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35 여성 주의 상담 Top Answer Update

You are looking for information, articles, knowledge about the topic nail salons open on sunday near me 여성 주의 상담 on Google, you do not find the information you need! Here are the best content compiled and compiled by the https://toplist.cazzette.com team, along with other related topics such as: 여성 주의 상담


‘여성주의’ 신호탄 쏘아 올린 화제작…공지영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 / KBS 2021.08.16.
‘여성주의’ 신호탄 쏘아 올린 화제작…공지영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 / KBS 2021.08.16.


여성주의상담이란 · 여성주의상담 · 아카이브 문

  • Article author: herstory.xyz
  • Reviews from users: 16921 ⭐ Ratings
  • Top rated: 3.1 ⭐
  • Lowest rated: 1 ⭐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여성주의상담이란 · 여성주의상담 · 아카이브 문 여성주의 상담이란 여성 내담자를 가부장제 사회에서 성차별에 억압당해 온 존재로서 이해하고 상담하는 상담치료기법을 말한다. 여성주의 상담은 모든 문제는 자신 …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여성주의상담이란 · 여성주의상담 · 아카이브 문 여성주의 상담이란 여성 내담자를 가부장제 사회에서 성차별에 억압당해 온 존재로서 이해하고 상담하는 상담치료기법을 말한다. 여성주의 상담은 모든 문제는 자신 … Korea Women’s Hotline, digital archive, omeka한국여성의전화 여성인권운동 아카이브에 오신 여러분 환영합니다.
  • Table of Contents:
여성주의상담이란 · 여성주의상담 · 아카이브 문
여성주의상담이란 · 여성주의상담 · 아카이브 문

Read More

여성 주의 상담

  • Article author: snwhotline.or.kr
  • Reviews from users: 46350 ⭐ Ratings
  • Top rated: 3.6 ⭐
  • Lowest rated: 1 ⭐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여성 주의 상담 1960년대에 일어난 여성운동의 영향으로, 서구에서는 1960년대부터 심리 상담에서 여성 주의적 접근이 이루어지기 시작했습니다. 여성주의 상담은 여성들 스스로가 다른 …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여성 주의 상담 1960년대에 일어난 여성운동의 영향으로, 서구에서는 1960년대부터 심리 상담에서 여성 주의적 접근이 이루어지기 시작했습니다. 여성주의 상담은 여성들 스스로가 다른 …
  • Table of Contents:
여성 주의 상담
여성 주의 상담

Read More

여성주의상담이란 – 여성주의상담이란 – 부천여성의전화

  • Article author: bwhotline.or.kr
  • Reviews from users: 44329 ⭐ Ratings
  • Top rated: 3.3 ⭐
  • Lowest rated: 1 ⭐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여성주의상담이란 – 여성주의상담이란 – 부천여성의전화 여성주의 상담은, 각 여성의 개인적 특성에 가치를 두고, 여성들이 가지고 있는 힘을 깨닫고 스스로 자유로워지고 불평등한 사회구조를 변화시켜 인간을 존중하는 사회를 …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여성주의상담이란 – 여성주의상담이란 – 부천여성의전화 여성주의 상담은, 각 여성의 개인적 특성에 가치를 두고, 여성들이 가지고 있는 힘을 깨닫고 스스로 자유로워지고 불평등한 사회구조를 변화시켜 인간을 존중하는 사회를 … 부천여성의전화, 부천인권운동, 부천여성인권, 부천여성인권운동, 부천여성운동, 부천가정폭력상담소, 부천가정폭력, 부천여성폭력사)부천여성의전화는 인권운동단체로서 성평등하고 폭력없는 사회를 만들기 위해 활동하고 있습니다.여성인권운동단체, 부설 성폭력상담소, 성평등의식 교육, 여성인권지원, 여성주의상담여성주의 상담이란 여성 폭력 및 정서적인 문제들의 많은 부분이 우리 사회의 성차별적 조직문화에서 야기된다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 그들의 성장을 도와 자기 인식을 통해 개인의 변화를 추구하고, 나아가 차별과 억압을 해소하는 사회적인 변화를 지향합니다. 여성주의 상담은 내담자의 잠재력을 존중하고, 내담자와 상담자의 평등한 관계 속에서 내담자가 스스로 역량 강화를 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여성주의 상…
  • Table of Contents:

여성주의 상담이란

여성주의상담이란 - 여성주의상담이란 - 부천여성의전화
여성주의상담이란 – 여성주의상담이란 – 부천여성의전화

Read More

대구중앙가족상담센터

  • Article author: blog.daum.net
  • Reviews from users: 12193 ⭐ Ratings
  • Top rated: 3.7 ⭐
  • Lowest rated: 1 ⭐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대구중앙가족상담센터 여성주의 상담은 여성이 사회적 요구에 의해 자신을 정의하지 않고 스스로 정의하도록 장려하는 사회를 만드는 것을 목표로 두고 있으며, 자유 여성주의, …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대구중앙가족상담센터 여성주의 상담은 여성이 사회적 요구에 의해 자신을 정의하지 않고 스스로 정의하도록 장려하는 사회를 만드는 것을 목표로 두고 있으며, 자유 여성주의, … 1. 개요 1960년대에 서구에서 일어난 여성운동을 시작으로 여성에 대한 새로운 상담 접근이 필요하다는 인식이 생겼다. 여성주의 상담은 여성주의적 이론과 방법을 상담에 도입하여 여성들이 자신을 재발견하고 사..가족문제,부부,아동청소년,노인상담 전문기..대구중앙가족상담센터
  • Table of Contents:
대구중앙가족상담센터
대구중앙가족상담센터

Read More

여성 주의 상담

  • Article author: www.jjhotline.or.kr
  • Reviews from users: 49692 ⭐ Ratings
  • Top rated: 3.7 ⭐
  • Lowest rated: 1 ⭐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여성 주의 상담 여성주의상담안내 · 1) 개인적인 것은 정치적인 것이다. 여성이 겪는 문제를 개인적으로만 보지 않고, 개인을 둘러싼 사회적 조건속에서 형성된 문제라고 봅니다. · 2) …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여성 주의 상담 여성주의상담안내 · 1) 개인적인 것은 정치적인 것이다. 여성이 겪는 문제를 개인적으로만 보지 않고, 개인을 둘러싼 사회적 조건속에서 형성된 문제라고 봅니다. · 2) …
  • Table of Contents:
여성 주의 상담
여성 주의 상담

Read More

여성주의상담 "자기 안에 있는 여성의 역사를 새롭게 짜 가는 것"

  • Article author: m.usjournal.kr
  • Reviews from users: 40042 ⭐ Ratings
  • Top rated: 4.2 ⭐
  • Lowest rated: 1 ⭐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여성주의상담 "자기 안에 있는 여성의 역사를 새롭게 짜 가는 것" 김 교수는 상담이론에는 “정신분석, 인간중심치료, 인지행동치료 등이 있고 여성주의 상담은 상담이론의 영역에 있다. 여성학이 아니라 상담심리학”이라며 …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여성주의상담 "자기 안에 있는 여성의 역사를 새롭게 짜 가는 것" 김 교수는 상담이론에는 “정신분석, 인간중심치료, 인지행동치료 등이 있고 여성주의 상담은 상담이론의 영역에 있다. 여성학이 아니라 상담심리학”이라며 …
  • Table of Contents:
여성주의상담 "자기 안에 있는 여성의 역사를 새롭게 짜 가는 것"
여성주의상담 "자기 안에 있는 여성의 역사를 새롭게 짜 가는 것"

Read More

여성 주의 상담

  • Article author: www.hotline.or.kr
  • Reviews from users: 47681 ⭐ Ratings
  • Top rated: 3.8 ⭐
  • Lowest rated: 1 ⭐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여성 주의 상담 여성주의상담. 한국여성의전화는 가정폭력,성폭력,성매매 등 여성폭력문제 상담을 받습니다. 모든 상담은 무료이며 비밀이 보장됩니다. ‘가정폭력’이라는 말 조차 생소 …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여성 주의 상담 여성주의상담. 한국여성의전화는 가정폭력,성폭력,성매매 등 여성폭력문제 상담을 받습니다. 모든 상담은 무료이며 비밀이 보장됩니다. ‘가정폭력’이라는 말 조차 생소 …
  • Table of Contents:
여성 주의 상담
여성 주의 상담

Read More


See more articles in the same category here: https://toplist.cazzette.com/blog.

여성 폭력 및 정서적인 문제들의 많은 부분이 우리 사회의 성차별적 조직문화에서 야기된다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

그들의 성장을 도와 자기 인식을 통해 개인의 변화를 추구하고, 나아가 차별과 억압을 해소하는 사회적인 변화를 지향합니다.

여성주의 상담은 내담자의 잠재력을 존중하고, 내담자와 상담자의 평등한 관계 속에서 내담자가 스스로 역량 강화를 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여성주의 상담은, 각 여성의 개인적 특성에 가치를 두고, 여성들이 가지고 있는 힘을 깨닫고 스스로 자유로워지고 불평등한 사회구조를 변화시켜 인간을 존중하는 사회를 만들기 위함 (‘왜 여성주의 상담인가?’ 발간사, 황경숙) 에 궁극적인 목표를 둡니다.

여성주의 상담은 사회의 성차별 문제를 자각하고 여성차별 철폐와 성평등한 사회 건설을 위해 노력하는 여성주의적 가치체계에 근거한 상담이고, 여성주의 상담가는 이러한 여성주의적 가치체계에 부합하는 상담접근을 선택하는 사람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여성주의 상담은 단순히 상담이론이나 기법에 관한 것이 아니라 그간 남성 중심의 가부장적 사회에서 소외되고 평가절하 되었던 여성을 ‘여성의 눈으로’ 새롭게 바라보는 전환된 가치관에 관한 문제입니다.

‘개인적인 것은 정치적인 것이다’라는 원리 아래 사회구조적 성차별을 경험하는 여성으로서 내담자를 이해하고 내담자의 문제를 해석하는 것 자체가 하나의 여성운동입니다.

1. 개요

1960년대에 서구에서 일어난 여성운동을 시작으로 여성에 대한 새로운 상담 접근이 필요하다는 인식이 생겼다. 여성주의 상담은 여성주의적 이론과 방법을 상담에 도입하여 여성들이 자신을 재발견하고 사회현실 구조를 새롭게 바라봄으로써 건강하게 성장하도록 돕는 것에 목표를 두고 있다. 또한 여성주의 상담은 사회적 근거와 정치적 근거를 가지고 있어 내담자의 문제 해결을 돕는 것 이외에도 사회변화를 이끌기 위한 상담의 역할에 대해서도 강조하고 있다. 상담 장면에서도 사회에서 경험할 수 있는 불평등한 권력이 재현되지 않도록 상담자와 내담자의 관계가 평등할 수 있도록 노력하며, 여성이 경험한 것을 존중하는 입장을 취한다. 또한 내담자의 심리적 불편감을 저항과 생존을 위한 기술이며 의지라고 보는 입장을 가지고 있다.

이를 위해 여성주의 상담에서는 성-역할 분석, 성-역할 중재, 권력 분석 및 통합, 독서 치료, 자기-드러내기, 표현훈련, 틀과 이름을 다시 만들기, 집단상담 등과 같은 상담 기법을 활용한다. 여성주의 상담은 성별을 염두에 둔 접근으로 사회적 억압에 의해 영향을 받아온 여성들이 자신의 목소리를 낼 수 있도록 돕는다는 측면과 사회적으로 인식을 전환한다는 측면에서 그 공헌점을 찾을 수 있다. 한편 상담자의 가치관이 내담자에게 과도하게 강요될 수 있다는 점과 내담자의 문제의 원천을 사회적인 측면에서 주로 찾는 점은 자칫 상담이 한쪽으로 치우칠 가능성이 있어 이에 대한 보완이 필요하다는 제안이 제시되고 있다.

2. 여성주의 상담의 개념

미국과 서구에서는 1960년대에 일어난 여성운동의 영향으로 여성에 대한 새로운 상담 접근이 필요하다는 것을 인식하기 시작했다. 특히 전통적인 여성 역할이 여성들을 억압하고 전통적인 심리상담은 여성들의 문제 해결을 제대로 돕지 못하고 오히려 여성의 종속적 위치를 강화한다는 비판이 제기되어, 현재까지 많은 학자들이 여성주의 상담에 대한 이론을 발전시켜 왔다(조주현, 2003). 이런 사회적 분위기에서 여성주의 상담이 시작되었으며, 여성주의 상담은 여성주의적 이론과 방법들을 상담에 도입하여 여성들이 자신을 재발견하고 사회현실 구조를 새롭게 바라봄으로써 건강하게 성장하도록 돕는 것에 목표를 두고 있다.

여성주의 상담은 여성에 대한 편견과 차별이 정당화되고 있는 사회의 정치적, 사회적 측면을 변화시킬 수 있는 힘을 갖게 해주고 그들의 자아치유와 건강한 성장을 돕는 심리적 치료 접근이다(최해림, 김영희, 1996). 또한 여성 내담자로 하여금 자신이 처해 있는 가부장제 현실에 대한 비판적인 안목을 갖게 하고 이를 기초로 올바른 이해와 건강한 자아 정체감을 확립하여 보다 성숙한 인간으로 성장, 자아를 실현할 수 있도록 돕는 전문적인 상담 활동이다(이규미, 1996).

여성주의 상담은 여성이 사회적 요구에 의해 자신을 정의하지 않고 스스로 정의하도록 장려하는 사회를 만드는 것을 목표로 두고 있으며, 자유 여성주의, 급진 여성주의, 문화 여성주의, 사회주의적 여성주의의 네 가지 기본철학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강문순, 2003). 또한 여성주의 상담은 다음의 개념들을 강조하고 있다(Corey, 2003).

• 문제를 개인적 수준에서보다는 사회정치적이며 문화적 맥락에서 보기

• 여성 경험의 본질을 독창적 관점에서 생각하기

• 여성의 심리적 건강을 평가하는 전통적 방법에 도전하기

• 내담자가 환경의 억압적 측면을 다루는 사회적 행동을 하도록 격려하기

우리나라에는 1983년 ‘한국 여성의 전화’가 설립되면서 폭력 피해 여성을 대상으로 하는 상담이 시작되었고, 그 후 ‘한국 성폭력 상담소’, ‘한국 여성 민우회 가족과 성 상담소’ 등이 설립되어 여성을 대상으로 하는 상담이 활성화되기 시작했다(조주현, 2003). 또한 1990년대에 들어와서는 여성주의 철학과 심리학적 모형들을 통합하여 더욱 일관성 있는 이론을 만들려고 노력하고 있다(이장호, 1996).

또한 한국 여성들은 남아선호 사상으로 출생 시에 차별을 경험하는 경우가 있으며, 교육 과정에서 차별을 받는 경우도 있다. 또한 여성이 교육받을 기회가 늘어났고 경제활동 참여가 확대된 것은 사실이나, 여전히 승진에서 차별을 받거나 저임금, 취업의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이 높다. 게다가 직장에서의 성폭력 및 가정 내 폭력을 경험할 가능성 등 여러 가지 사회적 압력에 노출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나 우리나라 여성이 처한 사회적 맥락의 특수성을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강문순, 2003).

3. 여성주의 상담의 원리와 목표

코리(Corey, 2003)의 정리에 의하면 여성주의 상담의 기초가 되는 원리들은 서로 연결되어 있다. 먼저 내담자의 문제를 이해하는 관점에서 여성주의 상담은 사회적 근거와 정치적 근거를 가진다. 즉 여성주의 상담자는 갈등을 겪는 내담자를 도울 뿐 아니라 사회 변화를 이끌기 위해 상담이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관점을 가진다. 결과적으로 여성주의 상담에서는 성 역할 기대가 강요하는 제약으로부터 남성과 여성을 자유롭게 하는 사회를 만들어가는 것이 궁극적 목표가 된다. 또한 여성주의 상담에서 상담자와 내담자의 관계는 평등하며, 치료 관계에서 사회의 불평등한 권력이 재현되지 않도록 노력한다.

그 다음으로 여성주의 상담에서는 여성이 경험한 것을 존중한다. 기존의 상담에서 여성의 경험을 남성중심적 시각과 규준에서 평가하는 경향이 있었다면, 여성주의 상담에서는 강간, 성적 구타, 성희롱, 아동기 성적 학대, 섭식장애, 가정폭력 등과 같은 여성이 경험할 수 있는 주제를 반영하고 있다.

또한 여성주의 상담은 심리적인 불편감이나 정신적 증상을 질병이라고 생각하는 기존의 관점과 달리 공정하지 못한 사회 체제에 대한 하나의 의사표현이라고 정의한다. 즉, 고통은 장애나 결함의 증거가 아니라 저항과 생존을 위한 기술이며 의지라고 보는 입장이다(Worell & Johnson, 1997). 마지막으로 여성주의 상담에서는 사회적으로 받는 여러 억압을 통합적으로 분석한다. 이는 기본적으로 성별에 따른 차별 대우가 보편화된 문화는 남성과 여성 모두에게 영향을 준다는 것을 인정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감정의 동요를 느끼는 것은 약하기 때문이라고 배운 남성은 치료관계 안에서나 밖에서 정서를 표현하는 데 곤란을 겪을 수 있다. 자신의 소망을 포기하고 가족을 돌봐야 한다고 배운 여성은 상담을 통해 자신이 원하는 것을 알아내고 이것을 존중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Corey, 2003).

또한 미국심리학회에서는 여성에 대한 상담 및 심리 치료에 대한 원리를 제시하고 있는데, 이 원리는 양성 평등 모델(gender-fair model)을 근거로 하고 있다(Enns, 2000). 양성 평등 모델이란 여성과 남성 모두를 긍정적이고 중심적으로 보는 것, 전통적인 성 역할과 관련된 배타적인 용어를 피하는 것 등을 포함하는 모델이다(이지연, 2004).

영역

여성에 대한 상담 및 심리 치료 원리 지식 1. 상담자들은 일반적으로 여성에게 영향을 주거나 사회적으로 여성 집단에게 특별히 영향을 미치는 생물학적, 신체적, 사회적 이슈들에 대해 알고 있다.

2. 상담자들은 실습과 관련된 이론의 가정과 시각이 남성과 여성에게 다르게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알고 있다. 상담자는 이론과 모형이 여성 내담자들에게 특별히 유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여성 내담자들의 잠재력을 배척하거나 제한할 수도 있다는 것을 알고 있다.

3. 공식적인 훈련 이후에, 상담자들은 여성 집단의 특별한 문제를 포함하여 진로 전반에 걸쳐 여성과 관련된 이슈들을 계속 탐색하고 배운다.

상담자 태도 4. 상담자들은 모든 형태의 억압에 대해 알고 억압이 성차별주의와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 알고 있다.

7. 상담자들은 여성 상담에서 잠재된 변화, 목표의 방향이나 특성을 선입견에 근거한 한계로 국한시키지 않는다.

11. 상담자들은 상담자 자신의 발달에 따른 성 역할 사회화와 가치, 태도가 여성 내담자에게 미치는 영향을 안다.

12. 상담자들은 여성 상담에서 자신이 어떻게 상담해야 상담에 효과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알고 있다. 상담자들은 여성 상담에 불리한 영향을 주지 않도록 자문, 수퍼비젼, 상담을 통해 자신이 상담하는 것을 모니터한다.

상담 과정과 기술 2. 상담자들은 실습과 관련된 이론의 가정과 시각이 남성과 여성에게 다르게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알고 있다. 상담자는 이론과 모형들이 여성 내담자들에게 특별히 유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여성 내담자들의 잠재력을 배척하거나 제한할 수도 있다는 것을 알고 있다.

5. 상담자들은 상담자-내담자 상호작용이 적대적인 영향을 주지 않도록, 상담의 언어적·비언어적 과정(process) 변인들(특히 관계에서 힘과 관련하여)이 여성에게 미치는 영향을 알고 있다.

6. 상담자들은 일반적인 여성과 특별한 여성 하위 집단에 촉지넉인 기술을 활용하는 능력이 있다. 7. 상담자들은 여성 상담에서 잠재된 변화, 목표의 방향이나 특성을 선입견에 근거한 한계로 국한시키지 않는다. 8. 상담자들은 여성 내담자가 여성 혹은 남성 상담자를 만나려고 하는 상황에 민감하다. 9. 상담자들은 상담, 수퍼비전, 강의 시 비성차별적(non-sexist) 언어를 사용한다. 10. 상담자들은 어떤 상황에서도 여성 내담자와의 성적 행동에 관여되지 않는다. 13. 상담자들은 성 편견을 없애는 기관과 개인들을 지원한다.

또한 여성주의 상담은 성의 사회적 의미를 이해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여 여성의 정신건강을 재해석하고, 여성 내담자가 자신의 권한과 힘을 찾고 다른 사람을 돕는 것에 힘을 발휘하여 궁극적으로는 사회를 변화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때 성의 사회적 의미를 이해한다는 것은 여성에 대한 사회적 기대를 이해한다는 것과 관련이 있으며, 섭식장애 여성 내담자를 예로 들면, 이 내담자의 상담 목표는 내담자가 사회적 속박에서 벗어나 자신의 신체에 대해 알고 좋아하며, 사회적 기대가 자신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자각하는 것이 주요 목표가 될 수 있다(Enns, 1997; 이지연, 2004).

또한 우렐과 리머(Worell & Remer, 1992)가 제시한 여성주의 상담의 구체적 목표는 다음과 같다.

• 여성이나 남성이나 자기만의 고유한 경험과 직감을 신뢰하도록 돕는다.

• 내담자가 여성 관련 가치관을 인정하도록 돕는다.

• 여성이 스스로를 돌보도록 지원한다.

• 여성이 자신의 신체를 인정하고 좋아하도록 돕는다.

• 다른 사람의 성적 요구가 아니라 자신의 성적 요구를 정의하고 그에 맞게 행동하도록 돕는다.

4. 여성주의 상담 기법

샤프(Sharf, 2000), 우렐과 리머(Worell & Remer, 1992), 엔스(Enns, 1993) 등이 기술하고 있는 여성주의 상담 기법을 코리(Corey, 2003)가 정리한 것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여성주의 상담의 기법 (Corey, 2003)

상담 기법

내용 성-역할 분석 • 내담자가 경험한 직간접적인 성-역할 메시지 탐색 • 성-역할 메시지들로부터 받은 영향 탐색(긍정, 부정) • 내담자가 그 메시지를 어떻게 내면화했는지 확인 • 내면화된 메시지들 중 변화를 희망하는 것을 선택 • 변화를 위한 계획 수립 및 수행 성-역할 중재 • 여성에 대한 사회적 역할 기대가 내담자가 호소하는 문제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내담자가 인식하도록 도움.

권력 분석, 권력 통합 • 내담자가 다양한 종류의 권력에 대해 배우고, 자신이 가지고 있는 권력 또는 접근할 수 있는 권력의 종류에 대해 탐색해 봄. • 내담자는 권력을 발휘하는 다양한 방법을 이해하고 대안적인 전략을 배움. • 내면화된 성 역할 고정관념과 제도화된 성차별이 권력 사용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탐색. • 내담자의 권력 역할의 범위를 넓히도록 도움. 독서 치료 • 내담자가 그들의 상담 이슈에 관련된 책을 읽도록 하여 전통적인 성 역할 고정관념에서 벗어나도록 도움. • 성차별에 대한 교육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내담자의 전문성을 증가시켜 상담자와 내담자의 권력 차이를 감소시킬 수 있음. 자기-드러내기 • 상담 과정의 신비성을 없애는 데 도움이 됨. • 상담자 자신도 갈등을 겪는 인간이라는 것을 내담자에게 보여줌으로써 치료 관계를 평등하게 만들 수 있음. 표현 훈련 • 내담자가 속해 있는 문화권에 맞는 방법으로 표현 행동을 가르치고 촉진함.

틀과 이름을 다시 만들기 • 내담자 문제의 원인을 파악할 때 내담자가 속한 환경의 요인을 고려하도록 생각의 틀을 재형성함. • 내담자의 행동 특징에 적용된 평가나 라벨을 바꿈. 집단 상담 • 자기-조력 집단이나 지지 집단을 통해 다른 여성들과의 연대감을 경험할 수 있도록 도움.

5. 여성주의 상담의 공헌 및 한계

여성주의 상담은 성별을 염두에 두고 성에 공정한 원리들을 상담에 적용하려는 시도였으며, 전통적인 상담 이론들의 관점에서 바라본 여성의 경험에 대해 의문을 제기했다. 이로 인해 사회적으로 억압받아온 여성들의 목소리가 상담을 통해 제대로 드러날 수 있었다. 즉, 여성주의 상담은 개인 문제를 일으키는 사회적 현실과 정치적 현실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한 채 남성이나 여성이나 각자의 문제는 개인 탓이라는 생각으로부터 사회에 있는 억압적 요인들을 변화시키려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인식으로의 전환을 가져왔다(Corey, 2003).

한편으로 여성주의 상담의 문제점은 투쟁적이면서 과도한 열정을 가진 상담자가 내담자에게 자신의 가치관을 강요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여성 문제에 기여한 환경 요인들을 조사하는 것을 강조하다 보면 내담자가 문제 원천이 환경에 있으니 자신은 행동할 책임이 없는 것으로 받아들일 위험이 존재한다(Corey, 2003). 또한 내담자의 문제를 이해할 때 사회구조적인 면을 강조하지만 상담 관계의 맥락, 즉 상담의 미시적 상황을 어떻게 적절히 연결하여 내담자에게 제대로 도움을 줄 수 있을지에 대한 보완이 필요하다(강문순, 2003).

집필 : 김은영(동서울대학교 교양학과)

참고문헌

강문순(2003년). 여성주의 상담의 원리와 전망 – 내담자와 상담자의 경험을 중심으로.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김민예숙(2011년). 미국과 한국의 여성주의 상담 역사 비교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6(2), 197-218.

박진아(2000년). 여성상담 기관의 여성주의 상담에 관한 연구. 가톨릭대학교 심리상담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이규미(1996년). 여성상담의 특징과 여성상담자의 전문적 자질. 한국여성심리학회지, 1, 139-145.

이장호(1996년). 상담심리학 입문 제3판. 서울: 박영사.

이지연(2004년). 여성주의 상담의 적용 실제와 방향.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6(4), 773-791.

최해림, 김영희(1996년). 한국 여성의 심리장애와 여성치료의 방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8(1), 153-167.

Corey, G. (2003년). 심리상담과 치료의 이론과 실제 (조현춘, 조현재 옮김), 서울: 시그마프레스.

Enns, C. Z. (1993년). Twenty years of feminist counseling and therapy: From naming biases to implementing multifaceted practice. The Counseling Psychologist, 21, 3-87.

Enns, C. Z. (1997년). Feminist Theories and Feminist Psychotherapies. New York: The Haworth Press, Inc.

Enns, C. Z. (2000년). Feminist therapy. In C. R. Snyder & R. W. Lent (eds.), Handbook of Counseling Psychology. New York: John Wiley & Sons, Inc.

Sharf, R. S. (2000년). Theories of Psychotherapy and Counseling: Concepts and cases (2nd ed.). Pacific Grove, CA: Brooks-Cole/Wadsworth.

Worell, J., & Johnson, N, G. (Eds.). (1997년). Shaping the Future of Feminist Psychology: Education, Research, and Practice.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Worell, J., & Remer, P. (1992년). Feminist Perspectives in Therapy: An Empowerment Model for Women. New York: Wiley.

여성주의상담 "자기 안에 있는 여성의 역사를 새롭게 짜 가는 것"

지난 21일 오후6시30분 울산시민연대 교육관에서 ‘여성주의상담’ 강좌가 열렸다.

여성주의상담 강좌는 울산에서는 처음이라고 한다.

수강신청한 25명의 수강생을 비롯한 5명의 청강생까지 와서 여성주의상담 강좌에 대한 지역 여성노동자들의 관심과 열의가 느껴졌다.

강의는 수강생과 청강생들이 강좌에 참여하게 된 계기나 취지를 듣는 것으로 시작됐다. 두 딸을 키우는 여성에서 상담소에서 직접 상담을 하는 여성까지 다양한 영역에서 일하는 여성노동자들의 다양한 관심을 보여줬다.

여성주의 “인간에 대한 차별과 억압을 극복하려는 인간해방철학”

김민예숙 교수는 “어떤 문제가 있고 이 문제를 해결하려는 내담자와 이 문제 해결을 조력하는 상담자가 있다. 상담은 문제를 가진 사람을 전문적으로 도와주는 과정이다”는 기본개념을 설명하는 것으로 강의를 시작했다.

김 교수는 상담이론에는 “정신분석, 인간중심치료, 인지행동치료 등이 있고 여성주의 상담은 상담이론의 영역에 있다. 여성학이 아니라 상담심리학”이라며 “여성상담이 아니라 ‘여성주의상담’이라고 불리는 보다 중요한 이유는 여성과 남성 나아가 사회 전체에 대한 새로운 생각을 제시하는 여성주의라는 이념을 전제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또 “여성주의란 성차별주의에 일차적 관심을 두지만, 사회경제 계층 차별주의, 인종 차별주의, 신체능력 차별주의, 연령 차별주의, 자민족 중심주의, 이성애주의 등 인간에 대한 모든 차별과 억압을 극복하려 하고 차별과 배타가 없는 평화롭고 민주적인 사회를 지향하는 인간해방철학”이라며 “여성주의상담은 여성주의 철학의 관점에 입각해 여성 및 사회적 소수자의 변화를 조력하는 상담”이라고 정의했다.

김 교수는 “부르주아 혁명의 이념은 ‘자유, 평등, 박애’였다. ‘여성은 집으로 돌아가라’, 평등에 여성은 빠져 있었다. 평등은 오염됐다. 휴머니즘 다음에 페미니즘이 나왔다. 페미니즘은 역사적 맥락에 위치해 있다”고 강조했다.

한국여성주의상담의 역사 “여성주의상담의 역사를 아는 것은 뿌리처럼 중요하다”

김민예숙 교수는 “역사를 아는 것은 뿌리가 되어 생명력을 준다. 여성주의 상담의 역사를 아는 것은 뿌리처럼 중요하다. 여성주의상담의 탄생은 1970년대에 시작됐다”며 “내가 한국 여성주의상담의 역사이다”고 소개했다.

“1977년 이화여대에서 최초로 여성학 강의가 시작됐다. 이 때 150여명이 강의를 들었고 내가 이 중 한 명이었다. 1983년 크리스챤 아카데미에서 여성학을 공부한 여성들이 매 맞는 아내를 사회적 이슈로 만들면서 여성의전화가 창립됐다. 일상의 삶 속에서 여성주의를 말하기 시작했고 여성주의 상담이 소개됐다. 최초의 여성주의 상담기관이 여성의전화였다.” 김민예숙 교수는 인천 여성의전화 회장이었다.

한국 여성주의상담 역사의 첫 십년(1983~1993년)은 여성주의상담기관들이 창립되는 시기였다. 1983년에 여성의전화, 1991년에 한국성폭력상담소, 1995년에 한국여성민우회, 가족과성상담소가 창립됐다.

두번째 십년(1994~2004년)은 새롭게 등장한 여성내담자들을 지원하는 법이 제정되고 국가의 재정적 지원으로 전국적으로 많은 상담소가 설립되는 시기였다. 김민예숙 교수는 “법 제도 개정의 양면성”을 지적하면서 “법 제도 개정이 여성주의의 족쇄가 되기도 했다”고 비판적으로 평가했다.

세번째 시기는 (2005년이후) 비교적 체계적인 여성주의상담자들이 훈련되고 교육되고 있는 시기다. 2005년부터 2007년까지 3년에 걸쳐 김민예숙 교수와 서울여성의전화가 ‘여성주의상담전문가양성교육’을 진행했다. 순수하게 여성주의상담자를 양성하기 위한 교육은 처음으로 시도된 것이었다.

김민예숙 교수는 “그동안 여성주의상담은 ‘여성의전화’ 내에 머물렀다. 상담소가 늘어났지만 여성주의상담은 부재했다. 법 제도 개정 시기 운동에서 직업으로, 사회복지학으로 이동했고 이것은 여성주의 관점은 아니다. 사회복지사들은 여성주의상담을 배우지 않았다”고 밝혔다. 또 “여성단체들이 온갖 실무 때문에 풍부한 상담경험들을 이론화할 수 있는 여력이 없었다”고 덧붙였다.

미국 여성주의상담의 역사 “개인적인 것은 정치적인 것이다”

미국에서 여성주의상담은 대략 1970년대에 시작됐다. 1963년 프래댄의 “여성의 문제는 이름이 없다”라는 말로 시작된 1960년대의 제2물결 여성운동의 결과로 여성주의상담은 시작됐다. 여성대중의 목소리를 듣는 방법이 5명에서 15명의 여성이 모여 인도자 없이 자유롭게 이야기한 것이 ‘의삭향상집단’이었는데 집단과정에서 여성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사회적인 조건에서 기인한다는 것이 드러났다. 이때 ‘의식향상집단’에 참여한 정신분석으로 교육받고 전문상담자가 된 여성들은 여성의 심리만으로는 여성의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하면서 급진화됐고 인도자 없이 하는 의식향상집단에서 좌절을 느낀 여성 참가자들은 개인적인 문제를 해결하려면 인도자가 필요하다는 것을 인정하게 됐다. 여성상담자가 인도자의 역할을 선택하면서 여성주의상담이 시작된 것이다. 미국 여성주의상담의 첫 번째 십년의 결과 ‘개인적인 것은 정치적인 것이다’와 ‘상담자와 내담자의 관계는 평등하다’는 여성주의상담의 원리가 정립됐다.

두번째 시기(대략 1980년대)는 여성주의상담을 그 자체로 정당성을 가진 상담이론으로 정의하려는 노력을 한 시기이고 세번째 시기(대략 1990년대)는 “젠더는 명사가 아니라 능동적이고 상호적이고 지속적으로 과정을 겪는 동사의 역할을 한다”는 생각과, “하나의 올바른 여성주의 이론은 없고 하나의 올바른 여성에 대한 인식론적 입장은 없다”는 생각이 구체화됐다. 이 시기는 “맥락에, 여성 삶의 다양성에, 다중의 억압(인종, 민족성, 계층, 성적 취향)에 더 주의를 기울이고, 여성주의상담을 위한 새로운 모델을 찾게 되는시기”였다.

네번째 시기(대략 2000년대)에 대해서는 아직 정리한 논문은 없지만 “여성경험에 가치 부여하기, 심리적 고통에 대한 사회문화적 기여 인식, 상담관계에서의 권력에 주의 기울이기, 젠더분석과 다른 억압요인 통합하기, 사회변화 창조 우선하기가 미래의 초석”이라고 FTI 대회에서 몇몇 여성주의 상담자들이 네번째 십년을 전망했다.

“여성주의상담사는 자기 안에 있는 여성의 역사를 새롭게 짜 가는 사람이다”

강의가 마치고 수강생과 청강생들은 2인 1조로 “내게 여성의 역사란”이라는 주제로 이야기하는 시간을 가졌다. 여성 자신의 역사를 알아가는 시간이었다.

함께 여성의 역사를 탐색해보는 시간을 마치고 김민예숙 교수는 “나의 어머니는 교육을 받지 못했고 직업을 갖지 못했고 존중받지 못했고 지지자를 찾지 못했다. 어머니는 사회적 조건 속에 위치해 있다. 이러한 사회적 조건에 대한 자각이 필요하고 긍정적인 것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조건을 변화시키고 행복한 삶이 가능하도록 조력하는 것이 여성주의상담사의 역할이다. 여성주의상담사는 자기 안에 있는 여성의 역사를 새롭게 짜 가는 사람이다. 우리는 조건화된 존재이고 이것에 대한 자각, 여성의 조건에 대한 자각이 필요하다. 이 바탕 위에서 내담자를 만날 때 여성주의상담사가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수강생들과 청강생들은 “여성으로서 꼭 들어야한다”, “오기를 잘 한 것 같다”, “여성으로서 자신의 역사를 나누는 시간이 참 좋았고 도움이 됐다”, “여성의 문제가 내 자신의 문제로 다가왔다”, “처음 들었는데 나 자신의 역사를 생각하게 된다”, “여성의 역사를 돌아보면서 어머니의 조건에 대해 생각하게 됐다”, “내가 꼭 들어야 한다고 추천했는데 왜 들어야 되는지 알게 됐다” 등 새로운 질문과 새로운 사유를 시작하게 되는 의미 있는 강의라고 평가했다.

여성주의 강좌는 2강 여성심리(7월28일), 3강 여성주의 상담의 원리(8월11일), 4강 여성주의상담의 상담기법들(8월18일), 5강 자아초월적 여성주의상담(8월25일)으로 진행된다.

[ⓒ 울산저널i.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So you have finished reading the 여성 주의 상담 topic article, if you find this article useful, please share it. Thank you very much. See more:

See also  Top 27 하이볼 위스키 추천 The 191 Correct Answer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