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17 요 침사 적혈구 231 Most Correct Answers

You are looking for information, articles, knowledge about the topic nail salons open on sunday near me 요 침사 적혈구 on Google, you do not find the information you need! Here are the best content compiled and compiled by the https://toplist.cazzette.com team, along with other related topics such as: 요 침사 적혈구 소변 적혈구 수치, 요침사 백혈구, 요침사검사, 요침사 ec, 요침사 wbc, 요검사 해석, 소변검사 rbc 임상적의의, 요검사 wbc 수치


소변에 피가? 혈뇨의 진단과 치료방법
소변에 피가? 혈뇨의 진단과 치료방법


요 침사 적혈구

  • Article author: www.amc.seoul.kr
  • Reviews from users: 27141 ⭐ Ratings
  • Top rated: 5.0 ⭐
  • Lowest rated: 1 ⭐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요 침사 적혈구 소변 내 적혈구 존재 유무는 요 침사 현미경 검사로 알 수 있습니다. 소변 중에는 적혈구, 백혈구, 각종 세포, 세균 등이 존재하는데, 이러한 소변 중의 성분들을 검사 …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요 침사 적혈구 소변 내 적혈구 존재 유무는 요 침사 현미경 검사로 알 수 있습니다. 소변 중에는 적혈구, 백혈구, 각종 세포, 세균 등이 존재하는데, 이러한 소변 중의 성분들을 검사 …
  • Table of Contents:
요 침사 적혈구
요 침사 적혈구

Read More

요침사 | 건강정보

  • Article author: yuhs.severance.healthcare
  • Reviews from users: 15852 ⭐ Ratings
  • Top rated: 4.5 ⭐
  • Lowest rated: 1 ⭐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요침사 | 건강정보 소변 속에는 적혈구, 백혈구, 상피 세포 같은 세포 성분과 세균, 요산 결정이 존재해요. 이러한 성분들은 일반 소변검사로는 정확히 검출할 수 없어요 …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요침사 | 건강정보 소변 속에는 적혈구, 백혈구, 상피 세포 같은 세포 성분과 세균, 요산 결정이 존재해요. 이러한 성분들은 일반 소변검사로는 정확히 검출할 수 없어요 …
  • Table of Contents:

주메뉴

전체메뉴

검사치료

요침사 | 건강정보
요침사 | 건강정보

Read More

요검사(소변검사), 요침사의 현미경검사 : 네이버 블로그

  • Article author: m.blog.naver.com
  • Reviews from users: 23491 ⭐ Ratings
  • Top rated: 3.6 ⭐
  • Lowest rated: 1 ⭐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요검사(소변검사), 요침사의 현미경검사 : 네이버 블로그 요침사에는 유기성분인 적혈구, 백혈구, 상피세포, 그리고 세균, 효모, 진균 세균 등과 무기성분인 각종 염류의 결정들이 존재한다.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요검사(소변검사), 요침사의 현미경검사 : 네이버 블로그 요침사에는 유기성분인 적혈구, 백혈구, 상피세포, 그리고 세균, 효모, 진균 세균 등과 무기성분인 각종 염류의 결정들이 존재한다.
  • Table of Contents:

카테고리 이동

청해(淸海)-의학

이 블로그 
임상화학
 카테고리 글

카테고리

이 블로그 
임상화학
 카테고리 글

요검사(소변검사), 요침사의 현미경검사 : 네이버 블로그
요검사(소변검사), 요침사의 현미경검사 : 네이버 블로그

Read More

한국건강관리협회

  • Article author: m.kahp.or.kr
  • Reviews from users: 33708 ⭐ Ratings
  • Top rated: 3.7 ⭐
  • Lowest rated: 1 ⭐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한국건강관리협회 요침사. 요를 원심분리기에 걸면 적혈구나 백혈구, 상피세포, 원주체, 세균, 요산결정 등의 고형성분이 침전된다. 이들 침전물을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어느 성분이 …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한국건강관리협회 요침사. 요를 원심분리기에 걸면 적혈구나 백혈구, 상피세포, 원주체, 세균, 요산결정 등의 고형성분이 침전된다. 이들 침전물을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어느 성분이 …
  • Table of Contents:
한국건강관리협회
한국건강관리협회

Read More

°Ç°­Á¤º¸ – Â÷Äɾ

  • Article author: www.chamc.co.kr
  • Reviews from users: 1574 ⭐ Ratings
  • Top rated: 3.2 ⭐
  • Lowest rated: 1 ⭐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Ç°­Á¤º¸ – Â÷Äɾ ▣ 요침사(urine sediment) 란? 요를 원심분리기에 걸면, 적혈구나 백혈구, 상피세포, 원주체, 세균, 요산 결정 등의 고형성분으로 침전됩니다.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Ç°­Á¤º¸ – Â÷Äɾ ▣ 요침사(urine sediment) 란? 요를 원심분리기에 걸면, 적혈구나 백혈구, 상피세포, 원주체, 세균, 요산 결정 등의 고형성분으로 침전됩니다.
  • Table of Contents:
°Ç°­Á¤º¸ - Â÷Äɾ
°Ç°­Á¤º¸ – Â÷Äɾ

Read More

::: ¼­¿ï½Å°æ°ú³»°ú :::

  • Article author: seoulnim.com
  • Reviews from users: 10569 ⭐ Ratings
  • Top rated: 3.4 ⭐
  • Lowest rated: 1 ⭐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 ¼­¿ï½Å°æ°ú³»°ú ::: 소변을 원심분리기를 이용해 분리하면 적혈구나 백혈구, 상피세포, 원주체, 세균, 요산결정 등의 고형성분이 침전되는데, 이들 침전물을 요침사라 하고, 이를 현미경으로 …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 ¼­¿ï½Å°æ°ú³»°ú ::: 소변을 원심분리기를 이용해 분리하면 적혈구나 백혈구, 상피세포, 원주체, 세균, 요산결정 등의 고형성분이 침전되는데, 이들 침전물을 요침사라 하고, 이를 현미경으로 … ÁøÇؽà ¼®µ¿ À§Ä¡, µÎÅë, ¾îÁö·³Áõ, Ä¡¸Å, ¸»ÃÊÁúȯ, ³úÁ¹Áß, °£Áú, ³»½Ã°æ, Á¾ÇÕ°ËÁø
  • Table of Contents:
::: ¼­¿ï½Å°æ°ú³»°ú :::
::: ¼­¿ï½Å°æ°ú³»°ú :::

Read More

소변 검사 3_요침사 현미경 검사(2)

  • Article author: gaulharu.tistory.com
  • Reviews from users: 49092 ⭐ Ratings
  • Top rated: 3.9 ⭐
  • Lowest rated: 1 ⭐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소변 검사 3_요침사 현미경 검사(2) 소변 검사 3_요침사 현미경 검사(1) 요침사 검사는 소변 내에 존재하는 유기성분인 적혈구, 백혈구, 상피세포, 세균 등과 무기성분인 각종 염류와 이의 …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소변 검사 3_요침사 현미경 검사(2) 소변 검사 3_요침사 현미경 검사(1) 요침사 검사는 소변 내에 존재하는 유기성분인 적혈구, 백혈구, 상피세포, 세균 등과 무기성분인 각종 염류와 이의 … ◈ 요침사 검사의 정상 참고 수치 요침사 검사에서 관찰되는 적혈구, 백혈구, 상피세포 및 원주체의 정상 참고치는 아래 표와 같습니다. ▷요침사 검사의 정상 참고 수치 항목 남자 여자 적혈구 0 ~ 1/HPF 0..
  • Table of Contents:

고정 헤더 영역

메뉴 레이어

검색 레이어

상세 컨텐츠

태그

추가 정보

페이징

티스토리툴바

소변 검사 3_요침사 현미경 검사(2)
소변 검사 3_요침사 현미경 검사(2)

Read More

요 침사 적혈구

  • Article author: kocw.xcache.kinxcdn.com
  • Reviews from users: 984 ⭐ Ratings
  • Top rated: 3.5 ⭐
  • Lowest rated: 1 ⭐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요 침사 적혈구 뇨중에 적혈구가 파괴되어 유리혈색소가 존재하는 것을 혈색소뇨라고 함. ☆ 요침사중 적혈구와 혼동하기 쉬운 것 ☆. – 지방구, Yeast(효모), 요산염결정,.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요 침사 적혈구 뇨중에 적혈구가 파괴되어 유리혈색소가 존재하는 것을 혈색소뇨라고 함. ☆ 요침사중 적혈구와 혼동하기 쉬운 것 ☆. – 지방구, Yeast(효모), 요산염결정,.
  • Table of Contents:
요 침사 적혈구
요 침사 적혈구

Read More

요 침사 적혈구 | 소변에 피가? 혈뇨의 진단과 치료방법 199 개의 베스트 답변

  • Article author: you.1111.com.vn
  • Reviews from users: 8609 ⭐ Ratings
  • Top rated: 3.9 ⭐
  • Lowest rated: 1 ⭐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요 침사 적혈구 | 소변에 피가? 혈뇨의 진단과 치료방법 199 개의 베스트 답변 요검사 – 한국건강관리협회. 요침사. 요를 원심분리기에 걸면 적혈구나 백혈구, 상피세포, 원주체, 세균, 요산결정 등의 고형 …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요 침사 적혈구 | 소변에 피가? 혈뇨의 진단과 치료방법 199 개의 베스트 답변 요검사 – 한국건강관리협회. 요침사. 요를 원심분리기에 걸면 적혈구나 백혈구, 상피세포, 원주체, 세균, 요산결정 등의 고형 …
  • Table of Contents:
See also  Top 34 인천 빌라 매매 Top Answer Update

요 침사 적혈구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d여기에서 소변에 피가 혈뇨의 진단과 치료방법 – 요 침사 적혈구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요 침사 적혈구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요 침사 적혈구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요 침사 적혈구

요검사(소변검사) 요침사의 현미경검사

키워드에 대한 정보 요 침사 적혈구

사람들이 주제에 대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소변에 피가 혈뇨의 진단과 치료방법

Recent Posts

요 침사 적혈구 | 소변에 피가? 혈뇨의 진단과 치료방법 199 개의 베스트 답변
요 침사 적혈구 | 소변에 피가? 혈뇨의 진단과 치료방법 199 개의 베스트 답변

Read More


See more articles in the same category here: Top 83 tips update new.

소변 속에는 적혈구, 백혈구, 상피 세포 같은 세포 성분과 세균, 요산 결정이 존재해요. 이러한 성분들은 일반 소변검사로는 정확히 검출할 수 없어요. 소변을 원심분리하여 침전시킨 후, 상층액은 버리고 남은 침사물로 슬라이드를 제작하여 현미경으로 관찰하는 방법으로 검사해요. 현미경 1시야(400배)에 어느 성분이 얼마나 보이는지 조사하는 것을 ‘요침사’ 검사라고 해요.

소변 시험지(stick) 검사에서 요단백, 요잠혈 결과가 나왔을 때 시행해요. 요침사 검사를 통해 신장과 요로계 이상 및 다른 여러 질환을 찾아낼 수 있어요.

검사는 보통 하루 중 어느 때 소변이든 상관없지만, 아침 첫 소변이 가장 농축되어 있으므로 가능하면 아침 첫 소변으로 검사해요. 요도 입구의 세균과 염증이 섞이지 않도록 중간 소변을 받아요. 초반 소변을 조금 배출한 뒤 중간의 깨끗한 소변을 검사 용기에 받아 오염되지 않게 바로 검사실에 제출해요. 여성의 경우, 생리로 검사 결과가 다르게 나올 수 있으므로 생리기간 검사는 피해주세요.

검사결과는 400배 배율의 현미경 시야를 관찰하여 적혈구(RBC), 백혈구(WBC), 상피세포(Epithelial Cell), 원주(cast), 결정(Crystal), 기타 발견되는 성분의 개수를 매 시야당 세어 보고해요. 검사 결과에 따라 의심해 볼 수 있는 질병은 아래와 같아요.

성분 수치 증가 시 의심되는 질병 기준치 적혈구 비뇨기계 염증, 급성 사구체신염, 방광 종양, 신장 종양, 신장결석 0~1/HPF 백혈구 방광염, 요도염, 신우신염 0~3/HPF 상피세포 신장 요로계 염증 (여성의 경우 정상일 때도 편평상피세포 관찰됨) 0~5/HPF 원주 사구체 신염, 신우신염, 급성세뇨관 괴사, 신증후군, 신부전 시야당 2~3개 결정 빌리루빈결정 – 간질환 시스틴결정 – 시스틴뇨증 요산결정 – 신장결석,통풍

기타 물질 Yeast, Trichomonas, Bacteria, Sperm 등의 물질이 관찰될 수 있음

검사결과 이상 수치가 나오면 재검사를 시행해요. 적혈구, 백혈구의 경우 일시적으로 많이 나타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반드시 재검사해야 해요. 생리 시기를 확인하여 재검사해요. 질병의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요로 X선 촬영이나 초음파 검사와 같은 추가 검사가 필요할 수 있어요.

요검사(소변검사), 요침사의 현미경검사

요침사에는 유기성분인 적혈구, 백혈구, 상피세포, 그리고 세균, 효모, 진균 세균 등과 무기성분인 각종 염류의 결정들이 존재한다. 요검경 (urine microscopy )은 현미경을 통해 이들을 확인하여 요로질환이나 기타 질환의 진단 및 경과 판정에 이용하는 중요한 검사이다.

●요침사 검사방법

한시간 이내의 신선뇨 약 10mL을 원심관에 취해 1800 rpm (45~500 g)으로 5분간 원침한다. 원침 후 상층액을 기울여서 요침사량이 0.2mL 정도만 남겨두고(20배 농축) 상층액은 버린다. 원심관 하부를 가볍게 두들여서 요침사를 혼합한 다음 유리슬라이드에 한방울(0.01-0.02mL)을 떨어뜨린다.

그리고 덮개유리(cover glass, 18×18㎜)로 기포가 생기지 않게 덮어서 바로 검경하거나, 초생체염색(supravital stain)하여 관찰한다. 먼저 저배율에서 전체 시야를 관찰하여 균등하게 분포되었는지 확인한다. 고배율에서는 최저 10 시야를 보고 혈구 및 상피세포의 종류와 수를 세어서 평균치를 구한다. 아울러 원주의 종류와 세균 유무도 관찰한다.

● 요검경의 자동화 : 자동요침사분석기

요침사검사를 자동화하기 위한 여러 가지 장비들이 개발되어 왔는데, 작업 흐름을 강화하는 동시에 수작업으로 하던 검사 중 일부를 표준화 시킨다는 측면도 있다. 또한 일부 장비들은 요검경분석의 자동화에도 적용되고 있다.

자동분석시스템에는 세포영상분석(image anaysis)을 기반으로 자동화된 요검경분석을 시행하는 방법과 유세포분석(flow cytometry) 방법에 의해 세포와 원주체 등을 분석하는 방법이 있다. 세포영상분석 장비는 IRIS IQ 200와 로슈진단의 cavas 6500이 있고, 유세포분석의 대표적인 장비는 Sysmex UF-1000i이다.

●결과계산 및 보고방법

Grade (세포수/HPF) Grade (원주수/HPF) Grade 1 Grade 2 Grade 3 Grade 4 Grade 5 Grade 6 <1 1~4 5~9 10~29 >30 시야 1/2이상 Grade 1 Grade 2 Grade 3 Grade 4 Grade 5 Grade 6 1 1~2 3~5 6~10 11~19 >20

HPF, high power field

●유형성분

세포 : 적혈구, 백혈구 ,상피세포, 기타( 세균, 효모, 진균 )

원주 : 초자원주, 적혈구원주, 백혈구원주, 상피원주, 유원주, 납양원주, 과립원주, 지방원주.

결정체 : 인산암모니움 , 마그네슘 인산칼슘 , 요산암모니움, 수산화칼슘 요산, 요산나트륨 , 콜레스테롤 ,류신, 씨스틴, 티로신, 설파제

기타: 점액사, 지방구 등

1) 세포성분

(1) 적혈구(RBC) : 고배율상(x400)에서 거의 나타나지 않는 것이 정상이지만, 시야 당 2~3개 이상의 적혈구가 관찰된다면 신장 및 요료의 염증(사구체염, 신우신염, 신결핵, 방광염), 종양, 결석, 순환장애, 외상, 백혈병이나 출혈성 소인의 혈액질환, 전신질환의 초기 신호로 간주한다. 적혈구 형태는 연한 황색의 원반 모양이다. 그라나 요 비중이 낮은 경우는 물을 흡수하여 팽대되고, 고장뇨(hypertonic)에서는 톱니모양 세포(crenated cell)로 직경은 7∼8㎛이다.

이형적혈구(dysmorphic RBC) : 적혈구가 사구체 기저막을 통과하거나 요세뇨관에서 다른 삼투농도, 산성도, 그리고 용혈인자에 노출되면서 발생하는데, 혈뇨 환자에서 사구체 또는 비사구체 기원을 감별하는 검사로 활용된다. 80% 이상이면 사구체성, 20% 미만이면 비사구체성 혈뇨로 판정한다.

(2) 백혈구 (leukocyte) : 정상인에서는 거의 볼 수 없으나, 고배율 상에서 3개 이상 관찰되면 신우신염, 방광염, 요도염, 신결핵과 같은 신장-요로계 염증질환을 의심할 수 있다.

(3) 상피세포(epitheliar cell)

① 편평상피세포(squamous cell) : 트리코모나스 원충 및 세균 등의 감염에 의한 요도염, 요도결석, 카테타 삽입 등에 의한 요도의 기계적 손상 후, 에스트로겐 치료 등의 경우에 많이 나타난다.

② 이행상피세포(transitional cell) : 신우 ,방광 , 하부 요로에서 생기며 이 세포가 많이 나오고 핵의 불균형이 있으면 종양을 의심할 수 있다.

③ 요세관상피세포(renal tubular cell) :급성 요세관 괴사, 사구체신염, 신부전, 네프로제 증후군, 황달(hyperbilirubinuria), 약물중독, 수술에 의한 대량 출혈 후의 환자 소변에서 높은 비율로 나타난다.

(4) 세균(bacteria) : 방광내의 요에는 없어야 하지만 요도를 통과하는 체취과정, 체뇨 용기, 공기중 오래 노출될 때의 오염에 의해 나타날 수 도 있다 주로 신우염, 방광염일 때 대장균, 장내세균, 포도구균, 장구균 등이 많고 신결핵의 요중에는 결핵균, 임질에서는 임균 등이 증명된다.

(5) 진균(yeast-like organism) : 요 오염에 의해 흔히 일어날 수 있으며 요를 실온에 오래 방치하면 생길 수도 있다. 세균보다 병원성일 가능성이 더 많으며 Candida albicans는 종종 당뇨병, 임신, 비만증, 쇠약한 상태의 환자의 소변에서 발견된다.

(6) 질 트리코모나스( Trichomonas Vaginalis) : 운동성이 멈추면 백혈구와 혼동하기 쉬우므로 신선뇨를 검사해야 하며, 여자의 자궁경관이나 자궁내막까지 기생하며 성교에 의해 남여의 요도 및 방광에 전파된다.

(7) 기타 인공산물 외부혼입 : 공기(air bubble), 화분가루, 전분과립, 면섬유, 머리카락, 지방구 등으로 채뇨용기 오염이나 채뇨하는 과정의 혼입으로 종종 볼 수 있으나 대부분 사람의 세포보다 크고 뚜렷하므로 구별이 어렵지는 않다.

적혈구 : 형태는 얇은 원형으로 연한 황색이며 세포질 내에 핵이 없는 세포로 직경은7∼8㎛이다 백혈구 : 형태는 원형으로 세포질 내에 과립이 보이며 세포 표면은 회백색조로 직경이 10~12㎛ 편평상피세포(squamous cell) 이행상피세포(transitional cell) 요도 통과하는 체취과정, 채뇨용기, 공기중 오래 노출시 나나나는 쌍구균 (diplocicci)

요검체를 오랫동안 방치했을 때 나타나는 막대 모대양의 장내세균

진균(yeast like organism) : 원형 또는 타원형의 가늘고 길게 뻗은 균사 형태로 크기는 다양하다.

2) 원주 (Cast)

요가 신세관내에서 정체됐을 때 세뇨관에서 분비되는 점액성 단백( mucoprotein, Tamm-Horsefall protein )과 소량의 혈청 알부민이 결합하여 세뇨관의 강력한 수분 재흡수로 농축되고 겔화 되어 소시지 모양을 나타낸다.

(1) 초자원주(hyaline cast) : 소변에서 가장 흔히 발견되는 무색 초자양의 원주체이며 건강인 또는 내인성 신질환에 흔히 나타나며, 신장에 영향을 주는 치료제, 화학제, 이뇨제 복용, 양이온 교환수지 사용, 스트레스, 격렬한 운동에서도 증가한다.

(2) 과립원주(granuar cast) : 과립원주는 신장에서 세포들이 떨러져 나와 서로 엉겨붙게되고, 시간이 지나면서 파괴되어 과립으로 나타나는 원주이다.

조대(coarse) 과립원주는 중증 신염에서 흔히 보는데 지방을 함유한 변성된 세포이며 단백질이 응괴되어서 이것이 짙은 과립으로 보인다. 혈색소가 침착하면 암갈색을 보이기도 한다. 미세(finely) 과립원주는 조대 과립원주의 과립이 계속 붕괴하여 과립이 잘고 대개는 회색이나 누런색을 띄며, 병의 정도가 진행되었음을 알 수 있다.

(3) 납양원주(waxy cast) : 회색 또는 무색인 넓고 짧은 원주이며 굴절이 심하고 불규칙적으로 굴곡있는 원주로 심한 만성질환, 신 아밀로이도증 때 나타나며, 병의 정도가 심한 지표가 된다.

(4) 적혈구 원주(RBC Cast) : 만 신장염, 신출혈, SLE, 요로감염, 심내막염, 패혈증

약확대에서는 황색으로 보이며 이것이 요침사 중에 보는 것은 신뇨세관에 출 혈이 있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원주에 포함되는 혈구성분은 신장유래의 것이라 생각되고 급성신염이나 만성신염의 급성기에 볼수 있다.

(5) 백혈구 원주 (WBC Cast) : 급성신우염, 심각한 염증을 나타내는 낭창신염, 다발성관절염, 급성 사구체 신염 등 한가지 질병에만 관계된 것이 아니고, 여러 종류의 신장이상에서 볼 수 있다. 세포 구성성분은 동그랗고 변치 않았으며 과립성 세포질이 보인다. 핵은 구별하기가 어렵다. 상피원주(epithelial cast)는 박리된 요세관 상피세포의 집단으로 염색을 하지 않은 경우 백혈구 원주나 세포들이 혼합된 원주(mixed cell cast)와 혼돈하기 쉽다.

초자원주 (hyaline cast)) : 요가 신세관내에서 정체될 때 세뇨관내 mucoprotein과 소량의 알부민이 결합, 농축되어 겔화되어 형성

과립원주(granuar cast) 납양 원주 (waxy cast) 적혈구 원주 (RBC cast ) 백혈구 원주 (WBC cast) 질트리코모나스 : 운동성 멈추면 백혈구와 혼동하기 쉬우므로 신선뇨로 검사한다.

기타 요중의 인공산물 외부혼입 : 공기(air bubble), 화분가루, 전분과립, 면섬유, 머리카락, 지방구 등으로 채뇨용기 오염이나 채뇨하는 과정에서 혼입되며 구별이 가능하다.

●무기침사(Inorganic sediment)

요중 염류의 배설은 체내에 있어서 염류대사, 산, 염기 평형상태 및 요중의 콜로이드 상태 등에 관계된다. 요중 결정성 침사량은 용존하는 염류 농도에 비례한다. 요중으로 배설되는 대부분의 결정체(crystal)는 임상적으로 가치는 적지만 leucine, tyrosine, cystine과 같은 아미노산과 cholesterol 결정체는 병적인 경우에 출현하므로 임상적으로 중요하다.

1) 정상 산성뇨 결정체

요산( uric acid ) : 황색으로 유리조각을 겹쳐 놓은 모양이나 각주의 장미 모양, 사방마름모꼴, 뎀벨형 등 다양한 형태를 보인다. 정상에서도 보이고 결석을 의심하는 환자 요에서 RBC가 보이는 경우 관찰된다. 산성뇨에서 생기며, 퓨린체의 섭식이나 핵산의 붕괴가 요산 농도에 반영되며, 통풍, 백혈구를 나타나고, 결석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수산칼슘( calcium Oxalate ) : 산성뇨에서 주로 나타나며, 수산이 풍부한 음식(토마토, 사과, 아스파라거스, 오렌지)을 많이 섭취했을 경우, 당뇨병, 심폐질환, 신경계통의 질환이나 간질환 때 뇨결석을 형성하기도 한다.

요산나트륨 (sodium urate ) : 황색 또는 황갈색으로 침사형, 바람개비 모양, 방사형 원형이거나 부챗살 모양으로 임상적 의의는 없다.

2) 정상 알칼리성뇨 결정체

인산 암모니움 마그네슘 (triple phosphate ): 무색이고 형태는 서양 관뚜껑 모양, 지붕 모양(편지봉투 모양) 등으로 정상 요에서 보이며, 때로는 결석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요산 암모늄( ammonium urate ) : 노란 황갈색의 불투명한 원형체로 오래 방치한 요에서 세균의 작용에 의해 불규칙한 바늘을 가지고 있다, 임상적 의의는 없다.

인산칼슘( calcium phosphate, dicalcium phosphate ) : 방사상의 rosette형 또는 판상 비정성형으로 방광에 요의 저류나 만성방광염, 전립선 비대 때 나타난다

요산(uric acid) 옥살산칼슘( calcium Oxalate, CaC2O4 )

요산나트륨(sodium urate) 인산 암모니움 마그네슘(triple phosphate) amorphous phosphate 요산암모늄(ammonium urate) 인산칼슘(c alcium phosphate)

3) 비정상 결정체

시스틴(cystine) : 황을 함유한 무색, 엷은 노랑의 편평한 육각형의 결정으로 정상 요에서는 볼 수 없고 결석의 원인이며, 가족 유전성의 대사 장애가 있을 때 나타난다.

콜레스테롤(cholesterol) : 무색 투명하고 계단 모양, 규칙적이거나 불규칙한 결정으로 편평하며 귀퉁이가 깨져서 나온다(cover glass 모양). 신염, 또는 lipoid nephrosis 등에서 나타난다.

류신(leucine) :엷은 황색으로 구형이나 방사상의 농축된 줄무늬와 수레바퀴 모양(국화꽃 모양), 중증의 간 질환 때 나타난다.

티로신(tyrosine) :무색 또는 노랑 색의 바늘 모양으로 중증의 간질환때 나타난다.

설폰아마이드(sulfonamide) : 침상 또는 다발모양 등 굴절률이 높고 환자에 투여하는 과량의 설파제를 썼을 때 결정이 생겨 결석과 같은 결과를 가져온다.

지방(fat) : 강하게 빛을 반사하는 이중 벽으로 된 원형의 모양을 갖는다.

씨스틴 (Cystine) 콜레스테롤 (Cholesterol) 류신 (Leucine) 티로신 (Tyrosine) 설파제 (Sulfonamide) 지방 (Fat)

●요침사 임상적 의의

적혈구가 고배율에서 2개 이하일 때 정상으로 판단한다. 잠혈반응 양성일 때 요검경 검사가 혈뇨를 확진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육안으로 혈뇨가 관찰되지 않고 잠혈반응 양성이지만 요비중이 낮고 적혈구가 관찰되지 않으면 소변에서 적혈구가 용혈되었을 가능성을 고려해야 한다. 육안으로 혈뇨가 의심되고 잠혈반응 강양성이지만 요검경에서 적혈구가 적게 관찰되면 혈관내 용혈이나 마이오글로불린뇨을 의심해야 한다.

요검경은 혈뇨의 원인을 확인하는데도 유용한데 이형적혈구와 적혈구 원주가 관찰되면 혈뇨의 원인이 사구체질환일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이형적혈구와 원주가 관찰되지 않고 동형적혈구만 관찰되면 하부요로의 출혈을 의심해야 한다. 백혈구는 고배율에서 3개 이하일 때 정상으로 판단한다. 요검경에서 백혈구가 관찰되면 요로감염을 의심할 수 있지 만 특이적 소견은 아니다. 발열, 사구체신염 기타 염증성 질환에서도 백혈구가 관찰될 수 있다. 요로감염을 확진하기 위해서 는 요배양검사가 필수적이다.

무증상 환자의 소변에서 세균이 관찰되는 경우 오염의 가능성이 높으며 요침사검사를 위해 소변을 농축하는 과정에서 오염된 세균들이 더 잘 관찰될 수 있다.

●요검사 중 발생할 수 있는 오류방지

1) 소변에 비타민C가 있으면 비타민C의 환원력에 의해 잠혈반응, 아질산염, 당검사에서 위음성 반응이 나타날 수 있다. 비타민 C에 의한 위음성반응이 의심되는 경우 비타민C 요시험지봉을 이용하여 소변에 비타민C가 존재하는지 간단히 확인할 수 있다. 이런 경우 비타민C 복용 후 최소 10 시간 이후 소변으로 재검해야 한다.

2) 소변검체를 -20℃에 보관한다. 알부민은 -20℃에 보존하면 농도가 감소한다. 당장 검 사할 수 없는 경우 냉장보관하며 부득이 장기간 보관할 경 우 -80℃에 보존한다. 3) 소변백의 소변이나 24시간 소변으로 요검경검사를 의뢰한다. 요검경검사에는 채취한 시간 이내의 검체를 이용한다.

4) 심한혈뇨인 경우 요시험지봉 검사를 그대로 시행한다. 심한 혈뇨인 경우 요시험지봉의 패드가 착색되어 여러 검사에서 위음성/위양성이 나타날 수 있다. 이런 경우 원침을 실시하여 상청액으로 검사하여 오류를 방치할 수 있다. 일부회사의 요시험지봉에는 blank pad가 있어 혈뇨에 의한 착색을 보정하기도 한다. 5) 강한 알카리 뇨로 시행한 요단백 결과를 그대로 보고 한다. 소변이 강한 알카리(pH >9.0)일 경우 요시험지봉을 이용한 요단백에서 위양성이 나올 수 있기 대문에 pH를 보정한 후 다시 검사한다.

6) 정량검사용 소변을 무조건 원심하여 상청액으로 검사한다. 소변이 혼탁한 경우 원심하여 상층으로 검사하는 경우가 있다. 요당이나 요단백의 경우 이런 과정을 거쳐도 검사결과에 차이가 없지만 amylase는 요산염과 결합하여 가라앉기 때문에 낮은 결과를 얻게 되고 세뇨관 상피세포에 존재하는 ALP, GGT의 경우도 낮은 결과를 얻게 된다.

● BCK-JW Symposium : IRIS Complete Urinalysis

2014년 7월 2일 그랜드인터컨티넨탈호텔에서 요자동화장비 iRICELL에 대한 소개와 iQ200 System 의 clinical performance 특강(충남의대 권계철)이 이어졌다. 측정방법은 이미지분석에 의한 직접검사법( image technology )이며, 회사 특허의 자동요성분 인식기술(APR)로 분석된다.

요침사 현미경 검사(2)

반응형

◈ 요침사 검사의 정상 참고 수치

요침사 검사에서 관찰되는 적혈구, 백혈구, 상피세포 및 원주체의 정상 참고치는 아래 표와 같습니다.

▷요침사 검사의 정상 참고 수치

항목 남자 여자 적혈구 0 ~ 1/HPF 0 ~ 1/HPF 백혈구 0 ~ 1/HPF 0 ~ 3/HPF 상피세포 0 ~ 1/HPF <10개/HPF 원주 전시야당 2~3개 (초자 원주) *HPF(=High Power Field): 고배율 400배 ▷정상 소변에서 관찰되는 결정체의 종류 정상 산성뇨 정상 알칼리성뇨 무정형 요산염 무정형 인산염 요산 삼중인산염 수산칼슘 인산칼슘 황산칼슘 탄산칼슘 건강인의 소변에서도 때때로 결정체를 볼 수 있지만 임상적 의의는 적습니다. 소변이 산성 혹은 알칼리성이냐에 따라 관찰되는 결정체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요로결석의 경우 결석의 원인을 추정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칼슘, 요산 결정체가 지속적으로 관찰되면 24시간 소변검사와 결석 유무를 확인하는 검사를 고려해야 합니다. 또한, 원충류, 세균, 진균, 정충, 난자 등은 원칙적으로 나오지 않아야 합니다. ◈ 요침사 검사의 임상적 의의 1) 소변에서 발견되는 세포가 정상 참고치 이상으로 나타나는 경우 ▷적혈구: 신장/요로계 질환(염증, 감염, 결석, 종양 등)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이형성 적혈구: 손상된 사구체를 통과하여 모양이 변형된 적혈구로 사구체 질환이 있음을 의미합니다. ▷백혈구: 신장/요로계 염증 질환(신우신염, 방광염, 요도염, 신결핵 등)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편평상피세포: 여성의 질이나 요도에서 유래하며 오염 세포로 간주합니다. ▷이행상피세포: 하부요로, 방광 등에서 유래되며 다수로 나타나면서 핵의 불균형이 관찰되면 종양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신세뇨관 상피세포: 세뇨관 손상을 의미하며, 급성 세뇨관괴사, 신독성 손상 또는 이식 거부 반응 시에 나타납니다. 2) 세균이 관찰되는 경우 오염된 것이 아니라면 요로감염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3) 원주체가 정상 참고치 이상으로 발견되는 경우 ▷초자양 원주체: 신우신염, 만성 신장질환 ▷적혈구 원주체: 사구체신염, 전신홍반루푸스, 요로감염 등의 신실질 병변, 운동 후 정상적으로 관찰될 수도 있습니다. ▷백혈구 원주체: 신우신염, 사구체염, 사이질신장염, 기타 신장염증질환 등 ▷상피세포 원주체: 급성 신세뇨관괴사, 사이질신장염, 자간증, 신이식 거부반응, 중금속 중독, 기타 신장 질환 등 ▷납양 원주체: 심한 만성 신질환, 아밀로이드증 등 ▷과립성 원주체: 심한 신질환이나 격심한 운동 등 ▷지방 원주체: 신증후군, 신질한, 갑상선기능저하증 등 ▷세균 원주체: 요로감염 4) 비정상뇨에서 발견되는 결정체 ▷시스틴 결정체: 선천성 대사장애 질환 ▷타이로신 및 류신 결정체: 조직 괴사가 있는 바이러스성 간염, 독성 간염, 간경변증, 백혈병, 장티푸스 등 ▷콜레스테롤 결정체: 요로감염 , 신염, 신장에 지질이 축적될 때 ◈ 비정상적인 소변검사 결과에 대한 지침 1) 검사 결과 해석 시 주의사항 요시험지봉 검사에서 언급했던 것처럼 요시험지봉 검사법 자체가 피검자의 여러 가지 요인 등에 의해 거짓 양성이나 거짓 음성을 자주 보이게 됩니다. 요시험지봉 검사에서 양성이라고 하더라도 실제로는 음성일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으며, 반대로 음성이라 하더라도 질병이 없다고 단정할 수 없습니다. 환자에 따라서 질환 초기에는 양성 소견을 나타내지 않는 경우도 있을 수 있습니다. 하루 중 산발적으로 양상 소견이 나타나는 경우 한 번의 소변검사만으로는 정확한 결과를 알 수 없습니다. 일반적으로 당, 단백, 잠혈(혈뇨) 등에서 양성 강도가 높을수록 질환이 있을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그러나 일반적인 소변 검사에서 나온 비정상 소견만으로 이것이 일시적 혹은 만성적 소견인지, 비정상 소견을 보인 원인이 무엇인지 판단할 수 없습니다. 소변검사 결과의 해석은 담당 주치의에 의해 피검자의 상태, 임상 소견 및 다른 검사 소견 등을 고려하여 이루어져야 합니다. 2) 단백뇨 요시험지봉 검사상 단백뇨가 3+ 이상으로 높게 나오는 경우에는 반드시 추가로 정밀검사를 시행하여 단백뇨의 원인을 밝혀야 합니다. 단백뇨가 높지 않더라도 계속적으로 단백뇨가 관찰되는 경우에는 신장 기능검사, 요침사검사, 24시간 소변으로 단백 측정, 임의뇨에서 단백/크레아티닌 비율 측정, 요 전기영동 검사 등의 정밀검사를 시행하여 단백뇨 여부와 원인을 확인해야 합니다. 3) 혈뇨 ①요시험지봉 검사에서 잠혈 양성 반응을 보이는 경우: 요침사 검사를 통해 혈뇨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요침사 검사에서 혈뇨인 것으로 밝혀지면 신장 및 요로계 질환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신장 기능검사, 24시간 소변을 채취하여 단백 측정, 임의뇨에서 단백/크레아티닌 비율 측정 등의 추가 검사를 시행해야 합니다. ②육안으로 인지할 정도의 혈뇨인 경우: 요로계 종양의 가능성이 있으므로 방광경 및 상부요로계의 영상의학적 검사 등을 시행해야 합니다. ③무증상의 현미경적 혈뇨를 보이는 경우: 종양 등의 질환을 배제할 수 없으므로 반드시 진료 및 정밀검사를 통해 확인해야 합니다. ④운동으로 인한 일시적 혈뇨를 보이는 경우: 비교적 흔하며 정상적으로 있을 수 있는 소견입니다. 48~72시간이 지난 뒤 재검을 시행했을 때 나타나지 않습니다. 운동에 의한 일시적 혈뇨가 확실한 경우에는 추가 검사가 요구되지 않습니다. *참고: 1)site_소변검사, 질병관리본부 국가건강정보포털, 건강/질병 정보 반응형

So you have finished reading the 요 침사 적혈구 topic article, if you find this article useful, please share it. Thank you very much. See more: 소변 적혈구 수치, 요침사 백혈구, 요침사검사, 요침사 ec, 요침사 wbc, 요검사 해석, 소변검사 rbc 임상적의의, 요검사 wbc 수치

Leave a Comment