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looking for information, articles, knowledge about the topic nail salons open on sunday near me 키르히 호프 전류 법칙 on Google, you do not find the information you need! Here are the best content compiled and compiled by the https://toplist.cazzette.com team, along with other related topics such as: 키르히 호프 전류 법칙 키르히호프 전류법칙 예제, 키르히호프의 전류법칙 공식, 키르히호프 1법칙, 키르히호프 2법칙, 키르히호프 복사법칙, 키르히호프의 법칙 열역학, 키르히호프의 법칙 계산기, 구스타프 키르히호프
전류 법칙은 아래와 같다: 전류가 흐르는 즉 전기가 통과하는 분기점(선의 연결지점, 만나는 지점)에서, 전류의 합 즉 들어온 전류의 양과 나간 전류의 양의 합은 같다.
Table of Contents
키르히호프의 전기회로 법칙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 Article author: ko.wikipedia.org
- Reviews from users: 10431
Ratings
- Top rated: 4.4
- Lowest rated: 1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키르히호프의 전기회로 법칙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Updating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키르히호프의 전기회로 법칙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Updating
- Table of Contents:
키르히호프의 전류 법칙 (KCLKirchhoff’s Current Law)[원본 편집]
키르히호프의 전압 법칙 (KVLKirchhoff’s Voltage Law)[원본 편집]
키르히호프의 전류법칙, 전압법칙 (KCL, KVL) – 공대생의 오아시스
- Article author: oasisfores.com
- Reviews from users: 11407
Ratings
- Top rated: 3.7
- Lowest rated: 1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키르히호프의 전류법칙, 전압법칙 (KCL, KVL) – 공대생의 오아시스 이번 글에서는 전기회로 분석의 가장 기본이 되는 키르히호프의 전류법칙, 전압법칙(KCL, KVL) 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키르히호프 는 또 누구고 …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키르히호프의 전류법칙, 전압법칙 (KCL, KVL) – 공대생의 오아시스 이번 글에서는 전기회로 분석의 가장 기본이 되는 키르히호프의 전류법칙, 전압법칙(KCL, KVL) 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키르히호프 는 또 누구고 … 이번 글에서는 전기회로 분석의 가장 기본이 되는 키르히호프의 전류법칙, 전압법칙(KCL, KVL) 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키르히호프 는 또 누구고 전류, 전압 으로 뭘 하겠다는건지 단어에 제대로 드러나있지 않아서 처음 배우는 사람에게는 막연히 어렵게만 느껴집니다. 저 또한 그랬었는데요, 무엇인지 알고 난 뒤에는 세상 이렇게 단순하고 쉬운 법칙이 없었습니다.
- Table of Contents:
Oasis for Engineering students
시작하기 전에…
1 키르히호프의 전류법칙 (KCL Kirchhoff’s Current Law)
2 키르히호프의 전압법칙 (KVL Kirchhoff’s Voltage Law)
3 복습
마치며…
글 내비게이션
3 thoughts on “키르히호프의 전류법칙 전압법칙 (KCL KVL)”

2. 키르히호프의 전류 법칙, 전압 법칙(Kirchhoff’s Laws)
- Article author: yyxx.tistory.com
- Reviews from users: 29815
Ratings
- Top rated: 3.1
- Lowest rated: 1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2. 키르히호프의 전류 법칙, 전압 법칙(Kirchhoff’s Laws) 키르히호프 전류 법칙의 사전적 정의는 ‘전기 회로에서, 임의의 닫힌 회로를 취한 전압의 방향을 한 방향으로 할 때, 닫힌 회로에 접한 각소자의 전압의 …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2. 키르히호프의 전류 법칙, 전압 법칙(Kirchhoff’s Laws) 키르히호프 전류 법칙의 사전적 정의는 ‘전기 회로에서, 임의의 닫힌 회로를 취한 전압의 방향을 한 방향으로 할 때, 닫힌 회로에 접한 각소자의 전압의 … 2. 키르히호프의 전류 법칙, 전압 법칙(Kirchhoff’s Laws) 전기회로 이론의 두 가지 법칙인 ‘옴의 법칙’과 ‘키르히호프의 법칙’은 반드시 맞아야 한다. 둘 중 하나가 맞지 않으면 전기회로라고 할 수 없다. 오늘은..전기 관련 정보, 일상에서 유용한 정보를 다루는 블로그입니다.
- Table of Contents:

키르히호프의 제1법칙 (KCL)과 회로해석법
- Article author: kekes.tistory.com
- Reviews from users: 25708
Ratings
- Top rated: 4.2
- Lowest rated: 1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키르히호프의 제1법칙 (KCL)과 회로해석법 키르히호프의 전류법칙은 “회로 내의 접점에 들어오고 나간 전류의 합은 0이다”로 정의할 수 있다. 전류는 전하의 흐름이다. 회로 내 임의의 한 점에서 …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키르히호프의 제1법칙 (KCL)과 회로해석법 키르히호프의 전류법칙은 “회로 내의 접점에 들어오고 나간 전류의 합은 0이다”로 정의할 수 있다. 전류는 전하의 흐름이다. 회로 내 임의의 한 점에서 … 앞서 테브난 등가회로를 설명하였는데, 테브난 등가회로는 회로를 해석하는데 유용한 도구이다. 어려운 방법도 아니고 말이다. 이번에는 회로 해석법의 대표 중에 하나인 키르히호프의 법칙을 보려고 한다. 구스타..
- Table of Contents:
태그
관련글
댓글0
공지사항
최근글
인기글
최근댓글
태그
전체 방문자

키르히호프의법칙
- Article author: multispace.co.kr
- Reviews from users: 12987
Ratings
- Top rated: 3.8
- Lowest rated: 1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키르히호프의법칙 회로에 가해진 전원전압으로 각 저항에는 전류가 흐르는데 저항에 반비례하여 흐를 것이다. 전원전압이 가해져 전체 회로에 흐르는 전류는 각 저항에 흐르는 전류를 합한 …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키르히호프의법칙 회로에 가해진 전원전압으로 각 저항에는 전류가 흐르는데 저항에 반비례하여 흐를 것이다. 전원전압이 가해져 전체 회로에 흐르는 전류는 각 저항에 흐르는 전류를 합한 …
- Table of Contents:

[고급물리학] 키르히호프의 법칙
- Article author: gooseskin.tistory.com
- Reviews from users: 18144
Ratings
- Top rated: 4.0
- Lowest rated: 1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고급물리학] 키르히호프의 법칙 키르히호프의 법칙을 이용하면 임의의 복잡한 회로에서 흐르는 전류를 구할 수 있다. 이 법칙은 전류에 관한 1법칙과 기전력에 관한 2법칙으로 …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고급물리학] 키르히호프의 법칙 키르히호프의 법칙을 이용하면 임의의 복잡한 회로에서 흐르는 전류를 구할 수 있다. 이 법칙은 전류에 관한 1법칙과 기전력에 관한 2법칙으로 … 학습 목표 키르히호프의 법칙을 이용하여, 다양한 회로 내 전류, 전압을 예측할 수 있다. 1. 키르히호프의 법칙 키르히호프의 법칙을 이용하면 임의의 복잡한 회로에서 흐르는 전류를 구할 수 있다. 이 법칙은 전..
- Table of Contents:
학습 목표
1 키르히호프의 법칙
2 키르히호프 법칙의 적용
관련글
댓글1
공지사항
최근글
인기글
최근댓글
태그
전체 방문자
티스토리툴바
![[고급물리학] 키르히호프의 법칙](https://img1.daumcdn.net/thumb/R80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cnSfqb%2Fbtq4hqtHAiR%2FFXdg4EmbC6N3v2oL3yHrg0%2Fimg.jpg)
See more articles in the same category here: Top 83 tips update new.
키르히호프의 전기회로 법칙
키르히호프의 법칙이란 구스타프 키르히호프(Gustav Kirchhoff)가 구한 전기 회로에 대한 법칙이다.
키르히호프의 전기회로 법칙은 1845년 구스타프 키르히호프가 처음으로 기술한 전기회로에서의 전하량과 에너지 보존을 다루는 2개의 이론식이다. 이 이론식은 전기공학분야에서 폭넓게 사용되고 또한 줄여서 키르히호프의 규칙(Kirchhoff’s rules)또는 키르히호프의 법칙이라 불린다(키르히호프 법칙 용어 참조).
키르히호프의 전류 법칙 (KCL,Kirchhoff’s Current Law) [ 원본 편집 ]
회로상의 임의의 한 분기점에서 들어온 전류의 합은 교점에서 나간 전류의 합과 같다.
이 법칙은 키르히호프의 지점의 법칙, 키르히호프의 분기점 법칙(또는 노달법), 그리고 키르히호프의 첫 번째 법칙이다.
전류 법칙은 아래와 같다:
전류가 흐르는 즉 전기가 통과하는 분기점(선의 연결지점, 만나는 지점)에서, 전류의 합 즉 들어온 전류의 양과 나간 전류의 양의 합은 같다. 즉 0이다. 또는 도선망(회로)안에서 전류의 대수적 합은 0이다.(단, 들어온 전류의 양을 양수로, 나아간 전류의 양을 음수로 가정한다 또한 도선상의 전류의 손실은 없다고 가정한다).
전류는 노드로부터 들어 오거나 나아가는 정수(양의 정수, 음의 정수)이다. 식은 아래와 같다:
∑ j u n c t i o n I = 0 {\displaystyle \sum _{junction}{I}=0}
n 노드로부터 나아가거나 들어 가는 가지의 전체 숫자이다.
(위의 식을 풀어서 쓰면: I 1 + I 2 + I 3 = 0 {\displaystyle {I}_{1}+{I}_{2}+{I}_{3}=0} )
(그림을 예를 들면: i 1 = − 1 , i 2 = + 5 , i 3 = + 2 , i 4 = ? {\displaystyle {i}_{1}=-1,{i}_{2}=+5,{i}_{3}=+2,{i}_{4}=?} 이면 − 1 + 5 + 2 + i 4 = 0 {\displaystyle -1+5+2+{i}_{4}=0} 가 되고 i 4 = − 6 {\displaystyle {i}_{4}=-6} 이 된다.)
다시 이 식을 복소수화(일반화) 하면:
∑ k = 1 n i ~ k = 0 {\displaystyle \sum _{k=1}^{n}{\tilde {i}}_{k}=0}
사용되는 곳:
키르히호프의 매트릭스 버전이 SPICE와 같은 모든 반도체 디자인 회로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의 기본 법칙으로 적용된다.
(지금 보이는 이 간단한 식이 이후에 모든 선형회로의 강력한 기초 법칙으로 모든 회로를 해석하고 반도체를 디자인하는 기본 법칙으로도 적용된다.)
키르히호프의 전압 법칙 (KVL,Kirchhoff’s Voltage Law) [ 원본 편집 ]
1 + v 2 + v 3 – v 4 = 0 루프의 전압의 합은 같다. 즉 0이다.v+ v+ v- v= 0
이 법칙을 키르히호프의 두 번째 법칙, 키르히호프의 루프의 법칙으로 부른다.
이 에너지 보존의 원칙은 아래와 같이 적용된다.(참고: 옴의 법칙 V=IR(V: 전압, I: 전류의 세기, R: 전기저항)은 키르히호프의 제2법칙의 가장 간단한 형태이다.)
닫힌 하나의 루프안 전압(전위차)의 합은 0이다. 또는 다르게 표현하면, 폐쇄된 회로의 인가된 전원의 합과 분배된 전위의 차의 합은 그 루프 안에서 등가한다. 또는 하나의 루프안에서 도체에 인가된(-걸린) 전압의 대수의 합과 그 루프에 인가한(공급된) 전체 전원 대수의 합은 같다.
KCL과 같이 식으로 표현하면, 아래와 같다:
∑ c l o s e d l o o p Δ V = 0 {\displaystyle \sum _{closedloop}\Delta V=0}
여기서 n 은 측정된 전체 전압의 개수이다.
(예를 들면: ∑ k = 1 n V k = V 1 + V 2 + V 3 + V 4 = 0 {\displaystyle \sum _{k=1}^{n}V_{k}=V_{1}+V_{2}+V_{3}+V_{4}=0} )
다시 일반화(복소수화)하면:
∑ k = 1 n V ~ k = 0 {\displaystyle \sum _{k=1}^{n}{\tilde {V}}_{k}=0}
이 법칙은 에너지의 인가와 출력, 공급과 소비의 포텐셜장(에너지보유장) 기초 원칙이 된다.(루프안에서의 에너지는 소멸되지 않는 다는 가정 하에서이다.) 인가된 전압 포텐셜, 완전히 폐쇄된 루프의 전하량 증가하거나 감소하지 않으며, 처음 인가된 전하량을 유지한다.
한계점
패러데이의 전자기 유도 법칙은 자기장이 변하는 곳에 있는 도체에 전위차(전압)가 발생한다고 하였다. 실제적으로 전자기장에서는 전하량 보존의 법칙이 성립되지 않는다. 실질적인 회로의 상태에서는 완전하고 완벽한 폐쇄 회로를 만들수 없으면, KVL에 존재하는 회로는 존재하지 않는다.
키르히호프의 전류법칙, 전압법칙 (KCL, KVL)
시작하기 전에…
안녕하세요 공대생의 오아시스입니다. ^^
이번 글에서는 전기회로 분석의 가장 기본이 되는 키르히호프의 전류법칙, 전압법칙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키르히호프의 전류법칙, 전압법칙’ 이라는 단어를 들었을 때 어떤 법칙일지 예상이 가시나요?
아무것도 떠오르지 않는다면 지극히 정상이십니다 ㅎㅎ.
‘키르히호프’ 는 또 누구고 전류, 전압으로 뭘 하겠다는건지 단어에 제대로 드러나있지 않아서 처음 배우는 사람에게는 막연히 어렵게만 느껴집니다.
저 또한 그랬었는데요, 무엇인지 알고 난 뒤에는 세상 이렇게 단순하고 쉬운 법칙이 없었습니다. ㅋㅋ
복잡한 수식도, 증명도 필요없이 그냥 당연한 내용이고 받아들이시기만 하면 됩니다.
쉬운 내용을 굳이 더 얘기해봤자 이해에 방해만 되겠네요. 바로 시작하겠습니다.
1. 키르히호프의 전류법칙 (KCL : Kirchhoff’s Current Law)
자 첫번째, 키르히호프의 전류법칙입니다.
영어 줄임말로는 KCL이라고도 하는데요, 중간의 Current가 바로 ‘전류’를 의미합니다.
Current는 앞으로도 계속 나올 영단어이니 숙지하시는게 좋습니다. ^^
키르히호프의 전류법칙을 한 문장으로 정리하자면…
‘들어온만큼 나간다’ 라고 할 수 있습니다.
사진으로 한번 볼까요?
한 점에 다섯개의 선이 연결되어 있고 각 선에는 크기와 방향이 다른 전류가 흐르고 있습니다.
점을 기준으로 들어오는 것과 나가는 것으로 따지면 I1, I2, I5는 나가고 I3, I4는 들어오고 있네요.
이때 전류들 사이에는 오른쪽 아래와 같은 관계가 성립합니다.
들어오는 것의 합은 나가는 것의 합과 같다는 거죠. ^^
이제 들어온만큼 나간다는 말의 의미가 이해 가시나요?
전하량의 총량은 보존된다는 전하량 보존 법칙과 연관지어서 알고 계시면 더 좋겠지만… 모르셔도 법칙을 사용하는데에는 아무런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간단한 문제를 하나 풀어보면 완벽히 이해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아래 그림에서 I 의 값은 얼마가 될까요?
응용력을 키우기 위해 – 전류를 넣어봤습니다.
아직 배우지 않으신분들이라면 익숙치 않으시겠지만 – 전류는 크기는 같지만 방향이 반대인 전류를 뜻합니다.
말이 어려웠나요? ^^
굳이 모든 전류값이 양수가 되도록 바꿔주면 아래와 같이 되겠네요 ㅎㅎ
이건 – 전류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그림이고 우리는 그냥 원래의 그림을 가지고 문제를 풀겁니다.
‘들어오는 것의 합이 나가는 것의 합과 같다’ 이거 하나만 기억하시면 됩니다.
자 화살표 기준으로 들어오는 전류를 다 더해볼까요?
3A + ( – 1A ) 가 되겠네요.
이번에는 나가는 전류를 다 더해봅시다.
2A + ( – 3A ) + I 가 되겠죠? 단순히 더하기만 하면 됩니다.
이 두개가 같다고 했으니까 3A + ( – 1A ) = 2A + ( – 3A ) + I 를 통해 I = 3A 인 것을 간단히 알 수 있습니다.
어때요 정말 쉽죠? ^^
배운건 좋은데 실제로 저렇게 생긴 회로가 어디있느냐… 하시는 분들이 있으실텐데…
아래 회로의 빨간 동그라미처럼 전류가 나눠지는 분기점(Junction)에서 사용하시면 됩니다.^^
2. 키르히호프의 전압법칙 (KVL : Kirchhoff’s Voltage Law)
두번째, 키르히호프의 전압법칙입니다.
역시 Voltage는 전압을 의미하며 이 단어 또한 숙지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인터넷을 찾아보면 닫힌 회로니 뭐니 어려운 단어가 나오는데 알고보면 정말정말 쉬운 개념입니다.
백문이불여일견이라고 했습니다. 아래 사진을 한번 보시죠.
출발점과 도착점이 같다는 조건 하에서 중간에 끊어진 부분 없이 이을 수 있는 방법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말이 또 어렵죠? ㅎㅎ… 아래 그림을 봐주세요.
아마 지금은 이해가 가실텐데요, 이렇게 끊어진 부분이 없도록 그릴 수 있는 순환로를 루프(Loop)라고 합니다.
가장 오른쪽 부분은 끊어져있으니까 어떤 방법으로도 루프가 나올 수 없겠죠? 일부러 넣은 겁니다 ㅎㅎ…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키르히호프의 전압법칙은 이러한 루프에서 전압 강하량의 합이 0이 된다는 것인데요, 이것도 말이 좀 어렵습니다.
아래 사진을 한번 보시죠. 위 회로를 시뮬레이션하여 각 지점에서 측정된 전위값을 표시한 것입니다.
추가로 빨간 루프와 그 방향으로 전류가 흐르면서 일어나는 전압 강하량도 표시해두었습니다.
+ 와 – 기호 사이에 양쪽 끝의 전위값 차이를 계산해두었는데요, 예시로 가장 위쪽에 있는 15V와 9.55V 사이의 5.45V를 생각해볼까요?
위 상황을 단순하게는 R5 저항에 5.45V의 전압이 걸렸다 라고도 표현하지만 이 경우 어느 쪽의 전위가 더 높은지는 알 수 없다는 문제가 있습니다.
따라서 엄밀하게 따지자면 이 표시가 의미하는 것은 다음과 같습니다.
+ 기호가 있는 쪽에서 – 기호가 있는 쪽으로 전류가 흐를 때 전압 강하량은 5.45V 이다.
전압 강하량이라는 것은 저항을 지나기 전을 기준으로 저항을 지난 후 얼만큼의 전압을 잃었는지를 의미합니다.
에고 말이 또 어려워졌네요. 간단하게 전압강하량 = 저항을 지나기 전 전압 – 저항을 지난 후 전압으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 와 – 기호의 위치는 단순한 ‘가정’으로, 편의에 따라 마음대로 바꿀 수 있습니다.
다만, 위치가 바뀔 경우 기존 전압 강하량에 – 를 곱해주어야 합니다.
아무튼… 이해가 되든 안되든 일단 빨간 루프에 집중해봅시다. ㅎㅎ
화살표 방향을 따라 정확히 한 바퀴 돌면서 만나는 전압 강하량들의 합을 계산합니다.
0V 라고 표시된 점부터 시작해볼까요?
우선 15V 전압원을 지나게되면서 전압은 15V 상승하게 됩니다.
전압이 상승하였으므로 이 경우 전압 강하량은 -15V 가 됩니다.
헷갈리신다면 전압강하량 = 저항을 지나기 전 전압 – 저항을 지난 후 전압을 떠올려보세요.
전압원을 지났다면 나머지는 단순히 저항을 지나면서 전압을 잃는 일 뿐입니다.
적혀있는 전압 강하량들을 그대로 더해주면 됩니다. ^^
자 그럼 정리해볼까요? 만나는 전압 강하량들을 다 더하면 아래와 같은 결과가 나옵니다.
-15V + 5.45V + 4.095V + 5.455V = 0V
정말로 0V 가 나왔네요. 과연 이게 우연의 일치일까요?
나머지 두 루프에 대해서도 이 법칙이 성립한다는 것은 직접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ㅎㅎ
이처럼 어떤 루프를 잡든 전압 강하량의 합이 0이 된다는 것이 바로 키르히호프의 전압법칙(KVL)입니다.
3. 복습
간단한 예제를 통해 배운걸 써먹어볼까요? ^^
아래의 회로에서 Vx와 Ix 값을 구하는 것이 우리의 목표입니다.
1) Ix 값 구하기 (키르히호프의 전류법칙 이용)
우선 Ix 값부터 생각해보죠.
수식도 저항값도 필요없습니다.
3A 전류가 두 갈래로 나눠지는데 하나는 1A로 정해져있네요.
어렵게 생각하실 필요 없이 남은 하나, 즉 Ix 는 2A가 됨을 알 수 있습니다.
2) Vx 값 구하기 (키르히호프의 전압법칙 이용)
Vx도 어렵지 않게 구할 수 있습니다.
회로의 왼쪽 부분을 시계방향으로 한 바퀴 돌아볼까요?
키르히호프의 전압법칙에 의하면 전압 강하량의 합은 0V 가 되어야합니다.
따라서 -12V + Vx + 6V = 0V 임을 알 수 있는데, 이를 만족시키는 Vx 값은 6V입니다.
어때요? 정말 쉽죠? ^^
마치며…
자꾸만 더 자세히 설명드리려고 욕심을 부리다보니 단순한 내용인데도 글이 길어졌네요… ㅠㅠ
아무튼 이렇게 키르히호프의 전류법칙, 전압법칙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전기회로를 분석함에 있어 가장 많이 쓰인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만큼 중요한 법칙들입니다.
문제를 풀 때 법칙을 의식하지않고 자연스럽게, 당연하듯이 사용할 정도로 익숙해지시길 바랍니다.
지금까지 공대생의 오아시스였습니다. 감사합니다. ^^
2. 키르히호프의 전류 법칙, 전압 법칙(Kirchhoff’s Laws)
2. 키르히호프의 전류 법칙, 전압 법칙(Kirchhoff’s Laws)
전기회로 이론의 두 가지 법칙인 ‘옴의 법칙’과 ‘키르히호프의 법칙’은 반드시 맞아야 한다.
둘 중 하나가 맞지 않으면 전기회로라고 할 수 없다.
오늘은 키르히호프의 전류 법칙과 전압 법칙에 대해 공부해보자.
1. 키르히호프의 전류 법칙
2. 키르히호프의 전압 법칙
1. 키르히호프의 전류 법칙
키르히호프 전류 법칙의 사전적 정의는 ‘전기 회로의 임의의 절점에서 흘러 들어가는 방향을 양 또는 음의 방향으로 통일할 때 각 선의 전류의 총합은 ‘0’이 된다는 법칙이다.’
아래와 같이 도선이 한 점에서 맞물린 상태라고 생각해보자.
키르히호프 전류 법칙 – 들어오는 전류, 나가는 전류 합 같다
한 점으로 전류 i1, i2가 흘러들어 가고 있고
점을 통과해서 전류 i3, i4가 나오고 있다.
이때 전류 i1과 i2의 합은 i3와 i4의 합과 같다.
또한, 점에서 봤을 때 들어오는 양과 나오는 양이 같으므로 점의 관점에서 전류의 총합은 ‘0’이다.
키르히호프 전류법칙 – 점에서 봤을 때 전류의 총합은 ‘0’이다.
물에 비유해보면 좀 더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도선을 배관, 전류를 물이라고 생각해보자.
만약 배관 어딘가에 문제가 생겨서 물이 중간에 사라지거나 쌓이지 않는다면
들어간 물의 양 i1, i2 와
나오는 물의 양 i3, i4 의 양은 같을 것이다.
도선에 흐르는 전하 (전류) 역시 중간에 사라지거나 쌓이지 않으므로 한 점으로 들어가는 전하와 나오는 전하의 양은 같다.
‘키르히호프 전류법칙’은 유입되는 전류의 합과 유출되는 전류의 합이 같다는 법칙이기 때문에 ‘전하량 보존의 법칙’이라고 볼 수 있다.
※ 키르히호프 전류 법칙에 의해서 ‘영상분 전류’에는 접지가 필요하다.
아래와 같이 3상의 전류가 들어가서 한 점에서 만난다고 해보자.
한 점으로 3상 전류 공급
여기에 세 가지 성분의 전류가 들어갈 때 차이를 생각해보자.
1. 정상분 전류 2. 역상분 전류 3. 영상분 전류
정산분 전류와 역상분 전류
그림에서 보듯이 정상분 전류 는 3상이 시계 방향으로 각각 120˚ 위상 차이를 가지고 크기가 같다. 그러므로 3상의 벡터합은 ‘0’이다.
역상분 전류 는 3상이 반시계 방향이지만 정상분 전류와 마찬가지로 각각 120˚ 위상차이를 가지고 크기가 같다. 그러므로 3상의 벡터합은 ‘0’이다.
정상분, 역상분 전류는 3상의 벡터합이 ‘0’
그러나 영상분 전류 는 3상이 위상이 같고 같은 크기를 가지고 있다. 그래서 3상의 벡터합이 ‘0’이 아니다.
영상분 전류는 3상의 합이 ‘0’이 아니다.
키르히호프 전류 법칙 관점에서 봤을 때
정상분, 역상분 전류 는 한 점에서 만났을 때 접지가 없더라도 벡터합이 ‘0’이 되므로 ‘키르히호프 전류 법칙’에 위반되지 않는다.
정상분, 역상분 전류는 한 점에서 전류의 총합이 ‘0’이 된다.
그러나 영상분 전류 가 흐르는 3상 회로에서 접지가 없다면 한 점으로 들어오는 전류양은 3상이 합쳐져서 ‘0’이 아니다.
영상분 전류는 한 점에서 전류의 총합이 ‘0’이 아니게 된다.
그래서 이 전류(IA0+IB0+IC0)가 나갈 곳이 필요하다. 이때 접지를 해주면 이 전류가 빠져나갈 곳이 생긴다. 그러면 노드점이 ‘0’이 돼서 ‘키르히호프 전류 법칙’이 성립하게 된다.
접지를 해주면 3상 영상분 전류가 빠져나갈 곳이 만들어진다.
2. 키르히호프의 전압 법칙
키르히호프 전류 법칙의 사전적 정의는 ‘전기 회로에서, 임의의 닫힌 회로를 취한 전압의 방향을 한 방향으로 할 때, 닫힌 회로에 접한 각소자의 전압의 총합은 ‘0’이 된다는 법칙이다.’
아래의 회로는 기전력 E1, E2가 전원을 공급하고 있고 R1은 도선에서 발생하는 손실, R2는 전기부하(히터)를 동작시키는 모습이다.
기전력 E1,E2 부하 R1,R2 회로
최초 기전력 E1, E2가 도선에 연결된 순간 E1, E2 힘에 의해서 도선의 전하에 에너지가 생긴다. 전하들은 이런 운동에너지를 받아서 움직이기 시작한다. 이게 곧 전류이다.
전하는 도선(R1)을 지나갈 때 도선 여기저기를 부딪히게 되는데 이때 손실(열)이 발생한다. 여기서 발생한 손실을 V(R1).
그리고 히터(R2)를 지나면서 히터에서 유효한 일(열)을 발생시킨다. 여기서 한 일을 V(R2). 라고 했을 때
키르히호프 전압법칙 – E1 + E2 = V(R1)+ V(R2)
기전력이 공급한 에너지 E1 + E2 와 R1, R2에서 사용한 에너지 V(R1) + V(R2) 는 같다.
‘키르히호프의 전압 법칙’은 공급한 에너지와 사용한 에너지의 합은 같다는 걸 표현한 법칙으로 ‘에너지 보존 법칙’과 같다.
So you have finished reading the 키르히 호프 전류 법칙 topic article, if you find this article useful, please share it. Thank you very much. See more: 키르히호프 전류법칙 예제, 키르히호프의 전류법칙 공식, 키르히호프 1법칙, 키르히호프 2법칙, 키르히호프 복사법칙, 키르히호프의 법칙 열역학, 키르히호프의 법칙 계산기, 구스타프 키르히호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