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29 장례식 절 손 위치 Trust The Answer

You are looking for information, articles, knowledge about the topic nail salons open on sunday near me 장례식 절 손 위치 on Google, you do not find the information you need! Here are the best content compiled and compiled by the https://toplist.cazzette.com team, along with other related topics such as: 장례식 절 손 위치 장례식장 절 횟수, 장례식장 예절 알려준다, 장례식 절 방법, 조문예절 남자, 손아랫사람 문상, 조문예절, 장례식장 예절 인사말, 자녀상 조문

공수법 절을 할 때나 예의를 표할 때 평상시는 남자는 왼손이 위이고 여자는 오른손이 위로 간다. 그러나 흉사에는 평상시와 반대로 남자는 오른손이 위로 가고 여자는 왼손이 위로 간다. ※ 산 사람에게 한번, 죽은 사람에게 남자는 재배라 하여 두 번 절한다.


장례식 갈 때 복장, 이것만은 안돼요 / YTN 김생민 ‘원 포인트 생활상식’
장례식 갈 때 복장, 이것만은 안돼요 / YTN 김생민 ‘원 포인트 생활상식’


종교별 문상예절 | 장례정보 | 장례식장

  • Article author: www.nmc.or.kr
  • Reviews from users: 40661 ⭐ Ratings
  • Top rated: 4.9 ⭐
  • Lowest rated: 1 ⭐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종교별 문상예절 | 장례정보 | 장례식장 Updating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종교별 문상예절 | 장례정보 | 장례식장 Updating
  • Table of Contents:

문상절차

조문예절

종교별 문상예절 | 장례정보 |  장례식장
종교별 문상예절 | 장례정보 | 장례식장

Read More

장례식장 절하는법은? 여자/남자 장례식 절하는법 : 네이버 블로그

  • Article author: m.blog.naver.com
  • Reviews from users: 43117 ⭐ Ratings
  • Top rated: 3.1 ⭐
  • Lowest rated: 1 ⭐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장례식장 절하는법은? 여자/남자 장례식 절하는법 : 네이버 블로그 하지만, 요즘엔 명절 아니고서야 절을 하는경우가 드물고 장례식장 절하는법에 대해 손의 위치, 횟수 등 절하는법이 헷갈리실 때가 많으실 겁니다.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장례식장 절하는법은? 여자/남자 장례식 절하는법 : 네이버 블로그 하지만, 요즘엔 명절 아니고서야 절을 하는경우가 드물고 장례식장 절하는법에 대해 손의 위치, 횟수 등 절하는법이 헷갈리실 때가 많으실 겁니다.
  • Table of Contents:

카테고리 이동

삼가

이 블로그 
장례 정보 
 카테고리 글

카테고리

이 블로그 
장례 정보 
 카테고리 글

장례식장 절하는법은? 여자/남자 장례식 절하는법 : 네이버 블로그
장례식장 절하는법은? 여자/남자 장례식 절하는법 : 네이버 블로그

Read More

한국장례협회

  • Article author: www.fta.or.kr
  • Reviews from users: 4799 ⭐ Ratings
  • Top rated: 4.9 ⭐
  • Lowest rated: 1 ⭐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한국장례협회 공수시 남자는 왼손을 위로하고 여자는 오른손을 위로 하여 두 손을 가지런히 포갠다. 흉사때는 남녀 모두 평사시와 반대로 한다. 절하기전바른자세; 남자절; 여자절 …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한국장례협회 공수시 남자는 왼손을 위로하고 여자는 오른손을 위로 하여 두 손을 가지런히 포갠다. 흉사때는 남녀 모두 평사시와 반대로 한다. 절하기전바른자세; 남자절; 여자절 … 협회소식, 장례식장검색, 장사시설안내, 관련법령 및 장례관련 정보 수록
  • Table of Contents:
한국장례협회
한국장례협회

Read More

장례식장 모바일

  • Article author: m.chamc.co.kr
  • Reviews from users: 40347 ⭐ Ratings
  • Top rated: 3.2 ⭐
  • Lowest rated: 1 ⭐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장례식장 모바일 조문방법 · 1 빈소에 도착하여 상주에게 인사 드린 후 영정 앞에 무릎 꿇고 앉아 분향한다. · 2 분향 후 일어서서 두 번 절 한다. · 3 물러나와 상주에게 절한다. · 4 안면이 …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장례식장 모바일 조문방법 · 1 빈소에 도착하여 상주에게 인사 드린 후 영정 앞에 무릎 꿇고 앉아 분향한다. · 2 분향 후 일어서서 두 번 절 한다. · 3 물러나와 상주에게 절한다. · 4 안면이 …
  • Table of Contents:
장례식장 모바일
장례식장 모바일

Read More

장례식장 남자, 여자 절하는법 및 횟수 아시나요?

  • Article author: veredongce.tistory.com
  • Reviews from users: 10600 ⭐ Ratings
  • Top rated: 3.2 ⭐
  • Lowest rated: 1 ⭐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장례식장 남자, 여자 절하는법 및 횟수 아시나요? 우선 장례식장 남자, 여자 절하는법을 알려드린다면은 손 위치부터가 다릅니다. 남자는 오른손이 위로가게끔 하구요! 여자는 왼손이 위고가게끔 하시면 됩니다.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장례식장 남자, 여자 절하는법 및 횟수 아시나요? 우선 장례식장 남자, 여자 절하는법을 알려드린다면은 손 위치부터가 다릅니다. 남자는 오른손이 위로가게끔 하구요! 여자는 왼손이 위고가게끔 하시면 됩니다. 장례식장 남자, 여자 절하는법 및 횟수 나이가 그리 많이 먹지는 않았지만 30살 중반쯤 다가왔을 때 경조사 소식을 많이 접하게 됩니다. 특히 제가 직장에서 맡은 업무중에 하나가 ‘경조사’ 업무인데 자주는 아니..
  • Table of Contents:

태그

‘내가 쓰고싶은 이야기유용한 정보들’ Related Articles

티스토리툴바

장례식장 남자, 여자 절하는법 및 횟수 아시나요?
장례식장 남자, 여자 절하는법 및 횟수 아시나요?

Read More

남녀 장례식장 절하는법 정리(손위치)

  • Article author: smartofficial.tistory.com
  • Reviews from users: 17998 ⭐ Ratings
  • Top rated: 4.3 ⭐
  • Lowest rated: 1 ⭐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남녀 장례식장 절하는법 정리(손위치) 남녀 장례식장 절하는법 정리(손위치) · 1. 오른손이 위로 오게 손을 모으고 바로 선다. · 2. 모은 손을 눈높이까지 든다. · 3. 왼발을 뒤로 뺀후 왼쪽무릎 …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남녀 장례식장 절하는법 정리(손위치) 남녀 장례식장 절하는법 정리(손위치) · 1. 오른손이 위로 오게 손을 모으고 바로 선다. · 2. 모은 손을 눈높이까지 든다. · 3. 왼발을 뒤로 뺀후 왼쪽무릎 … 나이가 먹을수록 장례식장에 갈일이 많아집니다. 저도 아직은 젊지만 매년 조금씩 그 횟수가 늘어나는 것 같네요. 오늘은 혹시라도 처음 장례식장에 가시는 분들을 위해 장례식장 예절 중 절하는법에 대해 알아보..
  • Table of Contents:

댓글1

공지사항

최근글

인기글

최근댓글

태그

전체 방문자

남녀 장례식장 절하는법 정리(손위치)
남녀 장례식장 절하는법 정리(손위치)

Read More

장례정보《장례정보 | 온새미로 상조

  • Article author: onsae.kr
  • Reviews from users: 174 ⭐ Ratings
  • Top rated: 4.3 ⭐
  • Lowest rated: 1 ⭐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장례정보《장례정보 | 온새미로 상조 따라서 제사, 차례, 세배 때의 공수의 위치는 평상시와 같다. … 공수한 손을 풀어서 두 손을 벌려 바닥을 짚으며 하는 절을 고두배라 한다.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장례정보《장례정보 | 온새미로 상조 따라서 제사, 차례, 세배 때의 공수의 위치는 평상시와 같다. … 공수한 손을 풀어서 두 손을 벌려 바닥을 짚으며 하는 절을 고두배라 한다. 100% 국산 제조 장의 용품을 사용하는 후불식 장례토탈서비스100% 국산 제조 장의 용품을 사용하는 후불식 장례토탈서비스
  • Table of Contents:
See also  Top 17 김포 아파트 시세 Best 175 Answer

공수법(拱手法) 절하는 예절

절에서 참고할 점

손을 맞잡는 공수법(拱手法)

남자 절의 기본동작

남자의 평절 (돈수배 頓首拜)

여자 큰절의 기본동작

여자의 평절 (평배 平拜)

여자의 반절 (반배 反拜)

절의 횟수와 하는법

세배의 의미

가족끼리의 세배방법

절의 의미

절하는 법

공수법(손가짐)

남자가 큰절하는 법

여자가 큰절하는 법

장례정보《장례정보 | 온새미로 상조
장례정보《장례정보 | 온새미로 상조

Read More

절할때 손위치 설날, 추석, 장례식 공수법 소개

  • Article author: zisikeat.tistory.com
  • Reviews from users: 29429 ⭐ Ratings
  • Top rated: 4.9 ⭐
  • Lowest rated: 1 ⭐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절할때 손위치 설날, 추석, 장례식 공수법 소개 매년 새해가 되면 부모님과 할머니 할아버지 께 새배를 하곤 합니다. · 하지만 지금은 설날을 제외하면 명절 때 조상님께 절을 하는 것 말고는 절을 할 …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절할때 손위치 설날, 추석, 장례식 공수법 소개 매년 새해가 되면 부모님과 할머니 할아버지 께 새배를 하곤 합니다. · 하지만 지금은 설날을 제외하면 명절 때 조상님께 절을 하는 것 말고는 절을 할 … 매년 새해가 되면 부모님과 할머니 할아버지 께 새배를 하곤 합니다. 새로운 해를 맞이하여 어른들께 인사를 하곤 하죠. 옛날에는 오랜만에 어른들을 만나면 목례나 인사 대신 절을 하곤 하던 시절이 있었습니다…아는만큼 활용하고 배운만큼 써먹는 세상. 세상의 모든 지식의 집합소
  • Table of Contents:
절할때 손위치 설날, 추석, 장례식 공수법 소개
절할때 손위치 설날, 추석, 장례식 공수법 소개

Read More


See more articles in the same category here: https://toplist.cazzette.com/blog.

종교별 문상예절

종교별 문상예절

문상절차

상가(빈소)에 도착하면

상가(빈소)에 도착하면 문밖에서 외투나 모자 등을 미리 벗어 둔다. 상주에게 가볍게 목례를 하고 영정 앞에 무릎을 꿇고 앉는다. 분향 및 헌화 방법은 향나무를 깎은 나무향일 경우는 오른손으로 향을 집어 향로 위에 놓는데 이 때 왼손으로 오른 손목을 받친다. 선향(막대향)일 경우 하나나 둘을 집어 촛불에 불을 붙인 다음 손가락으로 가만히 잡아서 끄든지 왼손으로 가볍게 흔들어 끄고 절대 입으로 불면 안 된다. 다음으로 두손으로 공손히 향로에 꽂는데 선향은 하나로 충분하나 여러 개일 경우 반드시 하나씩 꽂아야 한다.

헌화를 할 때는 오른손으로 꽃줄기 하단을 가볍게 잡고 왼손 바닥으로 오른손을 받쳐 들어 두 손으로 공손히 꽃 봉우리가 영정 쪽으로 향하게 하여 재단위에 헌화 한 뒤 잠깐 묵념 및 기도를 한다. 영좌 앞에 일어서서 잠깐 묵념 또는 두 번 절한다. 영좌에서 물러나 상주와 맞절을 한다. 종교에 따라 절을 하지 않는 경우는 정중히 고개를 숙여 예를 표해도 된다. 평소 안면이 있는 경우라면 상주에게 문상 인사말을 건네는데 이때는 낮은 목소리로 짧게 위로의 말을 하되 고인과 관련 된 질문을 많이 하는 것은 좋지 않다. 문상이 끝나고 물러나올 때에는 두세 걸음 뒤로 물러난 뒤, 몸을 돌려 나오는 것이 예의이다.

문상시 위로의 인사말

문상을 가서 어떤 위로의 말을 해야 할지 몰라 망설인다. 실제 조문의 말은 문상객과 상주의 나이 관계에 따라 다양하다.

보통은 “삼가 조의를 표합니다”, “얼마나 슬프십니까” 가 좋다.

상주는 상중에는 항상 죄인이므로 “고맙습니다”, “찾아 주셔서 감사합니다” 하고 문상 온 사람에게 고마움을 표한다.

조문예절

기독교식

빈소에 들어서서 상주와 가벼운 목례를 하고 준비된 국화꽃을 들고 고인영정 앞에 헌화한 후 뒤로 한 걸음 물러서 15도 각도로 고개 숙여 잠시동안 묵념을 드린 후 상주와 맞절을 하고 상중 위로의 말씀을 드린다.

천주교식

빈소에 들어서서 상주와 가벼운 목례를 하고 준비된 국화꽃을 들고 고인영정 앞에 헌화한 후 뒤로 한 걸을 물러서서 15도 각도로 고개 숙여 잠시동안 묵념을 드린 다음 준비된 향을 집어서 불을 붙인 다음 향을 좌우로 흔들어 불꽃을 끈다. (입으로 불어서 끄지 않는다.)

한쪽 무릎을 끓고 향로에 향을 정중히 꽂고 일어나 한 걸음 뒤로 물러서 절을 올린다. 절을 올린 후에 상주와 맞절을 하고 상중 위로의 말씀을 드린다.

※ 향나무의 가루 향으로 만들어진 향은 오른손의 엄지와 검지로 향을 집어서 오른손을 왼손으로 받치고 향로(향불)에 공손히 넣는다.

불교식(유교식포함)

빈소에 들어서서 상주와 가벼운 목례를 한 다음, 영정 앞에 무릎을 끓고 앉아 준비된 향을 집어서 불을 붙인 다음 향을 좌우로 흔들어 불꽃을 끄고 향로에 향을 정중히 꽂고 일어나 한걸음 뒤로 물러나 절을 올린다. 절을 올린 후에 상주와 맞절을 하고 상중 위로의 말씀을 드린다.

※ 최근에는 문상객 위주가 아닌 상가 댁 위주의 문상예절이 이루어지고 있어, 상가의 상황에 맞는 문상예절을 하여야 한다.

현대상복으로 표시

남자는 검은 양복, 여자는 흰색이나 검은색 치마저고리 및 검은색 양장을 착용 후 입관이 끝나면 완장 및 리본으로 상주임을 표시하고 있다.

공수법

절을 할 때나 예의를 표할 때 평상시는 남자는 왼손이 위이고 여자는 오른손이 위로 간다. 그러나 흉사에는 평상시와 반대로 남자는 오른손이 위로 가고 여자는 왼손이 위로 간다.

※ 산 사람에게 한번, 죽은 사람에게 남자는 재배라 하여 두 번 절한다. 여자는 사배라 하여 네 번 절 하는데 그 이유는 여자는 음이므로 양인 남자의 갑절 수로 절을 한다. 음양의 원리에 의해 양의 수는1, 음의 수는 2로 간주하기 때문이다. 오늘날 현대에는 남녀공통으로 재배로 바뀌는 경향이다.

문상예절

문상객의 옷차림

– 예전에 우리 조상들은 평상복이 한복이었던 관계로 흰 옷을 입고 가는 것이 예의였으나, 현대에 이르러서는 양복을 입는 관계로 문상객의 복장도 변모하게 되었다.

– 기본적으로 화려한 색상의 의복이나 장식은 피하며, 가능한 무채색 계통의 단정한 옷차림이 무난하다. 고인 또는 상주와 각별한 문상객일 경우에는 아래아 같은 복장을 갖추는 것이 예의이다.

남성 문상객의 옷차림

현대의 장례 예절에서는 검정색 양복을 입는 것이 무난하다.

검정색 양복이 준비되지 못한 경우 감색이나 회색 양복도 무방하다.

와이셔츠는 될 수 있는 대로 화려하지 않은 흰색 또는 무채색 계통의 단색으로 하는 것이 좋다.

여성 문상객의 옷차림

검정색 상의에 무채색 계통의 폭이 넓은 치마를 입는 것이 가장 무난하다.

검정색 구두에 스타킹이나 양말을 필히 작용하여 맨발을 보이지 않아야 한다.

그밖에 장갑이나 핸드백도 검정색으로 통일 시킨다.

또한 되도록 색채화장은 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귀걸이, 목걸이, 반지 등 장신구도 가능하면 피하거나 눈에 띄지 않도록 한다.

절하는 법

절의 의미

절이란 몸을 굽혀 공경(恭敬)을 표시하는 인사 방법으로 인간이 살아가는 데 있어서 지켜야할 많은 예절 가운데서도 상대편에 대한 공경과 반가움을 나타내는 가장 기본적인 행동 예절이다.

절은 윗사람을 공경하고 아랫사람을 공경하는 예로써 행하여지며, 공경해야 할 대상을 상징하는 표상이나 의식행사에서도 한다.

공수법(拱手法)

두 손을 모아 앞으로 잡는 것을 공수라 하는데 이는 공손한 자세를 나타내며, 모든 행동의 시작이다. 공손한 자세는 어른에게는 공손한 인상을 가질 수 있도록 해야 하고, 공손한 자세를 취하는 사람에게도 편안한 자세가 되어야 한다.

공수는 두 손을 앞으로 모아서 잡는 것을 말한다.

공수는 남자와 여자의 손 위치가 다르다.

공수는 평상시(平常時)와 흉사시(凶事時)가 다르다.

공수는 의식행사에 참석했을 때나 어른을 뵐 때 반드시 한다.

공수는 배례(拜禮, 절)의 기본동작(基本動作)이다.

평상시 남자와 여자의 공수(拱手) 동장

공수시 남자는 왼손을 위로하고 여자는 오른손을 위로 하여 두 손을 가지런히 포갠다.

흉사때는 남녀 모두 평사시와 반대로 한다.

절하기전 바른자세 양팔을 자연스럽게 내려 양 옆에 둔다. (손가락을 모두 모아 가볍게 주먹을 쥔다.)

공수(拱手)한 손을 허리선 부분에 놓는다. (평상시 공수 (拱手) 자세는 왼손을 위로 하여 맞잡고,

흉사 (凶事)에는 오른손이 위로 가도록 잡는다. ※ 흉사 (凶事) : 대공복 (大功服) 이상의 상 (喪)을 말한다. 양팔을 자연스럽게 내려 양 옆에 둔다. (손가락을 모두 모아 가볍게 오므린다.)

공수(拱手)한 손을 허리선 부분에 놓는다. (평상시 공수 (拱手) 자세는 오른손을 위로 하여 맞잡고,

흉사 (凶事)에는 왼손이 위로 가도록 잡는다. ※ 흉사 (凶事) : 대공복 (大功服) 이상의 상 (喪)을 말한다.

남자 큰절(상례 : 큰절을 두 번 한다.) ① 자세를 바로 한다.

– 이때, 공수(拱手)한 손은 허리선 부분에 두고 바른 자세로 선다.

※ 공수(拱手) : 평상시에는 왼손을 위로하고 흉사(凶事)시에는 오른손을 위로 한다.

– 이때, 공수(拱手)한 손은 허리선 부분에 두고 바른 자세로 선다. ※ 공수(拱手) : 평상시에는 왼손을 위로하고 흉사(凶事)시에는 오른손을 위로 한다. ② 공수(拱手)한 손을 눈높이로 올린다.

– 이때, 손바닥은 바닥을 향하도록 하고 눈은 발등을 향한다.

※ 평절의 경우 공수한 손을 가슴높이로 올릴 뿐 나머지 방법은 큰절과 같다(한번만 한다).

– 이때, 손바닥은 바닥을 향하도록 하고 눈은 발등을 향한다. ※ 평절의 경우 공수한 손을 가슴높이로 올릴 뿐 나머지 방법은 큰절과 같다(한번만 한다). ③ 왼 발을 조금 뒤로 빼면서 공수한 손으로 바닥을 짚고 무릎을 꿇는다.

– 이때, 왼쪽 무릎을 먼저 꿇고 오른쪽 무릎을 꿇는다.

– 이때, 왼쪽 무릎을 먼저 꿇고 오른쪽 무릎을 꿇는다. ④ 몸을 앞으로 깊이 숙여 절한다. * 큰절은 절을 하는 사람에게 답배를 하지 않아도 되는 높은 어른 및 의식행사(관례, 혼인례, 상례(장례), 제례(제사))시를 대상으로 한다.

(직계존속, 배우자의 직계존속, 8촌 이내의 연장존속). * 평절은 절을 하는 사람에게 답배 또는 평절로 맞절을 해야 하는 웃어른이나 또래를 대상으로 한다.

(선생님, 연장자, 상급자, 배우자, 형님, 누님, 형수, 시숙, 시누이, 올케, 제수, 친구사이).

여자 (상례 : 큰절을 두 번 한다.) ① 자세를 바로 한다.

– 공수(拱手)한 손은 허리선 부분에 두고 바른 자세로 선다.

– 공수(拱手) : 평상시에는 오른손을 위로하고 흉사(凶事)시에는 왼손을 위로 한다.

– 공수(拱手)한 손은 허리선 부분에 두고 바른 자세로 선다. – 공수(拱手) : 평상시에는 오른손을 위로하고 흉사(凶事)시에는 왼손을 위로 한다. ② 공수(拱手)한 손을 풀어 바로 선 자세에서 무릎 꿇고 앉는다.

③ 양손을 무릎 앞부분 양 옆의 바닥을 짚으며 절한다. ① 자세를 바로 한다.

– 공수(拱手)한 손은 허리선 부분에 두고 바른 자세로 선다.

– 공수(拱手) : 평상시에는 오른손을 위로하고 흉사(凶事)시에는 왼손을 위로 한다.

– 공수(拱手)한 손은 허리선 부분에 두고 바른 자세로 선다. – 공수(拱手) : 평상시에는 오른손을 위로하고 흉사(凶事)시에는 왼손을 위로 한다. ② 공수(拱手)한 손을 눈높이로 올린다.

– 손바닥이 바닥을 향하도록 하고 눈은 다소곳이 발등을 향한다.

– 손바닥이 바닥을 향하도록 하고 눈은 다소곳이 발등을 향한다. ③ 공수(拱手)한 손을 눈높이에 둔 채 무릎꿇고 앉는다.

④ 몸을 앞으로 깊이 숙여 절한다. * 큰절은 절을 하는 사람에게 답배를 하지 않아도 되는 높은 어른 및 의식행사(관례, 혼인례, 상례(장례), 제례(제사)) 시를 대상으로 한다.

(직계존속, 배우자의 직계존속, 8촌 이내의 연장존속). * 평절은 절을 하는 사람에게 답배 또는 평절로 맞절을 해야 하는 웃어른이나 또래를 대상으로 한다.

(선생님, 연장자, 상급자, 배우자, 형님, 누님, 형수, 시숙, 시누이, 올케, 제수, 친구사이).

문상 할 때의 인사말

문상시 인사말

상 할 때에는 고인에게 재배하고 상주에게 절한 후 아무 말도 하지 않고 물러나오는것이 일반적이며 전통적인 예의이다. 상을 당한 사람을 가장 극진히 위로해야 할 자리이지만 그 어떤 말도 상을 당한 사람에게는 위로가 될 수 없다는 뜻이며 오히려 아무 말도 하지 않는 것이 더 깊은 조의를 표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문상을 받은 상주 역시 말을 하지 않는 것을 모법으로 여기며, 더욱이 상주는 죄인이므로 말을 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 전통적인 관습이다.

실제 문상의 말은 문상객과 상주의 나이, 평소의 친소 관계 등,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건네는 것이 합리적이다. 격식이나 형식을 차린 표현보다 따뜻하고 진지한 위로 한마디를 미리 문상 전에 준비하는 것이 좋다.

상주도 ‘고맙습니다’, ‘뭐라 드릴 말씀이 없습니다.’ 등으로 문상에 대한 감사를 표한다.

상주의 부모인 경우

상사에 얼마나 애통하십니까?

친환(親患)으로 그토록 초민(焦悶)하시더니 이렇게 상을 당하시어 얼마나 망극하십니까?

환중이시라는 소식을 듣고도 찾아 뵈옵지 못하여 죄송하기 짝이 없습니다.

그토록 효성을 다하셨는데도 춘추가 높으셔서 인지 회춘을 못하시고 일을 당하셔서 더욱 애통하시겠습니다.

망극한 일을 당하셔서 어떻게 말씀드려야 좋을지 모르겠습니다. [용어] 망극 (罔極) : 부모상(父母喪)에만 쓰인다.

상주의 아내인 경우

위로할 말씀이 없습니다.

옛 말에 고분지통(叩盆之痛)이라 했는데 얼마나 섭섭 하십니까? [용어] 고분지통(叩盆之痛) : 아내가 죽었을 때 물동이를 두드리며 슬퍼했다는 장자(莊子)의 고사에서 나온 말이다.

* 고분지통(鼓盆之痛)이라고도 한다. (叩) = 두드릴 고

상주의 남편인 경우

상사에 어떻게 말씀을 여쭐지 모르겠습니다.

천붕지통(天崩之痛)에 슬픔이 오죽하십니까?

하늘이 무너진다는 말씀이 있는데, 얼마나 애통하십니까. [용어] 천붕지통 (天崩之痛) : 하늘이 무너지는 듯 한 아픔이라는 뜻으로 “남편이 죽은 슬픔”을 이르는 말이다.

상제의 형제인 경우

백씨(伯氏) 상을 당하셔서 얼마나 비감하십니까?

백씨(伯氏) : 남의 맏형의 존댓말

중씨(仲氏) : 남의 둘째 형의 높임말

계씨(季氏) : 남의 사내 아우에 대한 높임말

“할반지통(割半之痛)이 오죽하시겠습니까? [용어] 할반지통(割半之痛) : 몸의 절반을 베어내는 아픔이란 뜻으로 그 “형제자매가 죽은 슬픔”을 이르는 말이다.

자녀가 죽었을 때 그 부모에게

얼마나 상심하십니까?

참척(慘慽)을 보셔서 얼마나 마음이 아프십니까?

참경(慘景)을 당하시어 얼마나 비통하십니까?

인사말 예시

문상객이 먼저 빈소에 곡재배(哭再拜)한다.

상주에게 절을 하고 꿇어 앉아 정중한 말씨로 다음과 같은 예를 표한다.

문상객 : 상사말씀 무슨 말씀 여쭈오리까.

상 주 : 모두 저의 죄가 큰 탓인가 봅니다.

문상객 : 대고를 당하시니 얼마나 애통하십니까.

상 주 : 원로에 이토록 수고하여 주시니 송구하옵니다.

문상객 : 변환이 침중하시더니 상사까지 당하시니 오죽 망극하오리까.

상 주 : 망극하기 그지 없습니다.

고례에는 문상객이 망인 및 상주와의 관계에 따라 인사말이 달랐으나, 인사말의 내용이 모두 “슬픔을 위로 위문”하는 말이었다. 그러므로 현대에는 누가 죽었던지 어렵지 않게 “얼마나 슬프십니까?” 라고 하면 된다.

상주의 대답하는 말도 고례에는 경우에 따라 달랐으나 내용은 한결같이 “슬프다”는 것이었다. 그러므로 현대에는 “오직 슬플 따름입니다.” 라고 대답하면 된다. 조문할 다른 손님이 기다리고 있으면 공손히 물러나고, 만일 한가하면 잠시 다른 위문의 인사를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상주가 피곤하지 않도록 유위해야 한다.

고인이 연하일 경우 문상 방법

아내의 상(喪) 또는 제사에는 절을 하나, 자식에게는 절하지 않는다.

아우, 조카 상에 절하지 않는다.

친구 부인(喪)이나 이성 사돈 상(喪)의 경우

– 평소 인사하고 지내던 사이면 절하고, 평소 모르고 지내던 사이면 절하지 않는 것이 옛 원칙이라 하나, 현대에는 두 경우 모두 절한다.

– 고인에게 절 하는지 여부는 고인이 연하일 경우는 통상 절하지 않으며, 고인이 연상일 경우는 절하는 것이 도리이다.

※ 선조들 가운데는 고인의 사망성격(순직등)에 따라 예우 차원에서 연하 일지라도 절을 하신 경우도 있다. 이러한 예는 현대에도 이어져 시행되고 있다.

연하인 상주에게 절하는지 여부

상주 나이가 연하일 경우에는 문상객이 먼저 절하지 않는다.

어른이 문상시는 상주가 먼저 절을 하면 답례를 할 뿐이다.

문상시 삼가해야 할 일

장례식장 남자, 여자 절하는법 및 횟수 아시나요?

반응형

장례식장 남자, 여자 절하는법 및 횟수 나이가 그리 많이 먹지는 않았지만 30살 중반쯤 다가왔을 때 경조사 소식을 많이 접하게 됩니다. 특히 제가 직장에서 맡은 업무중에 하나가 ‘경조사’ 업무인데 자주는 아니더라도 조문을 들이러 가는 경우가 몇몇 있습니다. 그럴때마다 장례식장 절하는법 부터 횟수는 어떻게 해야할지 그리고 종교가 맞지 않을때에는 어떻게 절을해야할지 말아야할지 고민이 많이 듭니다. 특히 처음으로 조문가는 사람들은 더욱더 궁금할 수 밖에 없는터라서! 제가 장례식장 절하는법 및 횟수 그리고 기타 지켜야할 사항들을 조금 설명드리겠습니다.

우선 장례식장 남자, 여자 절하는법을 알려드린다면은 손 위치부터가 다릅니다. 남자는 오른손이 위로가게끔 하구요! 여자는 왼손이 위고가게끔 하시면 됩니다.

장례식에 정보에 대해서 더 알고싶다면

장례식장 남자 절하는 법

1. 남자는 공수(엇갈린 손)을 복근쪽에 두고 바른 자세로 선 다음에 손을 눈 높이로올려줍니다. 손을 올림과 동시에 발위를 향해서 눈을 응시해주시면 됩니다.

2. 왼발을 조금 뺀 뒤에 공수한 손을 그대로 유지한 상대에서 바닥을 짚고 무릎을 공손히 꿇어주고 나머지 오른쪽 무릎을 꿇습니다. 사실 왜 왼쪽부터인지 모르지만 그렇다하니 왼쪽 → 오른쪽으로 무릎을 꿇으세요!

3. 그리고 몸을 앞으로 숙여서 절을 해주고 절을 할때에는 마음속으로 3초 정도 세고 일어서는게 가장 적절하지 않나 생각하고있어요 왜냐면 장례식에 홀수가 중요한 숫자로 생각하기에!

장례식장 절 횟수는 영정을 향해서 큰절 2번, 목례 1번(말 그대로 목례입니다!) 그리고 상주와 함께 맞절을 1번 하시면 됩니다. 그러면 총 큰절이 3번이 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상조에 대한 정보를 알아봅시다!

장례식장 여자 절하는 법

1. 여자 또한 처음자세는 남자와 같습니다. 공수한 손을 복부쪽에 공손히 얹힌 상태에서눈쪽으로 올리며 발등을 쳐다봅니다.

2. 남성과 달리 1번째 그대로 무릎을 꿇고 절을 합니다. 마찬가지로 큰절을 2번합니다. 그리고 상주와 1번 맞절을 하고 들어오시면됩니다. 여기서 주의해야 하실점은 상주와 맞절 후 언제 고개를 들지 타이밍을 모르시는 분이 있는데 먼저 고개를 들어주시는데 맞습니다. 그리고 큰 잡담식의 대화는 삼가해주시고 위로를 하고싶다면 짧고 강하게 위로를 해주시면 될 것 같습니다.

또한 상주와 맞절 후에 나올 때에 곧바로 몸을 돌려 등을 보이는게 아니라 2~3 걸음은 뒷걸음으로 나오고나서 천천히 몸을 돌려주시는게 좋습니다.

장례식장 남자, 여자 절하는 법 및 횟수외 따져야할 것들이 참 많죠? 예의는 예의지만 모두가 돌아가시는 분을 좋은 곳으로 보내기 위해 귀중한 자리를 참석해준거기에 너무 어긋난 행동이 아니면은 다 감사하게 봐주는것이 그게 좋은게 아닐까 생각합니다!

이상 포스팅 끝! 장례식장 남자, 여자 절하는법 및 횟수

반응형

So you have finished reading the 장례식 절 손 위치 topic article, if you find this article useful, please share it. Thank you very much. See more: 장례식장 절 횟수, 장례식장 예절 알려준다, 장례식 절 방법, 조문예절 남자, 손아랫사람 문상, 조문예절, 장례식장 예절 인사말, 자녀상 조문

See also  Top 8 증권사 환전 수수료 비교 Quick Answer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