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looking for information, articles, knowledge about the topic nail salons open on sunday near me 우리 는 챔피언 1 화 on Google, you do not find the information you need! Here are the best content compiled and compiled by the https://toplist.cazzette.com team, along with other related topics such as: 우리 는 챔피언 1 화 우리는 챔피언 1화 더빙, 폭주형제 렛츠고 1화, 우리는 챔피언 4화, 우리는 챔피언 다시보기, 우리는 챔피언 wgp, 우리는 챔피언 wgp 더빙, 폭주형제 렛츠고 wgp, 우리는 챔피언 wgp 5화
Table of Contents
토렌트로 받기 힘든 애니
- Article author: blog.daum.net
- Reviews from users: 8257
Ratings
- Top rated: 4.2
- Lowest rated: 1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토렌트로 받기 힘든 애니 우리는 챔피언 001화. 애니보자. 2013. 12. 13. 22:54 댓글수0 공감수0. 에러관련 내용. 인증하러 가기 인증완료.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토렌트로 받기 힘든 애니 우리는 챔피언 001화. 애니보자. 2013. 12. 13. 22:54 댓글수0 공감수0. 에러관련 내용. 인증하러 가기 인증완료. 토렌트로 받기 힘든 애니
- Table of Contents:

우리 는 챔피언 1 화 | [더빙] 우리는 챔피언 1화 테스트 28018 투표 이 답변
- Article author: ppa.covadoc.vn
- Reviews from users: 14086
Ratings
- Top rated: 4.7
- Lowest rated: 1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우리 는 챔피언 1 화 | [더빙] 우리는 챔피언 1화 테스트 28018 투표 이 답변 우리는 챔피언 1기, 2기. 우리는 챔피언 001화. 애니보자. 2013. 12. 13. 22:54 댓글수0 공감수0. 에러관련 내용. 인증하러 가기 인증완료.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우리 는 챔피언 1 화 | [더빙] 우리는 챔피언 1화 테스트 28018 투표 이 답변 우리는 챔피언 1기, 2기. 우리는 챔피언 001화. 애니보자. 2013. 12. 13. 22:54 댓글수0 공감수0. 에러관련 내용. 인증하러 가기 인증완료.
- Table of Contents:
우리 는 챔피언 1 화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d여기에서 [더빙] 우리는 챔피언 1화 테스트 – 우리 는 챔피언 1 화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우리 는 챔피언 1 화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우리 는 챔피언 1 화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우리 는 챔피언 1 화
키워드에 대한 정보 우리 는 챔피언 1 화
사람들이 주제에 대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더빙] 우리는 챔피언 1화 테스트
Recent Posts
![우리 는 챔피언 1 화 | [더빙] 우리는 챔피언 1화 테스트 28018 투표 이 답변](https://i.ytimg.com/vi/I1GIzSDLRc8/maxresdefault.jpg)
우리 는 챔피언 1 화
- Article author: m.dcinside.com
- Reviews from users: 20419
Ratings
- Top rated: 3.3
- Lowest rated: 1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우리 는 챔피언 1 화 걍 네이버에 우리는 챔피언 1기 더빙이라고 쳐봐. 2019.03.04 00:10. ㅇㅇ. 우리는 챔피언이 sbs에서 더빙한거중에 그나마 찾기쉬운 작품임.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우리 는 챔피언 1 화 걍 네이버에 우리는 챔피언 1기 더빙이라고 쳐봐. 2019.03.04 00:10. ㅇㅇ. 우리는 챔피언이 sbs에서 더빙한거중에 그나마 찾기쉬운 작품임.
- Table of Contents:

우리는 챔피언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 Article author: ko.wikipedia.org
- Reviews from users: 6047
Ratings
- Top rated: 4.6
- Lowest rated: 1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우리는 챔피언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우리는 챔피언》(일본어: 爆走兄弟レッツ&ゴー!!, 폭주형제 렛츠 앤 고)은 고시타 데쓰히로가 코로코로 코믹에 1994년부터 1999년까지 연재한 만화 및 이를 원작으로 …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우리는 챔피언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우리는 챔피언》(일본어: 爆走兄弟レッツ&ゴー!!, 폭주형제 렛츠 앤 고)은 고시타 데쓰히로가 코로코로 코믹에 1994년부터 1999년까지 연재한 만화 및 이를 원작으로 …
- Table of Contents:
개요[편집]
원작과 애니의 차이[편집]
등장인물[편집]
등장 미니사구[편집]
애니판 스토리[편집]
애니[편집]
= 전후 프로그램[편집]
비고[편집]
관련 상품[편집]
같이 보기[편집]
외부 링크[편집]
See more articles in the same category here: Top 83 tips update new.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우리는 챔피언
爆走兄弟レッツ&ゴー!! 장르 스포츠, 액션 TV 애니메이션: 폭주형제 렛츠 앤 고 원작 호시야마 히로유키 감독 아미노 테츠로 음악 츠노 고우지 제작 XEBEC 방송사 TV 도쿄
SBS 방영 기간
화수 153화 틀 – 토론
《우리는 챔피언》(일본어: 爆走兄弟レッツ&ゴー!!, 폭주형제 렛츠 앤 고)은 고시타 데쓰히로가 코로코로 코믹에 1994년부터 1999년까지 연재한 만화 및 이를 원작으로 한 애니메이션이다. 미니카 붐을 일으킨 히트작이다.
대한민국에서는 1998년 8월 31일부터 1998년 11월 30일까지 SBS에서 방영되었다.
개요 [ 편집 ]
만화는 코로코로 코믹에서 1994년 6월호~1999년 10월호까지 연재.
스토리는 전부 3시리즈. TV에서는 3년에 걸쳐 1년에 1시리즈씩 방영했다. TV 도쿄계열에서 1996년 1월에서 1998년 12월까지 방송했다. 애니 제작사는 XEBEC이며. 각각 51화, 총 합계 153화.
제 1시리즈는 세이바 레츠, 세이바 고의 세이바 형제가 미니사구 연구자 츠치야 박사에게서 양도받은, 세이버라는 머신을 성장시키며, 온갖 미니사구 레이서들과 경쟁한다는 내용. 〈국내편〉〈GJC(그레이트 재팬 컵)편〉〈오오가미편〉 또는 〈무인〉(타이틀 뒤에 시리즈 명이 붙지 않아서)이라 불린다.
제 2시리즈는 무대가 국내에서 세계로 옮겨지지만, 주인공은 그대로인 속편. 〈WGP편〉(월드 그랑프리의 약자)이라 불린다. 내용은 지금까지의 라이벌들과 팀을 짜서 세계와 싸운다는, 소년 스포츠 만화의 왕도. 전작에서부터 그대로 이어져 있어서, 방송국에서는 새 프로그램이 아닌 전작과 같은 프로그램으로 취급. 극장판 영화도 공개되었다.
제 3시리즈는 같은 세계이지만, 주인공이 바뀐 다른 이야기이다. 작품명도 〈폭주형제 렛츠&고!! MAX〉로 변경되어(원작은 제 3화부터 애니에 맞춰 작품명을 변경), 〈MAX편〉이라 불린다. 이치몬지 고우키, 이치몬지 레츠야 형제가 미니사구 배틀 레이서 양성기관, 보르조이 스쿨의 방침에 의문을 느껴 스쿨 소속의 레이서들과 경쟁한다는 내용.
〈국내편〉과 〈WGP편〉은 풀카울 미니사구가 메인으로 등장. 〈MAX편〉에서는 에어로 미니사구가 메인으로 바뀐다.
일본에 제2차 미니사구 붐을 일으켰으나, 애니 종영과 비슷한 무렵에 붐도 종언을 맞는다. 종언의 이유로는, 에어로 미니사구가 별로 참신하지 못했던 점, 대상이었던 어린이들의 성장 등을 들 수 있다.
리모콘 없이도 레이서의 의사에 따라 속도가 오르거나, 때로는 회전하며 날아가거나 하는 비현실적인 묘사가 어린이들 사이에 화제가 되었다.
이하 기사는, 별다른 언급이 없는 경우 애니판의 설정을 기초로 하였다.
원작과 애니의 차이 [ 편집 ]
원작이 월간지 연재인 것에 대해, 애니는 1주에 1회 방영하여 금세 스토리를 따라잡았기 때문에 제 1기 시리즈 중반부터 내용이 원작과 바뀌어, 특히 MAX편에서는 주인공들 몇 명의 이름과 머신을 제외하고 주오 캐릭터나 머신 등이 애니 오리지널이었다. 원작에 등장한 캐릭터라도, 애니판에서는 디자인이 달라진 캐릭터도 많았다.
원작이 초등학교 저학년에서부터 중학생을 의식한 스토리 전개인 것에 비해, 애니판은 초등학교 고학년 정도를 의식한 것으로 보여, 원작보다도 복잡한 스토리 전개를 보였다. 그 때문에 원작보다도 폭넓은 연령층에게 받아들여져, 메인 타겟인 남소중생(초중생) 뿐만 아니라, 여중고생들까지도 끌어들이는 붐이 되어 많은 동인지도 만들어졌다. 세세한 차이를 꼽자면 끝이 없지만, 스토리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주요 차이점으로서는 이하의 점들을 들 수 있다.
국내편 [ 편집 ]
대회의 유무 원작에서는 오오가미 박사 등장 이후, 공식 레이스는 거의 그려지지 않고 오오가미 박사의 본거지에 직접 쳐들어가 대결했으나, 애니판에서는 공식 레이스에서 오오가미 군단에게 승리한다.
매그넘 토네이도 완성까지의 과정 원작에서는 모델건 〈매그넘〉의 발사구에 있던 홈에서 힌트를 얻었으나, 애니에서는 쥰이 던진 야구공의 회전에서 착안했다.
머신 원작에서 사이클론 매그넘은, 브로큰G에 의해 부서진 빅토리 매그넘을 그 자리에서 수리한 즉석 머신이었으나, 애니에서는 빅토리 매그넘이 레이스팅거에 의해 부서져, 고와 J가 둘이서 협력하여 만들었다. 또, 원작에서는 매그넘 세이버, 빅토리 매그넘에게는 다운포스가 없다는 약점이 있었으나, 애니에서는 〈수퍼 다운포스 머신〉이라고 불릴 만큼 강력한 다운포스로, 억지로 노면에 머신을 누르는 것으로 코너나 비탈길의 불안정함을 극복했다.
허리케인 소닉은, 원작에서는 WGP편 전에 브렛에게 완패한 레츠가 만들었지만, 애니에서는 사이클론 매그넘의 속도를 보고 안달한 레츠가 오오가미 박사의 연구소에서 만들었다.
원작에서 스핀코브라는, 고 일행이 따라붙었기 때문에 토우키치가 츠치야 박사에게 탄원하여 프로토세이버와 동시에 전자개조를 실시하여 완성시켰으나, 애니에서는 미쿠니 재벌의 힘을 사용하여 카이와의 대결에서 완성시켰다. 또한, 프론트 모터라는 설정은 애니에서 나중에 붙인 것이다. 애니에서는 트라이다가보다 먼저 완성시켰다.
프로토세이버EVO.는, 원작에서는 WGP 직전에 만들어졌으나 애니에서는 국내편에서 만들어져, SGJC에서 활약했다. 또한, 원작에서는 허리케인 소닉보다 2개월 이르게 등장했으나 애니에서는 반대로 1주일 늦게 등장했다.
등장인물 쿠로사와 후토시…원작에서는 초기에 나타나 비뚤은 길을 가다가, 자업자득으로 패배하고 모습을 감춘 일회용 인물이었으나, 애니에서는 카이에게 패배한 것을 계기로 개심하여 최종회까지 중요 캐릭터의 한 명으로서 등장했다.
코히로 마코토…쿠로사와와 마찬가지로 원작에서는 보통 레이서였으나, 애니에서는 최종화까지 등장하며 수수하게 활약했다.
사가미 쥰…처음에는 애니 오리지널 캐릭터로 등장. 후에 원작에도 등장했으나, 애니에서는 키가 고와 비슷할 정도였으나 만화판에서는 레츠와 비슷하거나 좀 더 크게 그려져, 외견이 다르다.
R…J의 누나. 원작에는 등장 없음.
츠치야 박사와 사가미 타모츠…원작에서는 오래 된 친구이나, 애니에서는 서로 모르는 사람.
오키타 카이 등장 이후의 레이스는 완전히 애니 오리지널이다. 애니판에서는 오키타 카이 등장 후 세간에 배틀 레이스가 유행하지만, 원작에서는 그러한 전개가 없고 오키타 카이는 세간에 알려지지 않는, 어둠의 레이서였다.
WGP편 [ 편집 ]
GP칩의 유무 원작에서는 지금까지와 마찬가지로 일반 미니사구였으나, 애니에서는 GP칩이라는 파츠가 추가되었다. 머신의 특성을 스스로 학습하여 노면에 맞춘 최적의 주행을 할 수 있는 파츠로, 이것으로 머신이 의사를 가진 것처럼 달리는 것의 근거로 삼았다. 이 GP칩의 존재나 모터 회전 수(토크), 머신 강도의 성능 차이로, WGP 참가 머신은 일반 미니사구와는 구별되는 〈그랑프리 머신〉이라 불린다. 그랑프리 머신의 성능은 일반 미니사구로는 상대가 안 될만큼 높고, SGJC 우승 머신인 사이클론 매그넘은 WGP 제 1화에서 아스트로레인저스의 벅블레이더에게 전혀 대항할 수 없었다.
참가 팀 원작에서는 일본, 미국, 독일, 이탈리아 이외의 팀은 등장하지 않는다(중국, 자메이카는 특별편 1화에서만. 북구는 이름만 등장. 독일도 2군은 등장 없음). 다른 나라는 그 외의 조연으로서 그려졌을 뿐이라, 몇 개의 나라, 어떤 나라가 참가했는지는 불명. 원작에서는 각국 리더 이외에는 성격을 알 수 없었으나, 애니에서는 모두 10개 나라, 각 팀의 5명 모두 세세하게 성격이 설정되어 있었다. 그 상세 설정은, GB판 〈폭주형제 렛츠&고!! 올 스타 배틀 MAX〉나 PS판 〈하이퍼 히트〉, 〈이터널 윙스〉 및 SFC판 〈POWER WGP2〉에서도 드러나, 애니에서 알 수 없었던 출장 전수 전원의 이름과 얼굴을 명확하게 알 수 있다.
개최국 결정 경위 원작에서는 처음부터 일본 개최. 애니에서는 원래 미국 개최 예정이었던 것을 오카다 텟신의 독단으로 인해 일본 개최로 바꾸었다.
필살기 원작에서는 비트 매그넘이 된 후에도 매그넘 토네이도를 사용했으나, 애니의 비트 매그넘은 다운포스가 지나치게 잘 듣게 되어 토네이도를 사용할 수 없게 되어, 신기술 〈매그넘 다이너마이트〉를 만들었다(후에 원작에서도 매그넘 다이너마이트를 사용했다). 애니에서는 독일의 〈쯔바이 플뤼겔〉〈쯔바이 라켓테〉 등 원작에 없는 기술이 등장. 또 아스트로레인저스의 〈파워 부스터〉는 원작에서는 〈타이어의 회전에 따른 자가발전으로 달리면 달릴수록 전지가 충전된다〉는 비과학적인 설정이었으나, 애니에서는 남은 전력을 완전히 사용하여 골인한다는 기술로 바뀌었다.
머신의 등장 비트 매그넘은, 원작에서는 머신을 수리할 샤시가 없어 곤란하던 차에, 텟신이 만든 〈수퍼 비트 샤시〉를 사용하여 완성시켜, 이름도 그에 따라 〈비트 매그넘〉이라고 지었다. 애니에서는, 일반 샤시를 사용하면 금이 가 버린다는 문제가 발생하여, 마찬가지로 텟신 아래에서 ZMC제 샤시를 발견. 부착했지만 속도가 나지 않아 고민하던 차에, 지나가던 오토바이의 서스펜션을 보고 매그넘에게도 서스펜션을 붙인다는 아이디어를 얻었다. 또, 〈비트 매그넘〉이라는 이름은, 부활 제 1전 후의 J의 대사 〈하트 비트〉에서 착안한 것. 원작에서의 버스터 소닉은, 코너에서조차 비트 매그넘에게 뒤진다는 굴욕을 받아 츠치야 박사의 주선으로 소닉에게도 개량판 서스펜션이 달린 샤시를 도입한다. 그 시점에서 매그넘에게 이겼으나, 주행이 소닉답지 않다고 생각하여 고와 함께 밤을 새며 개량한 결과 탄생했다. 애니에서는 한 번 허리케인 소닉을 부활시킨 후, 리더로서의 압박감에 못 이겨, 레이스에서 자멸한 후 부상. 입원 생활을 보내던 레츠가 퇴원 후 서둘러 완성했다. 원작에서 스핀바이퍼는, 처음에는 토우키치가 스스로 머신을 개발했으나 생각만한 주행이 나오지 않고 세팅이 되지 않은 비트 매그넘에게조차 패배하지만, 고 일행의 협력에 의해 본래 성능을 발휘하여 완성했다(번외편 수록). 애니에서는 스핀코브라를 한 번 수리했으나, 레츠가 입원하여 전선을 이탈한 사정을 받아들여 료와 함께 하드 트레이닝을 한 끝에 만들어 소닉의 빈 자리를 메우는 겸, 토우키치가 두 대를 출장시켜 스핀코브라의 모든 것을 스핀바이퍼에게 물려주어 완성했다. 독일 팀 아이젠볼프의 머신 〈베르크카이저〉는 애니에서는 미하엘, 에리히가 사용하는, 조종석이 오른쪽인 머신과 슈미트, 아돌프, 헤슬러가 사용하는, 조종석이 왼쪽에 있는 타입이 있었으나, 원작에서는 모두 조종석이 오른쪽에 있다. (실제 발매된 것도 조종석이 오른쪽에 있는 타입뿐) 중국 팀 소사구주행단 꽝씨에의 머신은, 애니에서는 후앙만 〈샤이닝 스콜피온〉이고 나머지 네 사람은 〈콩롱〉이라는 머신이지만, 원작에서는 모두 샤이닝 스콜피온이다.
디자인 변경 원작에서 검은색이었던 아이젠볼프의 유니폼이 애니에서는 붉은색으로, 원작에서 붉은색이었던 로쏘 스트라다의 유니폼이 애니에서는 오렌지색이 되는 등, 머신을 가슴 앞에 두었을 때 보기 쉬운 색상으로 변경. 빅토리즈의 유니폼은 디자인이 통째로 바뀌었다. 원작에서는 고나 레츠와 키가 비슷했던 미하엘이 애니에서는 료보다 커지고, 원작에서는 전원 금발이었던 독일 팀의 머리 색이 애니에서는 갈색이나 회색 등으로 바뀌었다.
로쏘 스트라다의 출장 정지 애니의 로쏘 스트라다는 부정이 발각되어 2개월의 출장 정지 처분을 받았으나, 원작에서는 그러한 처분은 없었다. 원작에서는 레이스의 수 자체가 적고, 어떤 식으로 우승이 결정되는지조차 애매했다(시합에 이겨서 얻는 포인트의 합계로 결정되는 듯하나, 한 시합에 포인트가 얼마나 주어지는지 등은 불명). 그 외에도, 애니판의 레이스는 거의 모두 오리지널로, 원작에서는 드림 찬스 레이스, 파이널 스테이지는 존재하지 않는다. 아스트로레인저스의 2회전이나 로쏘 스트라다의 2회전만 원작을 베이스로 한 듯하나, 이곳저곳이 달라 로쏘 스트라다 2회전은 승패도 바뀌었다.
MAX편 [ 편집 ]
MAX편은 무인 및 WGP편 이상으로 대폭 변경되어, 몇몇 캐릭터와 머신을 제외하면 원작대로 진행하는 부분이 없다. 스토리는 보르조이 스쿨의 존재 이외에는 거의 오리지널이다.
등장인물 원작에서는 애니판 주요 캐릭터인 마츠 히토시, 마나부,마사오, 다이젠 형제, 오오가미 마리나, 아라이 미나미, 파이터 레이디, 마시마 사쿄 등이 등장하지 않는다. 특히, 애니판 스토리의 대부분은 이치몬지 형제의 라이벌이자 이야기의 히로인인 오오가미 마리나가 얽힌 것이 많기 때문에, 원작과는 스토리의 기본이 전혀 다르다고 할 수 있다. 반대로 애니에서는, 원작 종반에 등장하는 클리프, 칼림 하메드가 등장하지 않는다.
무대 원작에서는 보르조이 스쿨의 소재지를 포함하여 주요 무대가 되는 마을의 이름은 불명이었다. 츠치야 연구소나 사가미 모형점이 존재하는 것을 보아, 전작과 같은 〈후린 마을〉이라 할 수 있으나, 고우키 일행이 식객으로 있는 GEN제작소만 다른 마을에 있을 가능성도 있다. 애니에서는 오리지널 〈카와시타 마을〉이라는 마을(도쿄도 오오타구 카마타를 연상시킨다)로, 츠치야 연구소 등 전작까지의 건물은 일절 등장하지 않았다.
고우키의 실력 원작에서는 초기에 낙오자였으나, 후에 많은 레이서들과 대전하여 실력을 쌓는다. 애니에서는 처음부터 실력자였다.
레츠야의 성격 원작에서는 고우키를 〈고우키〉라고 이름만 부르고, 가끔 〈형(兄さん)〉이라고 불렀다. 어릴 적의 레츠야에게 고우키는 존경스러운 형이었으나, 애니판에서는 그러한 묘사는 없고 고우키를 시종일관 〈형(兄貴)〉이라고 부르며, 후반에는 〈건방진 동생〉같은 느낌의 부드러운 성격으로 변화해 갔다.
서브 캐릭터의 관계 핫토리 탓페이와 쿠스노키 다이고는 원작에서 친구로서 동시에 등장하나, 애니에서는 처음에는 서로 모르는 사람이었다.
WGP캐릭터와의 관계 원작에서는 중반에서부터 WGP루키전이라는 대회가 열려 WGP 캐릭터가 재등장하나, 애니에서는 재등장하지 않는다.
머신 등장 방법 원작에서 블레이징 맥스는 보르조이 스쿨편 종료 후, 머신을 개조하며 만들었다. 애니에서는 맥스 브레이커가 페닉스스팅거에게 파괴되어서 수리를 겸해 뉴 머신을 완성시켰다. 너클 브레이커는, 원작에서 이치몬지 박사의 연구소의 흔적에서 발견했다. 애니에서는 위기를 느낀 이치몬지 박사가 모관하고 있던 머신을 꺼내어 미나미에게 맡겨, GEN제작소를 통해 레츠야의 손에 넘어갔다.
그 외에도 애니판의 레이스는 모두 오리지널이다.
등장인물 [ 편집 ]
우리는 챔피언의 등장인물 목록 참조
등장 미니사구 [ 편집 ]
폭주형제 렛츠&고!!의 등장머신 참조
애니판 스토리 [ 편집 ]
폭주형제 렛츠&고!! [ 편집 ]
제 1시리즈인 본 작품은, 주인공 레츠와 고가 4개의 시즌 레이스에서 승리하여 그 시즌 레이스에서 입상한 사람만이 참가할 수 있는 수퍼 그레이트 재팬 컵(SGJC)에서 승리하기까지의 1년을, 방송 시기에 맞춰 그렸다.
세이버와의 만남 [ 편집 ]
미니사구를 좋아하는 형제, 형 세이바 레츠와 동생 세이바 고 두 사람은, 형제이지만 성격은 정반대. 미니사구 개발자인 츠치야 박사는 그들을 점찍어, 미니사구의 가능성을 시험해 보기 위해 그들에게 신형 미니사구인 풀카울 미니사구 제 1탄, 세이버를 각자에게 준다. 레츠는 코너링 중시인 소닉세이버, 고는 직선 중시인 매그넘세이버로 진화시킨다. 그 머신으로 GJC(그레이트 재팬 컵) 윈터 레이스에 나간 둘은, 사고를 당해 실격이 되지만, 이 레이스로 유명해졌다.
둘은 그 후에도 수많은 레이스에 나가, 타카바 료, 미쿠니 토우키치, 쿠로사와 후토시, 코히로 마코토 등, 라이벌 미니사구 레이서와 만나 성장해 간다. 그리고 GJC 스프링 레이스에서는 고가 1위, 레츠는 3위로 입상한다(애니에서는 고, 료 이외에는 전원 리타이어했기 때문에, 후에 3위 결정전이 있었다).
오오가미 박사 나타나다 [ 편집 ]
그러나 그들의 앞에 오오가미 박사가 나타난다. 그는 전에 츠치야 박사와 함께 연구했던 사람으로, 아이들이 즐길 수 있는 미니사구를 개발하는 츠치야와 반대로 승리만을 중시하여 다른 머신을 공격하는 기능을 탑재한 머신을 개발하여, 배틀 레이스를 권장하고 있었다.
그의 아래에서 레이스를 하고 있던 수수께끼의 소년 J와 대결하던 레츠와 고는 패배하여, 소닉세이버와 매그넘세이버가 마그마에 빠지고 만다. 쇼크를 받아 미니사구를 그만두려 했던 레츠와 고였으나, 츠치야 박사에게 새로운 머신 뱅가드 소닉과 빅토리 매그넘을 받아 다시 한 번 J에게 도전하여 승리를 거둔다. 그 레이스에서 미니사구의 즐거움을 깨달은 J는 오오가미 박사를 떠나 츠치야 박사 아래에서 새로운 생활을 시작했다.
배틀 레이스 시대의 시작 [ 편집 ]
그러나 그들의 앞에 다시 오오가미의 머신을 가진 소년 오키타 카이가 나타난다. 그의 압도적 힘 앞에서 GJC 섬머 레이스에서 완주한 것은 우승한 카이와 준우승 고 둘 뿐으로, 다른 머신들은 모두 카이에 의해 크래시되고 마는 대파란의 레이스가 되었다. 그리고 이 레이스로 인해 오키타 카이는 미니사구계의 영웅이 되어, 어린이들에게 배틀 레이스가 침투된다.
그 후에도 오오가미 박사의 머신을 가진 콘도 겐과 히지카타 레이가 나타나, 레이스팅거로 고의 빅토리매그넘을 파괴한다. 고와 J는 협력하여 뉴 머신 사이클론 매그넘을 만들어 GJC 오텀 레이스에 참가. 입상은 하지 못했으나 그 위협적인 스피드를 보여주었다(또한, 이 레이스에서 우승한 것은 운 좋게도 레이스팅거의 창이 찔린 채로 완전히 파괴되지는 않았던 지로마루 스페셜스페셜이었다).
카이, 레이는 SGJC 출장 자격을 얻었으나, 겐이 그 자격을 얻지 못하여 옵서버(observer;회의에서 특별히 출석이 허용된 사람)가 된 오오가미의 의향으로, 수퍼 그레이트 재팬 컵 빅 챌린지가 개최된다. 레이스 개최에는 반대했던 고 일행이었으나, J와 쿠로사와 등의 정통파 레이서도 출장 자격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을 깨달아, 그들에게 레이스 참가를 권한다. 한편 오오가미도 전미 챔피언을 초빙. 그 정체는 J의 누나 R이었다.
SGJC [ 편집 ]
그리고 드디어 수퍼 그레이트 재팬 컵(SGJC)이 개최되었다. 3일간에 걸쳐 포인트제로 거행되는 이 레이스에서, 1일째, 2일째는 오오가미 박사의 머신에게 상위 3위를 독점당하고 만다. 그리고 3일째, 포인트에서 크게 뒤떨어지고 만 레츠와 고 일행은, 오오가미 박사의 머신을 깨고 기적의 대역전하여 우승할 수 있을까.
폭주형제 렛츠&고!!WGP [ 편집 ]
세계 그랑프리 개최 결정 [ 편집 ]
FIMA(국제 미니사구 연맹) 주최의 제 1회 미니사구 세계 그랑프리(WGP)를 개최할 것이 결정되었다. 5인 1팀으로 싸우는 리그전에서, 일본에서는 SGJC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둔 레츠, 고, 료, 토우키치, J 다섯 사람이 뽑혔다.
이 대회에서 사용되는 미니사구는 일반 미니사구와는 전혀 다른 토크(torque), 스피드를 가진 모터를 탑재하고, 그에 견디는 보디를 장착하는 데다가 GP칩이라 하는, 스스로 머신의 특성을 기억하여 최적 코스 선택이나 가감속을 한다는 인공지능을 탑재한 그랑프리 머신이었다. 익숙지 않은 그랑프리 머신이나 팀 레이스에 허둥대는 다섯 명이었지만, 팀 이름도 〈TRF빅토리즈〉로 결정되고, WGP 개최가 가까워졌다.
우여곡절을 거쳐, 개최지는 미니사구 발상지, 일본으로 결정. 세계에서 일본, 미국, 독일, 이탈리아, 러시아, 중국, 아프리카, 북구, 오스트레일리아, 자메이카 10팀이 참가하였다.
세계의 라이벌과의 만남 [ 편집 ]
초전을 승리로 장식한 빅토리즈는, 승패를 반복하며 점점 팀으로서 발전해 왔다. 그러나 라이벌 팀들도 지고 있지만은 않는다. 독일은 1군이 도착하고 나서 한번에 상위로 뛰고, 중국에서는 환상의 머신이라 불리는 샤이닝 스콜피온이 참전하고, 아프리카는 오키타 카이(SGJC를 계기로 배틀 레이스를 버리고, 정통파 레이스로 이전했다)가 코치로 오는 등 전력을 키워나가고, WGP는 점점 혼전을 향했다.
그런 도중에 빅토리즈는 전승(全勝)으로 1위를 독주하는 이탈리아의 로쏘 스트라다와 대결하게 되었다. 로쏘 스트라다는 사실 상대 머신에게 공격을 가하며 승리해 온 팀이었다. 고만이 그 정체를 눈치채고 필사적으로 항의하지만 레츠 일행은 믿어 주지 않았다. 그러나 로쏘 스트라다와의 재전(再戰)에서 팀 전원의 머신이 파괴되는 지경에 이르러, 드디어 고의 말을 믿게 된 멤버들은 각자의 파츠를 모아 뉴 머신 비트 매그넘을 만들었다. 그 후 로쏘 스트라다는 내부 분열이 일어나고, 부정행위가 발각되어 2개월간 출장 정지 처분을 받게 되었다.
세계로 스타트 [ 편집 ]
드디어 상위 네 팀이 참가하여 우승을 결정하는 파이널 레이스의 개최가 결정되었다. 빅토리즈는 아슬아슬하게 4위로, 미국, 이탈리아, 독일과 함께 싸우게 된다. 레이스 방식은 도쿄를 출발점으로 시즈오카까지 3일에 걸쳐 달리는, 지금까지 예가 없는 대규모 레이스. 과연 고 일행 빅토리즈는, 세계 제일의 영광을 손에 넣을 수 있을까.
폭주형제 렛츠&고!!MAX [ 편집 ]
이치몬지 형제 등장 [ 편집 ]
이치몬지 고우키와 이치몬지 레츠야는 엘리트 미니사구 레이서 육성기관 보르조이 스쿨의 우수한 레이서 형제였으나, 스쿨의 배틀 레이스 방침에 반대하는 고우키는 스쿨에서 쫓겨난다. 갈 곳이 없는 고우키는, 일단 숙부가 일하는 공장에서 식객으로서 머물게 되었다. 그러다가 WGP 챔피언인 TRF빅토리즈가 제 2회 WGP 때문에 미국으로 떠난다는 것을 알게 되어, 〈세계 제일의 미니사구 레이서〉라며 뱃심 좋게 말하지만, 전혀 상대가 되지 않았다. 세계 레벨을 알게 된 고우키는 빅토리즈와 다시 싸울 것을 약속하고, 미니사구에 대한 열정을 다잡는다. 히토시, 마리나, 다이젠 형제 등 라이벌 미니사구 레이서와의 만남을 거치며 고우키는 레이서로서 성장한다. 한편 레츠야도 보르조이 스쿨에서 100대 깨기라는 위업을 달성하고, 배틀 레이서로서 더욱 더 힘을 쌓아갔다.
보르조이와의 사투 [ 편집 ]
어느날 고우키는 보르조이 스쿨 개최 제 1회 〈보르조이 오픈〉이 열리는 것을 알게 되어, 참가라리라 마음먹는다. 이 레이스는 레츠야를 포함하여 지금까지의 라이벌들이 모두 참가하는 것이었다. 레이스는 물공격이나 갑작스런 코스 연장, 전자파 배리어 등 갖가지 장애물이나 음모가 펼쳐져 있었다. 그러나 고우키는 성실하게 달려, 장애물이나 배틀 레이서들의 방해를 빠져나가 우승했다. 그것을 보던 레츠야는 보르조이의 주행이 아닌 〈자신의 주행〉을 생각하게 되어, 보르조이 스쿨을 나와 고우키와 함께 식객 생활을 시작했다.
그 후에도 GJC나 USA챔프와의 대전으로, 고우키 일행은 더더욱 실력을 쌓아 갔고, 레츠야도 배틀 레이스에서 손을 떼었다. 보르조이 오픈, GJC와 대립할 의사가 무너진 보르조이 스쿨의 창시자 프로페서 보르조이가 약해질 무렵, 그의 손자인 네로 스텔라 보르조이가 러시아에서 찾아왔다. 그는 보르조이를 퇴장시키고 스쿨을 해산하고, 미니사구의 진정한 넘버원을 결정하는 M1을 개최한다고 선언했다. 실력있는 1만명의 레이서가 참가하는 대규모 레이스. 고우키, 레츠야는 이 레이스에서 승리하고 최고의 영광을 붙잡을 수 있을까.
폭주 미니사구 대추적! (극장 공개 작품) [ 편집 ]
1997년 7월 5일 공개
WGP 중반, 로얄 페스티벌 컵 도중에 갑자기 수수께끼의 머신 건블러스터XTO와 그 주인 리온이 나타나, 머신을 날려버리고 레이스를 엉망진창으로 만들었다. 고 일행 빅토리즈 멤버는 건블러스터를 뒤쫓아간다. 리온은 GP칩 개발이 늦어 WGP에 참가하지 못한 레이서로, 건블러스터는 드디어 완성한 GP칩 때문에 괴전파를 발생시키며 폭주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만일 이대로 건블러스터가 계속 폭주핟나면, 괴전파 때문에 도시 기능이 엉망진창이 된다고 판단한 개발자 쿠스코 박사는 건블러스터를 부수기로 했다. 빅토리즈와 리온은 건블러스터가 파괴되기 전에 폭주를 멈추기 위해 필사적으로 건블러스터를 뒤쫓는다. 고 일행은 건블러슽의 폭주를 멈출 수 있을까.
애니 [ 편집 ]
1996년 1월 8일~12월 30일 – 〈폭주형제 렛츠&고!!〉 (TV 도쿄 계열)
1997년 1월 6일~12월 22일 – 〈폭주형제 렛츠&고!!WGP〉 (TV 도쿄 계열)
(무인 및 WGP편 총합) 최고 시청률 : 11.8% 최저 시청률 : 5.2% 평균 시청률 : 8.4%
1998년 1월 5일~12월 21일 – 〈폭주형제 렛츠&고!!MAX〉 (TV 도쿄 계열) 최고 시청률 : 9.2% 최저 시청률 : 4.6% 평균 시청률 : 6.4%
스탭 [ 편집 ]
원작 : 코시타 테츠히로(소학관/월간 코로코로 코믹·별간 코로코로 코믹·소학4년생·TV군)
기획 프로듀서 : 이와타 케이스케(TV TOKYO), 오오노 미노루(요미우리 광고사), 카와무라 히데후미(소학관), 야기 마사오(소학관 프로덕션)
수퍼 바이저 : 쿠보 마사카즈, 사가미 야스유키
시리즈 구성 : 호시야마 히로유키
캐릭터 디자인 : 타카미 아키오(무인 및 WGP 담당), 이시하라 미츠루(MAX 담당)
메카닉 디자인 : 사쿠라 타쿠미
플롭 디자인 : 오가타 유지
미술감독 : 아사쿠라 치토세(프로덕션 아이)
색채설계 : 세키모토 미츠코
촬영감독 : 카나자와 아키오
편집 : 마사키 야스유키
음악 : 츠노 고우지, 이마미즈 히로시(무인 담당/음악은 WGP편까지 사용), 우에하타 마사카즈(무인 담당/음악은 WGP편까지 사용)
음향감독 : 타나카 히데유키
음향효과 : 카게야마 미치루(피즈 사운드 크리에이션)
녹음제작 : HALF H·P STUDIO
캐스팅 협력 : 81프로듀스
음악 프로듀서 : 마에야마 토모쿠니, 요시다 타카시
음악제작/협력 : 컬럼비아 어뮤즈 엔터테인먼트, TV도쿄 뮤직
오리지널 사운드 트랙 : 테이치쿠(무인 상반기), 토시바EMI(무인 하반기), 빅터 엔터테인먼트(WGP편), 일본 컬럼비아(MAX편)
감독 : 아미노 테츠로(무인 담당), 카토 타카오(WGP, MAX편)
조감독 : 호시아이 타카히코
애니메이션 제작 프로덕션 : XEBEC
제작 : TV TOKYO·요미우리 광고사·소학관 프로덕션
저작 : (C)코시타 테츠히로/소학관·타미야 모형·TV TOKYO·요미우리 광고사·소학관 프로덕션
주제가 [ 편집 ]
국내편 [ 편집 ]
오프닝 테마 〈위닝 런! -바람이 되고 싶어-〉 : 야마가타 유키오 〈FLESH&BLOOD~두 생각~〉 : G-CRISIS
엔딩 테마 〈Yo! BROTHER〉 : BOOGIE MAN 〈상처입을 수도 없어〉 : 카지타니 미유키 〈사랑의 타겟 보이~Baby Boy〉 : THE PINK HOPS 〈꿈의 끝까지라도〉 : ]]PERSONZ]]
WGP편 [ 편집 ]
오프닝 테마 〈GET THE WORLD〉 : 카게야마 히로노부
엔딩 테마 〈Grow up Potential~꿈을 향해~〉 : GANASIA 〈Tune-up Generation〉 : 마츠미야 마이코 〈We are the VICTORYS〉 : the VICTORYS 〈오늘밤은 이브!〉 : 렛츠고 BOYS&GIRLS
MAX편 [ 편집 ]
오프닝 테마 〈BRAVE HEART〉 : 강철형제
엔딩 테마 My name is 카 보이〉 : 카게야마 히로노부 with KIDS MAX 〈우리들의 FREEDOM〉 : YUKA SATO
방영 리스트 [ 편집 ]
So you have finished reading the 우리 는 챔피언 1 화 topic article, if you find this article useful, please share it. Thank you very much. See more: 우리는 챔피언 1화 더빙, 폭주형제 렛츠고 1화, 우리는 챔피언 4화, 우리는 챔피언 다시보기, 우리는 챔피언 wgp, 우리는 챔피언 wgp 더빙, 폭주형제 렛츠고 wgp, 우리는 챔피언 wgp 5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