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looking for information, articles, knowledge about the topic nail salons open on sunday near me 컨테이너 스마트 팜 on Google, you do not find the information you need! Here are the best content compiled and compiled by the toplist.cazzette.com team, along with other related topics such as: 컨테이너 스마트 팜 컨테이너 스마트팜 가격, 컨테이너 스마트팜 수익, 컨테이너 농장 가격, 엔씽 컨테이너 가격, 컨테이너 식물공장, 스마트팜 문제점, 컨테이너 수경재배, 스마트팜 큐브
Table of Contents
Lab Farm – Design by KI SEE UN / LEE YONG WOO
- Article author: labfarm.co.kr
- Reviews from users: 7606
Ratings
- Top rated: 4.5
- Lowest rated: 1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Lab Farm – Design by KI SEE UN / LEE YONG WOO ICT 융합형 무균, 무농약 컨테이너팜. 전자동 90% 운영으로 바질,양상추,허브류등 6200 … 식물공장은 오토매틱스와 로보틱스 기술이 필요한 3세대 스마트팜 기술임.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Lab Farm – Design by KI SEE UN / LEE YONG WOO ICT 융합형 무균, 무농약 컨테이너팜. 전자동 90% 운영으로 바질,양상추,허브류등 6200 … 식물공장은 오토매틱스와 로보틱스 기술이 필요한 3세대 스마트팜 기술임.
- Table of Contents:
회사 소개
갤러리
우리의 서비스
Featured Projects
도시형 식물공장 컨테이너팜 (순환식 수직재배 특허등록)
노지 모니터링 제어 시스템
온실하우스 설치 운영
실시간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현장적응형 태양광 패널 로봇청소기(특허출원)
스포츠 라이트 제어시스템
혁신적인 스마트팜을 연구하는 사람들
Our Team
LabFARM News
문의하기

“매일 물 100L 옮겼다” 컨테이너에서 시작한 스마트팜, 사연은? < 현장 < 뉴스 < 기사본문 - 헬로디디
- Article author: www.hellodd.com
- Reviews from users: 34921
Ratings
- Top rated: 4.8
- Lowest rated: 1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매일 물 100L 옮겼다” 컨테이너에서 시작한 스마트팜, 사연은? < 현장 < 뉴스 < 기사본문 - 헬로디디 뉴팜은 설립 3년 차 아쿠아포닉스 스마트팜 기업이다. 아쿠아포닉스(양어수경재배)란 물고기에서 나오는 유기물로 식물을 재배하고, 식물은 다시 물을 ...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매일 물 100L 옮겼다” 컨테이너에서 시작한 스마트팜, 사연은? < 현장 < 뉴스 < 기사본문 - 헬로디디 뉴팜은 설립 3년 차 아쿠아포닉스 스마트팜 기업이다. 아쿠아포닉스(양어수경재배)란 물고기에서 나오는 유기물로 식물을 재배하고, 식물은 다시 물을 ... 약 4평짜리 컨테이너가 전부였다. 별도의 수도관도 없어 매일 집에서 컨테이너까지 20L 물통 5개를 옮겼다. 손목에 깁스는 고질병이 된 지 오래다. 그렇게 2년 뒤, 현재 그 컨테이너는 50평짜리 어엿한 기업이 됐다. 월 500kg, 일 년 6t에 달하는 친환경 채소를 재배하며 국내 스마트팜계 신흥강자로 떠오르고 있다.지난달 17일 울산 롯데호텔에서 열린 '울주 스마트팜 네트워크 포럼 발대식' 참여 기업인 '뉴팜' 이야기다. 울주군은 KISTI(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울산테크노파크 등과 손잡고 울주형 스파트팜 단지 조성에 나섰다.
- Table of Contents:
상단영역
본문영역
하단영역
전체메뉴

컨테이너 스마트팜 | Gooli.kr | 대한민국
- Article author: www.gooli.kr
- Reviews from users: 5234
Ratings
- Top rated: 4.7
- Lowest rated: 1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컨테이너 스마트팜 | Gooli.kr | 대한민국 주식회사 굴리(Gooli.kr)는 컨테이너 스마트팜|공유|렌탈 스마트팜을 연구 개발하는 대한민국 농업 스타트업입니다.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컨테이너 스마트팜 | Gooli.kr | 대한민국 주식회사 굴리(Gooli.kr)는 컨테이너 스마트팜|공유|렌탈 스마트팜을 연구 개발하는 대한민국 농업 스타트업입니다. 주식회사 굴리(Gooli.kr)는 컨테이너 스마트팜|공유|렌탈 스마트팜을 연구 개발하는 대한민국 농업 스타트업입니다.
- Table of Contents:
Freedom for farmers
농부들에게 자유를
(충남 서산) 서윤원 농장주님

글로벌 ‘컨테이너 스마트 팜’ 기업으로 자리 잡은 엔씽, 유통까지 해결하는 모듈형으로 “5년내 매출 1조원 전망” : 네이버 블로그
- Article author: m.blog.naver.com
- Reviews from users: 21105
Ratings
- Top rated: 3.8
- Lowest rated: 1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글로벌 ‘컨테이너 스마트 팜’ 기업으로 자리 잡은 엔씽, 유통까지 해결하는 모듈형으로 “5년내 매출 1조원 전망” : 네이버 블로그 농장에서 공장으로 보내 채소를 다듬고 다시 마트로 보내는 유통 단계를 생략하겠다는 전략이다. 이를 통해 농장에서 식탁까지 한 번에 다가가는 팜투 …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글로벌 ‘컨테이너 스마트 팜’ 기업으로 자리 잡은 엔씽, 유통까지 해결하는 모듈형으로 “5년내 매출 1조원 전망” : 네이버 블로그 농장에서 공장으로 보내 채소를 다듬고 다시 마트로 보내는 유통 단계를 생략하겠다는 전략이다. 이를 통해 농장에서 식탁까지 한 번에 다가가는 팜투 …
- Table of Contents:
카테고리 이동
더농부
이 블로그
FARM 사람
카테고리 글
카테고리
이 블로그
FARM 사람
카테고리 글
스마트팜 – SmartFarm The30F
- Article author: www.the30f.com
- Reviews from users: 14114
Ratings
- Top rated: 4.5
- Lowest rated: 1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스마트팜 – SmartFarm The30F Self-Supply Energy Plant Factory using renewable energy [디엔비하우징]신재생에너지를 활용한 컨테이너형 식물공장(스마트팜) 소개자료 보기>>> …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스마트팜 – SmartFarm The30F Self-Supply Energy Plant Factory using renewable energy [디엔비하우징]신재생에너지를 활용한 컨테이너형 식물공장(스마트팜) 소개자료 보기>>> …
- Table of Contents:
식물공장 중장기정책
What can blockchain do for helpless farmers
[Concept]1st Blockchain Technology Based Smart Farm – The30F스마트팜이 이끌 미래 농업(삼정KPMG경제연구원)
수출용 컨테이너형 버섯공장 상용화 시스템 개발 최종보고서
[미래유망산업] 농업에 진출하는 기업사례 분석4차산업혁명에 대응한 스마트농업 발전방안

정용진이 점찍은 컨테이너 농장···IoT 접목 생산량 100배 늘려 – 머니투데이
- Article author: news.mt.co.kr
- Reviews from users: 25850
Ratings
- Top rated: 4.4
- Lowest rated: 1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정용진이 점찍은 컨테이너 농장···IoT 접목 생산량 100배 늘려 – 머니투데이 전통적 농업 중장비 제조사로 유명한 존디어는 농기계 제조업체가 아닌 미국 스마트팜 선두기업으로의 변신 중이다. 위성항법장치(GPS) 기술업체 ‘나브콤’ …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정용진이 점찍은 컨테이너 농장···IoT 접목 생산량 100배 늘려 – 머니투데이 전통적 농업 중장비 제조사로 유명한 존디어는 농기계 제조업체가 아닌 미국 스마트팜 선두기업으로의 변신 중이다. 위성항법장치(GPS) 기술업체 ‘나브콤’ … 정용진,IoT,컨테이너,농장,접목,생산량,위기,히어로,스타트업,어벤져스[스타트업 어벤져스-ⓛ식량위기](4)스마트농업, ‘생산·수확·유통’ 빅데이터로 영농의사결정 최적화식량 문제와 인구 고령화, 기후변화는 우리가 직면한 3대 위기로 꼽힙…
- Table of Contents:
포토 영상

해상운송용 냉동컨테이너, 스마트팜 변신
- Article author: www.coldchainnews.kr
- Reviews from users: 25762
Ratings
- Top rated: 4.1
- Lowest rated: 1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해상운송용 냉동컨테이너, 스마트팜 변신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정황근)는 해상운송용 냉동컨테이너를 스마트팜으로 재활용하는 사업을 진행하며 기술고도화를 추진하고 있는 도시농사꾼(대표 …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해상운송용 냉동컨테이너, 스마트팜 변신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정황근)는 해상운송용 냉동컨테이너를 스마트팜으로 재활용하는 사업을 진행하며 기술고도화를 추진하고 있는 도시농사꾼(대표 … 콜드체인뉴스콜드체인뉴스
- Table of Contents:
Search
실시간 인기기사

See more articles in the same category here: https://toplist.cazzette.com/blog/.
“매일 물 100L 옮겼다” 컨테이너에서 시작한 스마트팜, 사연은?
지난달 17일 울산 롯데호텔에서 열린 ‘울주 스마트팜 네트워크 포럼 발대식’ 참여 기업인 ‘뉴팜’ 이야기다. 울주군은 KISTI(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울산테크노파크 등과 손잡고 울주형 스파트팜 단지 조성에 나섰다. 울주군 서생면 명산리 일대를 중심으로 약 4만6000㎡(1만4000평) 규모다. 관련해 뉴팜과 같은 수십 개의 기업이 지원을 받고 있으며, KISTI는 본격적인 지원사격을 위해 연구원 내 ‘데이터팜 애자일팀’ 신규 조직을 신설했다.
지난달 17일 ‘울주 스마트팜 네트워크 포럼 발대식’이 울산 롯데호텔에서 진행됐다. [사진=이유진 기자]
정정현 뉴팜 대표는 “아쿠아포닉스라는 지속가능한 농업에 스마트팜을 접목시킨 최첨단 농법”이라며 “신선한 먹거리 제공을 신념으로 하루하루 성장하고 있다”고 말했다.
뉴팜이 처음 시작한 컨테이너. 별도의 수도관이 없어 매일 집에서 컨테이너까지 20L 물통 5개를 옮겼다고 한다. [사진=뉴팜 제공]
현재 울산에 위치한 뉴팜 전경.
뉴팜은 채소 모종부터 수확까지 6주가 채 걸리지 않는다. 2주간의 모종을 거쳐 4주간 재배하고 수확하는 방식이다. 이들은 물고기의 유기물을 필요로하기 때문에 4t 물탱크에 330여 마리 비단잉어와 향어도 기르고 있다. 모든 물이 식물과 물고기 간 순환되기 때문에 광합성으로 증발하는 물을 제외한 추가적인 물은 사용되지 않는다.
IT 기술이 물고기 먹이부터 모든 실내 환경을 컨트롤하며 인력도 기존 농업의 10분 1수준으로 줄어든다. 계절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모든 채소의 가격과 품질이 일 년 내내 동일하다. 최근 발생한 배춧값 폭등과 양상추 품귀 상태와 같은 현상이 벌어지지 않는다는 의미다.
이렇게 재배되는 채소들은 ▲버터헤드 ▲이자트릭스 ▲크리스타벨 ▲일레마 ▲스킬톤 ▲그린글레이스 ▲카이피라 ▲로메인 ▲멀티그린 등 9가지다. 이들은 무농약·무비료·무항생제·무GMO(유전자변형 농수산물)를 자랑한다. KISTI 특성분석센터 검사 결과, 아쿠아포닉스 야채의 경우 170ppm 질산염 수치가 기록됐다. 보통 2608ppm을 보이는 기존 수경재배 야채와 15배 이상 차이 나는 수준이다.
뉴팜이 아쿠아포닉스 형태로 재배하는 채소들. [사진=뉴팜 제공]
2주간의 모종(왼쪽)을 거쳐 4주간 재배(가운데)하면 수확할 수 있다. 채소 뿌리들은 물고기들의 유기물이 녹아있는 물을 먹는다(오른쪽). [사진=이유진 기자]
스마트폰으로 물고기 먹이 주기 버튼을 누르니(왼쪽) 먹이가 자동으로 나온다(가운데). 오른쪽은 뉴팜이 키우는 330여마리 비단잉어. [사진=이유진 기자]
정 대표는 “3년 이내 도심형 아쿠아포닉스 스마트팜 프랜차이즈 사업에 착수, 5년 이내엔 주요 대도시 내 도심형 아쿠아포닉스 스마트팜을 보급하고 수출까지 하고 싶다”고 밝혔다.
◆ 누구도 가보지 않은 길
“가보지 않은 길이라 두려운 게 사실입니다. 하지만 세상이 점점 기후변화, 감염병, 고령화로 인한 식재료 품귀현상을 겪고 있습니다. 반면 소득수준의 증가로 인해 친환경 먹거리는 점점 중요해지고 있죠. 환경에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안전하고 건강한 농산물 생산이 필요합니다. 누군가는 가야 하는 길이죠. 가보지 않고선 실패도 알 수 없습니다.”
정정현 뉴팜 대표는 “국내를 넘어 국외에 고품질의 친환경 먹거리를 선물하고 싶다”고 밝혔다. [사진=이유진 기자]
그는 ‘도심 속 아쿠아포닉스 스마트팜’을 꿈꾸고 있다. 기업이 성장해 전국 도심에 분점 개설, 소비자들과 보다 더 가까워지는 것이다.
정 대표는 “울주군 주민들이 아쿠아포닉스 농법에 대해서 조금씩 이해하고, 양액수경으로 재배한 야채에 비해 식감, 맛, 향, 신선도가 훨씬 뛰어나다는 평을 해주실 때마다 용기와 보람을 얻는다. 경영을 조금씩 안정화시켜 국내를 넘어 국외에 고품질의 친환경 먹거리를 선물하고 싶다”고 희망했다.
글로벌 ‘컨테이너 스마트 팜’ 기업으로 자리 잡은 엔씽, 유통까지 해결하는 모듈형으로 “5년내 매출 1조원 전망”
엔씽은 한국 스마트 팜을 대표하는 기업으로 자리 잡고 있다. 지난해까지만 해도 ‘성공 가능성이 있는 팜테크 스타트업’ 정도로 통했지만, 올해 1월 세계 최대 전자쇼 CES에서 최고혁신상(스마트시티 부문)을 받으면서 전세계에 이름을 알렸다. 애플, 삼성 등 글로벌 대기업들이 매년 찾는 CES에서 농업 관련 제품이 상을 받은 것은 엔씽이 처음이다.
엔씽이 개발한 ‘모듈형 컨테이너 팜’은 지난해 7월 아랍에미리트(UAE)에 설치된 뒤, 지난 2월부터 기술검증(PoC) 단계에 돌입했다. 운영이 가능한 최소 규모를 가동하면서 문제가 없는지 기술적으로 점검하는 절차다. 통상 이 단계가 종료되고 나서 대규모 양산을 하지만, 엔씽의 기술력을 본 UAE 협력사가 먼저 나서서 사업 확대 등을 제안하고 있다.
엔씽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로 인해 사업 진척이 더 빨라졌다. 농식품 수출입이 제한되면서 세계 각 국이 ‘식량 안보’를 중요하게 여기면서다. UAE를 포함한 중동 국가들은 엔씽에 잇따라 러브콜을 보내고 있다. 김혜연 엔씽 대표는 “스마트 팜 확산에 10년 정도 걸릴 것으로 생각했는데 3~5년으로 앞당겨진 분위기”라고 말했다.
서울 강남구 신사동으로 최근 사무실을 옮긴 엔씽 본사를 방문했다. 1층은 ‘쇼룸’으로 작은 스마트팜 시설을 설치했다. 방문객들은 작물이 자라는 모습을 보면서 음료를 즐길 수 있다. 김 대표는 “중동에서 1년내 매출을 1조원까지 늘리는 게 목표”라고 말했다. 이곳에서 그를 만나 스마트 팜의 미래를 물었다.
정용진이 점찍은 컨테이너 농장···IoT 접목 생산량 100배 늘려
#광대한 농지에 파종부터 비료 투입, 수확까지 자율주행 트랙터 등 농기계가 알아서 작업한다. 인공위성·드론에서 실시간으로 날씨·작황 정보를 받아 분석한다. 축구장 7개 만한 대규모 스마트팜에서는 빛과 온도, 습도 등을 환경을 통합제어해 생산량을 10배 이상 높인다. 반대로 물 사용량은 토양 수분함량을 분석과 자율 관수제어로 25분의 1 수준으로 줄였다. 먼 미래 모습이 아닌 미국과 네덜란드, 일본 스마트농가의 현주소다. 글로벌 애그테크(AgTech·농업과 기술을 접목한 신산업) 기업들이 농가의 모습을 바꿔가고 있다.
22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전세계 스마트농업 시장은 지난해 137억달러(약 16조원)에서 2025년 220억달러(약 25조원) 규모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연평균 성장률은 9.8%다. 존디어(John Deere), 몬산토(Monsanto) 등 전통적인 농업 대기업부터 구글, 마이크로소프트(MS), 소프트뱅크(비전펀드) 등 글로벌 대기업·투자사까지 애그테크 분야 투자에 팔을 걷어부쳤다.
애그테크 투자 및 시장조사업체 ‘어그펀드’는 전세계 애그테크 투자 규모가 2010년 4억달러(약 4700억원)에서 2019년 200억달러(약 23조5900억원), 지난해 310달러(약 35조원)로 급증했다고 분석했다. 전세계적인 기후변화에 따른 ‘식량난’ 우려뿐 아니라 지난해 코로나19(COVID-19) 이후 커진 국가간 ‘식량안보’ 문제가 불을 지폈다.
━
글로벌 농업기업부터 IT 대기업들 스타트업 투자 확대
━
전통적 농업 중장비 제조사로 유명한 존디어는 농기계 제조업체가 아닌 미국 스마트팜 선두기업으로의 변신 중이다. 위성항법장치(GPS) 기술업체 ‘나브콤’, AI 스타트업 ‘블루리버 테크놀로지’를 각각 인수해 2019년 GPS와 카메라 영상을 이용한 자율주행 트랙터를 내놓기도 했다. 몬산토는 빅데이터 스타트업 ‘클라이밋’을 인수, 날씨·작황 데이터를 분석해 영농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서비스를 선보였다.
글로벌 정보통신기술(ICT) 대기업들도 애그테크 스타트업에 투자하고 있다. 구글벤처스는 미국의 농업 스타트업인 파머스비즈니스네트워크에 1500만달러(약 177억원)를 투자했다. 이 회사는 공공·민간 업체 작물 수확량, 날씨, 재배 방법 등 스마트농업 데이터를 평가·분석한다.
손정의 회장이 이끄는 소프트뱅크(비전펀드)도 2017년 ‘수직농장’ 개발·운영하는 실리콘밸리 스타트업 플렌티에 2억달러(약 2360억원)를 투자했다. 플렌티는 수직농장 방식으로 한 장소에서 전통적인 농장보다 350배 많은 작물을 생산할 수 있다. MS는 아예 ‘애저 팜비트’라는 장기 프로젝트 사업을 진행 중이다.2050년까지 전 세계 식품 생산량을 현재보다 70% 늘린다는 목표다. 여러 스타트업들과 손잡고 클라우드, 인공지능(AI)을 활용하는 스마트 농업 솔루션을 개발하고 있다.
━
내년 국내 시장 6조원 규모…”기술 격차 따라잡을 IT 인프라 강점”
━
국내 스마트농업 전체 시장은 2015년 3조6051억원에서 올해 5조6750억원으로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내년 시장 규모는 6조원 수준으로 전망된다. 미국, 네덜란드 등 농업 선진국에서는 이미 수 년전부터 스마트농업 투자가 활발했지만, 국내에서는 최근 들어서야 주목받기 시작했다.
투자가 늦은 만큼 선진국 업체 대비 주요 부분의 기술 격차가 있는 상황이다. 해외는 자율주행 농기계가 상용화되고 자율관수도 일부 상용화 한 단계다. 2~3년 내 자율주행 트랙터로 완전한 자율작업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반면 국내는 아직 대부분 연구·개발 단계에 머물러 있다. 최고기술 보유국 대비 약 70% 수준이다. 기간으로는 5년 정도 격차가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국내 스타트업들의 경쟁력은 풍부한 IT 제반환경이다. 투자업계에서는 농업 빅데이터를 더 짧은 시간에 더 많은 양을 축적하고, 활용할 수 있는 만큼 경쟁력을 강화할 기회가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종학 소풍벤처스 파트너는 “코로나19 이후 민간 투자자들도 애그테크 기업을 찾는 곳이 늘어나고 있다”며 “국내 농업 환경이 체계적으로 축적된 정보가 부족한 게 사실이지만, IT 인프라와 개발인력의 경쟁력이 뛰어나기 때문에 단시간 내 급성장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실제로 국내에서도 주목받는 애그테크 스타트업들이 속속 나타나고 있다. 그린랩스는 국내 첫 ‘농업 유니콘’으로 점쳐지는 곳이다. 재래식 농법을 개량한 실제 ‘스마트팜’ 구축·운영과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디지털 농업’ 서비스가 핵심 사업모델이다. 국내에서는 사실상 유일하게 생산부터 유통까지 전 과정의 농업 빅데이터를 구축하고 있다.
엔씽은 컨테이너를 활용한 ‘수직농장’ 기술 분야에 특화한 스타트업이다. 정용진 신세계 부회장이 점찍은 스타트업으로 알려져 있다. 실제로 이마트는 지난해 6월 프로젝트펀드를 통해 엔씽 지분투자에 나섰다. 컨테이너를 활용한 모듈형 수직농장과 사물인터넷(IoT) 기반 농장관리 시스템 특허를 보유하고 있다. 수경재배 방식으로 물 사용량을 98% 절약하면서 단위 면적당 생산량은 100배나 늘릴 수 있다. 중동 지역에 모듈형 컨테이너 수직농장을 ‘턴키’ 수출 중이다.
에이아이에스는 실내가 아닌 노지 스마트팜 솔루션을 개발한다. 품종, 토양, 기상 등 각종 생육 정보를 취합해 노지작물의 생산량을 기존보다 20~30% 끌어올릴 수 있다. 쉘파스페이스는 인공 광원을 통해 식물 생장을 단계별로 정밀제어하는 특허기술을 가지고 있다. 품종별 식물의 발아·모종·이식·생장·수확 전 단계의 필요한 최적의 인공 광원을 방출한다.
다만 여전히 해외 애그테크 스타트업과 비교했을 때 생산과 설비·시공 쪽에 사업들이 집중돼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한 벤처캐피탈(VC) 파트너는 “해외는 생산부터 유통까지 전 가치사슬에 걸쳐 기술이 상당히 고도화된 부분이 많지만, 국내 업체들은 대부분 보조자금이 나오는 설비 쪽에 치중해 있다”며 “수확, 유통, 소비 등 다양한 영역에서 관련 스타트업이 나와야 전체적인 시장 경쟁력이 강화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광대한 농지에 파종부터 비료 투입, 수확까지 자율주행 트랙터 등 농기계가 알아서 작업한다. 인공위성·드론에서 실시간으로 날씨·작황 정보를 받아 분석한다. 축구장 7개 만한 대규모 스마트팜에서는 빛과 온도, 습도 등을 환경을 통합제어해 생산량을 10배 이상 높인다. 반대로 물 사용량은 토양 수분함량을 분석과 자율 관수제어로 25분의 1 수준으로 줄였다. 먼 미래 모습이 아닌 미국과 네덜란드, 일본 스마트농가의 현주소다. 글로벌 애그테크(AgTech·농업과 기술을 접목한 신산업) 기업들이 농가의 모습을 바꿔가고 있다.22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전세계 스마트농업 시장은 지난해 137억달러(약 16조원)에서 2025년 220억달러(약 25조원) 규모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연평균 성장률은 9.8%다. 존디어(John Deere), 몬산토(Monsanto) 등 전통적인 농업 대기업부터 구글, 마이크로소프트(MS), 소프트뱅크(비전펀드) 등 글로벌 대기업·투자사까지 애그테크 분야 투자에 팔을 걷어부쳤다.애그테크 투자 및 시장조사업체 ‘어그펀드’는 전세계 애그테크 투자 규모가 2010년 4억달러(약 4700억원)에서 2019년 200억달러(약 23조5900억원), 지난해 310달러(약 35조원)로 급증했다고 분석했다. 전세계적인 기후변화에 따른 ‘식량난’ 우려뿐 아니라 지난해 코로나19(COVID-19) 이후 커진 국가간 ‘식량안보’ 문제가 불을 지폈다.전통적 농업 중장비 제조사로 유명한 존디어는 농기계 제조업체가 아닌 미국 스마트팜 선두기업으로의 변신 중이다. 위성항법장치(GPS) 기술업체 ‘나브콤’, AI 스타트업 ‘블루리버 테크놀로지’를 각각 인수해 2019년 GPS와 카메라 영상을 이용한 자율주행 트랙터를 내놓기도 했다. 몬산토는 빅데이터 스타트업 ‘클라이밋’을 인수, 날씨·작황 데이터를 분석해 영농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서비스를 선보였다.글로벌 정보통신기술(ICT) 대기업들도 애그테크 스타트업에 투자하고 있다. 구글벤처스는 미국의 농업 스타트업인 파머스비즈니스네트워크에 1500만달러(약 177억원)를 투자했다. 이 회사는 공공·민간 업체 작물 수확량, 날씨, 재배 방법 등 스마트농업 데이터를 평가·분석한다.손정의 회장이 이끄는 소프트뱅크(비전펀드)도 2017년 ‘수직농장’ 개발·운영하는 실리콘밸리 스타트업 플렌티에 2억달러(약 2360억원)를 투자했다. 플렌티는 수직농장 방식으로 한 장소에서 전통적인 농장보다 350배 많은 작물을 생산할 수 있다. MS는 아예 ‘애저 팜비트’라는 장기 프로젝트 사업을 진행 중이다.2050년까지 전 세계 식품 생산량을 현재보다 70% 늘린다는 목표다. 여러 스타트업들과 손잡고 클라우드, 인공지능(AI)을 활용하는 스마트 농업 솔루션을 개발하고 있다.국내 스마트농업 전체 시장은 2015년 3조6051억원에서 올해 5조6750억원으로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내년 시장 규모는 6조원 수준으로 전망된다. 미국, 네덜란드 등 농업 선진국에서는 이미 수 년전부터 스마트농업 투자가 활발했지만, 국내에서는 최근 들어서야 주목받기 시작했다.투자가 늦은 만큼 선진국 업체 대비 주요 부분의 기술 격차가 있는 상황이다. 해외는 자율주행 농기계가 상용화되고 자율관수도 일부 상용화 한 단계다. 2~3년 내 자율주행 트랙터로 완전한 자율작업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반면 국내는 아직 대부분 연구·개발 단계에 머물러 있다. 최고기술 보유국 대비 약 70% 수준이다. 기간으로는 5년 정도 격차가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국내 스타트업들의 경쟁력은 풍부한 IT 제반환경이다. 투자업계에서는 농업 빅데이터를 더 짧은 시간에 더 많은 양을 축적하고, 활용할 수 있는 만큼 경쟁력을 강화할 기회가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종학 소풍벤처스 파트너는 “코로나19 이후 민간 투자자들도 애그테크 기업을 찾는 곳이 늘어나고 있다”며 “국내 농업 환경이 체계적으로 축적된 정보가 부족한 게 사실이지만, IT 인프라와 개발인력의 경쟁력이 뛰어나기 때문에 단시간 내 급성장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실제로 국내에서도 주목받는 애그테크 스타트업들이 속속 나타나고 있다. 그린랩스는 국내 첫 ‘농업 유니콘’으로 점쳐지는 곳이다. 재래식 농법을 개량한 실제 ‘스마트팜’ 구축·운영과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디지털 농업’ 서비스가 핵심 사업모델이다. 국내에서는 사실상 유일하게 생산부터 유통까지 전 과정의 농업 빅데이터를 구축하고 있다.엔씽은 컨테이너를 활용한 ‘수직농장’ 기술 분야에 특화한 스타트업이다. 정용진 신세계 부회장이 점찍은 스타트업으로 알려져 있다. 실제로 이마트는 지난해 6월 프로젝트펀드를 통해 엔씽 지분투자에 나섰다. 컨테이너를 활용한 모듈형 수직농장과 사물인터넷(IoT) 기반 농장관리 시스템 특허를 보유하고 있다. 수경재배 방식으로 물 사용량을 98% 절약하면서 단위 면적당 생산량은 100배나 늘릴 수 있다. 중동 지역에 모듈형 컨테이너 수직농장을 ‘턴키’ 수출 중이다.에이아이에스는 실내가 아닌 노지 스마트팜 솔루션을 개발한다. 품종, 토양, 기상 등 각종 생육 정보를 취합해 노지작물의 생산량을 기존보다 20~30% 끌어올릴 수 있다. 쉘파스페이스는 인공 광원을 통해 식물 생장을 단계별로 정밀제어하는 특허기술을 가지고 있다. 품종별 식물의 발아·모종·이식·생장·수확 전 단계의 필요한 최적의 인공 광원을 방출한다.다만 여전히 해외 애그테크 스타트업과 비교했을 때 생산과 설비·시공 쪽에 사업들이 집중돼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한 벤처캐피탈(VC) 파트너는 “해외는 생산부터 유통까지 전 가치사슬에 걸쳐 기술이 상당히 고도화된 부분이 많지만, 국내 업체들은 대부분 보조자금이 나오는 설비 쪽에 치중해 있다”며 “수확, 유통, 소비 등 다양한 영역에서 관련 스타트업이 나와야 전체적인 시장 경쟁력이 강화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공감 0%
비공감 0%
So you have finished reading the 컨테이너 스마트 팜 topic article, if you find this article useful, please share it. Thank you very much. See more: 컨테이너 스마트팜 가격, 컨테이너 스마트팜 수익, 컨테이너 농장 가격, 엔씽 컨테이너 가격, 컨테이너 식물공장, 스마트팜 문제점, 컨테이너 수경재배, 스마트팜 큐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