높지 않나요? : http://tv.naver.com/v/1834510

34. 전원주택 땅을 살려는데 종류가 너무 많아요. 혹시 집을 지을 수 없는 땅도 있나요? : http://tv.naver.com/v/1862326

35. 사람들이 목조주택을 짓게 되는 계기가 있을까요? : http://tv.naver.com/v/1866671

36. 건설업체가 안전한 업체인지 알아보는 법! : http://tv.naver.com/v/1918266

37. 미국식 창호와 독일식 창호의 차이 : http://tv.naver.com/v/1934487

38. 하자이행보증증권에 대해 알아보자 : http://tv.naver.com/v/2011225

39. 제주도에 집 지을 때 주의해야 할 점 : http://tv.naver.com/v/2011251

40. 월간 홈트리오 4월호-NEW 농가주택 표준설계도 : https://www.youtube.com/watch?v=WwZjpLNUiwI&t=273s

41. 월간 홈트리오 4월호②-꿈꾸던 다락방을 갖다 : https://www.youtube.com/watch?v=r1fyjlp4N5Q&t=129s

42. 조립식 소형 전원주택. [kasita]에 대해 알아보자! : https://tv.naver.com/v/3440492

43. 전원주택. 월간 홈트리오 5월호 – 도심형 단독주택을 짓다. : https://tv.naver.com/v/3441024

44. 전원주택에서 비가 오기 전 가장 먼저 확인해야 할 사항 : https://tv.naver.com/v/3506313

45. 전원주택 지으려고 하는데 어디에 물어봐야 할까요? : https://tv.naver.com/v/3571540

46. 전원주택 아스팔트슁글 괜찮나요? : https://tv.naver.com/v/3571580

47. 전원주택 세라믹사이딩 어떤 자재인가요? : https://tv.naver.com/v/3571616

[건축외장재종류] SCG 화이버시멘트 건축자재종류 외장재 특징

[건축외장재종류]는 많은데 SCG 화이버시멘트 제품이 좋은 이유

“합리적인 가격과 우수한 내구성 및 불연성으로 차별화 강조”

건축자재중에서 외장재로 사용되는 제품들은 다양합니다. 시멘트사이딩, 세라믹사이딩, 현무암, 파벽돌, 노출콘크리트, 대리석 등 외장재로 사용되는 건축자재가 다양하다보니 어떤 외장재를 사용해야할지 고민도 많을거라 생각합니다. 간단히 건축외장재로 사용되는 제품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일단 건축외장재로 많이 사용하는 시멘트사이딩은 목재 질감과 무늬를 가진 판자 형태의 외장재입니다. 비닐사이딩에 비해 두께가 두껍지만 비교적 시공방법이 간단하고 단열과 방음에 있어서 우수합니다. 또한, 시멘트사이딩으로 시공 후 원하는 색상으로 페인트칠을해 쉽게 바꿀 수 있다보니 이동식 주택이나 팬션 등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는 외장재입니다. 환경적 요인에 따른 자재의 변형이 적고 수명이 길다보니 많이 사용하는 외장재입니다. 특히 좋은 점이라면 일반적인 건축외장재와 다르게 가격적인 부분에 있어서 저렴한 것이 특징이지만 친환경적인 건축물을 생각하시면 조금은 고민을 해야할 듯 합니다.

또 다른 건축외장재로는 카페 및 인테리사무실 등에서 많이 볼 수 있는 형태의 노출 콘크리트입니다. 모던한 건축 스타일에 제일 잘 어울리고 일밙반적 패턴과 나무 송판 스타일을 가장 많이 사용합니다. 특히 목재와 더불어 콘크리트 자체가 나타내는 독특한 조형미는 주위 인테리어와 조화를 나타내며, 콘크리트 제품 자체에서 오는 중후하면서 견고함과 듬직함까지 느낄 수 있습니다. 단, 구조와 마감이 동일한 외장재이기 때문에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는 게 고민이 드는 부분입니다.

건축외장재 중 고급 자재에 속하는 세라믹사이딩은 가격에 있어서도 고급에 속하지만 많이 사용하는 외장재 중 하나입니다. 제품에 대한 내구성과 손쉬운 관리 때문에 많이 사용하면서 다양한 색상으로 연출도 가능합니다. 단 색상조합에 있어서 조금은 신경을 써야하는 외장재입니다.

이외에도 대리석은 시공비와 자재비는 비싸지만 특유의 고급스러움과 무게감을 갖고 있지만 오랜시간이 지나면 대리석 특유의 반짝이는 면처리가 없어지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코팅을 해줘야하는 어려움이 있습니다. 다양한 건축외장재중에서 합리적인 가격과 디자인 및 내구성 등 일반적으로 단점보다는 장점이 많은 건축외장재 제품 몇가지를 간단히 소개합니다.

SCG Fiber-Cement

건축외장재 제품 소개

사진. SCG 건축외장재 ‘아이아라’

건축외장재로 쓰이는 제품은 다양한 종류와 함께 장단점이 있습니다. SCG 건축외장재 제품인 아이아라는 특별한 연성으로 매우 견고하고 내구성이 우수한 제품으로 최근에 주택이나 상업시설 등 다양한 건축물 외장재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SCG Fiber-Cement 제품은 시멘트의 장점인 우수한 내구성과 불연성이 탁월하며 시멘트의 단점인 높은 중량과 약한 내충격성은 셀룰로오스 섬유로 보완하여 제품의 경량화와 강한 내충격성을 보장합니다. 특히 건물 외부에 쓰여진 목재의 단점을 완벽하게 보완하면서 주택 및 건축, 조경 시설물들의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사용하는데 SCG 아이아라 건축외장재는 독특한 건축물 외관을 연출할 수 있어 디자인적인 건출물 외관을 생각하신다면 추천드립니다.

위에 언급한 외장재 제품 중 시멘트사이딩에서 친환경적인 부분을 이야기했지만 SCG 건축외장재는 최고 품질의 포틀랜드 시멘트와 천연 셀룰로오스 그리고 오염되지 않은 정제된 실리카와 자체 정수 시스템을 이용한 깨끗한 물을 사용하여 인체에 유해한 물질이 전혀 없는 자재로도 잘 알려진 건축자재 제품입니다.

무엇보다 SCG 건축외장재 제품에 대한 관심이 높은 이유는 난연1급 건축자재이기 때문입니다. 이부분은 작년 말부터 시행하고 있는 건축물 화재안전기준에 따라 3층 이상은 무조건 가연성 건축외장재 사용이 전면 금지되고 준불연재 이상 건축외장재 및 마감재 사용이 의무화 되니 SCG 건축자재 불연성 제품에 대한 관심이 높을 수밖에 없습니다.

Ayara(아이아라) 건축외장재는 최고 품질의 포트랜드 시멘트로 만들어진 난연 외장재로 석면이 포함돼 있지 않아 유해 물질을 만들어 내지 않는 친환경 건축외장재로 20부분 동안 화재에 노출돼도 불에 타지 않는 난연1급 건축외장재입니다.

자동차 산업 코팅제와 동등한 도장 기술이 적용돼 광택이 오래가며 스크래치 내성에도 강한 것이 특징이며, 직사각형 형태의 단조로운 외장재에서 다채로운 디자인과 색상을 선보인 건축외장재로 스타일의 한계를 개선한 점이 눈길을 끄는 부분입니다. 제품 종류는 클래식, 모던, 팀버 등 3가지로 구성되어 있는데 최근에는 클래식 건축외장재 제품이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위에 사진이 클래식 건축외장재로 시공한 모습입니다.

사진. SCG 건축내외장재 ‘랩사이딩’

위에 시공 사진을 보시면 비슷한 느낌을 가지는 건축외장재 제품을 많이 떠올릴거라 생각합니다. 비슷한 느낌으로 수직 채널 사이딩이라는 제품이 있는데 세련된 외관과 세로로 시공이 가능하고, 모던한 느낌을 부각 시킬 수 있는 외장재입니다. 유지 보수가 적어 경제적이면서 환경적 요인에 의한 하자부분이 낮습니다.

요즘에는 SCG 랩사이딩 건축자재가 입소문을 타면서 많이들 찾고 건축내외장재 제품입니다. 매끄럽고 부드러운 표면을 가진 제품으로 깔끔한 디자인과 편안한 패턴으로 안정감 있는 건축내외장재 제품입니다. 주택을 비롯해 모든 건축물들의 현대적인 프로젝트 스타일에 적합하며, 3가지 패턴을 혼합한 신개념 시멘트사이딩으로 도장을 통한 다양한 색상 연출이 가능합니다.

랩사이딩 제품중에 K1은 한국 시장에 특화돼 생산되는 건축내외장재로 노출면도 일반적인 제품은 150㎜인데 비해 K1은 210㎜이고 두께도 8㎜에서 10㎜로 높이면서 비슷한 건축내외장재 제품에서 나올 수 있는 촉이 깨지는 현상을 최소화 했습니다.

추가적으로 말씀드리면 일반 수직 채널 사이딩에 비해 길이부분도 짧고 제품 특성상 탄성도 좋아서 쉽게 부러지지 않고 시공이 수월하기 때문에 그만큼 시공 기간도 짧아지면 인건비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습니다.

사진. SCG 건축내외장재 ‘모데나’

건축내외장재로 사용되는 제품들 중 패널 사이 못자국 등이 신경 쓰여 시공을 꺼리는 경우가 있는데, SCG Modeena(모데나) 제품은 건축내외장재로 시공이 가능하면서 벽면에 시공하는 제품이지만 패널 사이 못자국 등이 보이지 않아 깔끔하게 마감할 수 있는 제품으로 최근 시공하는 곳이 늘어나면서 수요가 많아지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건축내장재나 외장재로 사용하는 제품은 벽면의 특성에 따라 가능여부를 알 수 있지만 모데나는 콘크리트 벽이나 철 구조에도 Clip lock 시스템으로 빠르고 쉽게 시공이 가능한점이 특징입니다.

단조로운 건축내외장재 제품들과는 달리 모던하면서 색다른 건축물 내외장재 디자인 연출이 가능한 제품입니다. 방습, 방충 효과가 뛰어나는 건 물론 난연1급으로 화재에도 안전합니다.

SCG 화이버시멘트 건축내외장재인 아이아라, 랩사이딩, 모데나 제품은 디자인적인 부분과 색상 연출, 합리적인 자재 가격과 함께 난연1급의 안전성까지 모든 건축물에 사용가능한 신개념 건축자재입니다. 이외에도 마감재, 데크재, 펜스 등 제품 종류도 다양하기 때문에 궁금한점은 직접 SCG 전시장 외 본사로 문의하시면 샘플 및 자세한 상담이 가능합니다.

[건축외장재종류]는 많지만 합리적인 자재가격과 우수한 내구성 및 안정성까지 고려한 제품

SCG 화이버시멘트 제품 추천!

So you have finished reading the 건축 외장재 종류 topic article, if you find this article useful, please share it. Thank you very much. See more: 외장재 패널, 건물 외벽재료, 외장재 추천, 건축 외장재 가격 비교, 외벽 마감재 종류, 건축자재 종류, 외부마감재 종류, 석재 외장재 종류

See also  Top 47 밥 숟가락 계량 All Answers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